[훈민정음] 훈민정음 창제 배경, 의의, 동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훈민정음] 훈민정음 창제 배경, 의의, 동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창제 배경
1) 시대 배경
2) 이론적 배경
2. 창제 동기
3. 훈민정음 창제의 반대론자
4. 최만리는 '역사의 죄인인가?
5. 훈민정음 창제의 의의

Ⅲ 결론

※ 참고 문헌

※ 중세국어 자료

본문내용

내고 있다. 첫째, 한글을 쓰노라면 한문을 사용하지 않게 될 것이며, 그렇게 되면 백성들이 장차 중국의 예법을 모르게 될 것이니 그 점이 걱정스럽다고 말하고 있다.
이 대목에서 우리는 최만리에게서 두 가지 잘못이 있음을 알게 된다. 우선 한글을 쓰게 되면 한문을 쓰지 않게 되리라는 것은 생각이 지나친 것이었다. 그렇지만 그때로부터 560년이 지난 지금도 한문이 없어져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는 학자들이 있고, 또 그들의 주장이 잘못 됐다고만 볼 수 없다면, 당시 최만리가 그런 생각을 한 것을 크게 나무랄 일만은 아니다.
또 한 가지, 그가 중국의 제도(예법)를 버리는 것은 잘못이라고 말한 부분은 비난을 받을 만하다. 한글의 창제가 중국의 제도를 버리는 것도 아니려니와 중국의 제도로부터 벗어난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곧 국가의 운명을 바꿔 놓는 것도 아니었다. 그러니 그가 중국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걱정한 것은 그가 한때 총명을 잃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당시의 정황으로 볼 때 그런 식의 사고에 대해 최만리 혼자 책임질 일은 아니었다. 상소가 합소 (合疏여러 명이 연명한 상소) 였다는 점이 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 김정수, 「한글의 역사와 미래」, 열화당, 1994, p17-21 참조
2. 5. 훈민정음 창제의 의의
한글 창제가 끼친 영향을 살펴보면 첫째, 중국의 한자를 사용하던 우리나라는 우리 말을 적기에 알맞은 우리의 독창적인 글자를 갖게 되었으며, 둘째, 일반 백성도 쉽게 익히고 사용하여 백성에 대한 가르침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백성들이 글을 알지 못하여서 억울한 일을 당하는 일이 없도록 하였으며, 셋째, 한자로 된 책을 한글로 번역하여 한자를 잘 알지 못하는 여자들과 일반 백성들도 책을 가까이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용비어천가나 농사직설과 같은 우리 글로 된 책들도 많이 만들어져 문학 발전에 공헌하였고, 그리고, 마지막으로 우리 글을 사용함으로써 우리 민족의 자부심도 키웠다.
3. 결론
훈민정음을 만들게 한 것은 백성세계의 변화이며 그것은 또 15C 우리의 역사조건이었다. 15C에도 양반 때문에는 전혀 새로운 문자를 만들 필요가 없었다. 우리 역사의 초기부터 지배층만이 한자를 배워 사용하였기 때문에 ‘수준높은 문자생활’을 누릴 수 있었다. 따라서 15C에도 특별히 그들을 위해서는 다른 글을 만들 필요가 없었고 그렇기 때문에 한글이 만들어진 뒤에도 양반들의 문자생활은 한문 중심으로 계속되었다. 그런 이유로 최만리 같은 학자들이 자신들의 기득권을 확보하기 위해서 한글 창제를 반대하지 않았을까 싶다.
하지만 세종의 입장에서는 조선이라는 나라가 세워지고 자신의 대에서 어느 정도 나라가 안정되었기 때문에 백성들에게 국가의 철학인 유학을 보급하여 왕권을 더욱 확고히 하고 싶어했을 것이다. 그런 이유로 백성들이 배우기 쉬운 훈민정음을 창제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 참고 문헌
남윤경, 「世宗代 創製된 訓民正音에 대한 歷史的 接近」, 서강대학교 석사논문, 2001.
고영근, 「표준중세 국어문법론」, 집문당, 1997.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6.28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82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