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학의 발생배경과 발달과정에 대해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개념형성과정

2. 유학의 전개형태로서 실학

3. 실학파

4. 실학사상의 발생배경

본문내용

산을 필연적이요 정당한 것으로 평가하고 그 효과를 적극적으로 긍정하는 입장이 실학파의 공리사상이다. 즉 모든 사람에게 이로운 것이 바로 실학파의 공리적 의리관이며 이것은 주자학파에 있어서 보편적 이념으로서의 天理를 내용으로 하는 의리관과는 구별이 되는 것이다.
둘째로 이렇게 하여 증대된 물자는 모든 사람에게 균등하게 분배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봉건적 사회계층이 고착되었을 때 도덕적 신분질서는 富益富 貧益貧하는 경제적 약자와 강자로 유리 화되는 변질현상을 가져왔고 이를 극복하려는 것이 실학파의 근본과제였다. 다라서 신분계급에 따른 특권을 제거하고 모든 백성이 균평하게 부를 향유하는 것을 주장하였으며 이들의 백성 개념에는 신분제도의 개혁이 들어있으며 모든 인간이 동등한 생존권을 가지고 있다는 평등사상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실학파들이 가졌던 문제의식은 그 시대의 사회적 모순을 인식하는데서 출발하였으며 그것은 이념과 현실의 괴리이며 또한 현실적 빈곤이었기 때문에 그 이론과 입장은 시대적 제약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다. 즉 현실의 중요성을 상대적으로 강조하여 백성이 극도로 빈곤한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의 개혁과 기술의 이용을 중시하고 부국강병을 위한 객관적 수단과 방법을 밝히는 동안 개인의 내면적 도덕근거에 대한 관심은 이차적인 것으로 후퇴하게 된 인상마져 주는 것이다.그러나 실학파의 주장은 한 시대의 모순을 인식하고 또 그 해결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몇 가지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첫째로 실학파는 고정화된 형식적 규범을 거부하면서 신체를 가진 구체적 인간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고양시켰다.
둘째로 현실과 이념의 조화를 추구하면서 관념적 의리론자의 위선적 기만성을 부정하고 실질적 효과를 통한 진실성과 정당성의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세째로 실제의 공효를 추구하면서 사상을 사고의 세계에 머물지 않고 행동의 세계로 나오게 한다. 가장 구체적인 현실의 세계를 가장 근본적인 학문의 대상으로 보는 것이다.
3) 실학사상의 전개와 실학파의 계보
임진왜란을 거쳐 병자호란을 치르는 17세기 초기에 전통적 도학파의 일반적관심이 禮學과 義理論에 집중되고 있는 반면 일부의 유학자들은 성리학의 지식을 가지고 있으면서 현실의 경제적 내지 사회제도적 문제에 관심을 돌리고 있는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17세기 초기의 실학파적 학풍의 발생은 산발적으로 나타나고 다음 세대에서 더욱 구체화될 문제의식을 간직하고 있다는 점에서 실학파의 준비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17세기 후반에 와서 실학파의 성격이 좀 더 구체적으로 드러났을 때의 인물로 柳馨遠과 朴世堂을 들 수 있다. 유형원은 그의 主著인 磻溪隨錄에서 정치 사회 경제의 조직적인 제도개혁론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음을 볼 수가 있다. 그는 율곡의 時務論에 영 향을 받고 있으며 독자적인 초기 실학파라고 할 수 있다. 박세당은 당시 排淸義理論에 대해 현실적 事大論을 제기하는 데서 도학파의 정통적 입장으로부터 분리되었고 朱子註를 벗어난 경전해 석등에서 실학파의 입장을 좀 더 선명하게 드러낼 수 있는 계기를 이룬다. 이러한 사실에서 이 시기를 실학파의 맹아기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18세기에는 17세기에서 제기된 실학사상의 발생배경이 되는 제반 사상적 요소들과 새로운 현실적 문제의식들이 정리되어 실 학파의 학파적인 확립을 이루게 되었다. 18세기에 나타난 실학파의 두 조류는 전반기에 출현한 星湖學派와 후반기에 출현한 北學派로 구분이 될 수 있다.
星湖 李瀷은 退溪를 사숙하고 이기론이나 예학 등에도 상당한 조예를 가졌지만 그의 학문적 관심은 사회제도의 개선에 있었다. 특히 이익은 당시 漢譯된 서학 문헌에 해박한 지식을 가져 천문 역법등 서양 과학지식에 적극적인 긍정 태도를 밝혔고 천주교 교리에 대해서도 신앙적 내용에 대한 부분적 비판을 보여 주면서도 윤리적 내용에 긍정적 태도를 가졌다. 이러한 서학에 대한 이익의 지식과 관심은 그의 제자들에게 계승되어 이른바 성호학파에 있어서 愼後聃 安鼎福등 攻西的 입장과 權哲身 李家煥등 信西的 입장으로 분열이 되지만 서학이 이들에게 중요한 문제로 제기되었던 것이다.
성호학파가 畿湖 南人을 중심으로 형성이 되었다면 다른 한편 老論의 일부 지식인들 사이에 淸朝를 왕래하면서 그 문물의 영향을 받아 실학사상을 발전시킨 北學派가 있다. 湛軒 洪大容은 청 조의 서양의 과학지식과 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북학파의 선두가 되었고 도학파의 排淸義理論을 자주의식으로 극복하여 전 통적 질서의 근원적 개혁을 추구하였다. 홍대용은 地球自轉說을 내세울 만큼 자연과학적 사유를 심화시켰다면 朴趾源은 청조 문 물을 수용함으로서 생산기술과 유통에 관한 개선을 촉구하면서 특히 소설을 통하여 전통적 질서의 모순을 폭로하고 비판하여 실학사상을 문학적 형식으로 발현시켰다. 또 朴齊家는 庶孼出身이 지만 正祖때 奎章閣 檢書官으로 활동을 했으며 北學儀를 저술하여 북학파의 실학사상을 정리하였다.
성호학파가 유형원을 계승하면서 토지 및 행정기구등 사회제도의 개선에 치중했다는 경향에서 經世致用學派라고 한다면 북학 파가 상공업의 유통과 일반 기술의 발전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利 用厚生學派라고 칭하기도 한다. 그러나 18세기는 실학파가 학파적 면모를 확립하였다는데 특징을 가지지만 그 철학적 입장은 아 직 형성되는 과정이고 전통의 기존제도에 대한 비판적 개혁론에 관심이 집중되어 있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19세기의 전반에 활동하였던 丁若鏞과 金正喜에 이르러서는 실학파의 철학적 기반이 확립되고 19세기 중엽의 崔漢綺에 있어서는 또 하나의 중요한 실학파적 철학이 정립되기에 이르렀다. 정약용은 성호학파에서 나와 西學의 영향을 광범위하게 수용하면서 고증학적 지식으로 경학에 대한 새로운 체계적 해석을 시도하였고 자신의 경학 적 입장과의 연관 속에서 사회제도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하였다. 金正喜는 朴齊家의 영향을 받아 북학파를 계승하면서 청조의 고증학을 수용하여 고증학적 실학사상을 전개하였다. 또 崔漢綺는 기존 전통으로부터의 영향이 극소화되고 서학의 영향도 자연과학을 벗어나서는 거의 용해되어 독자적인 철학체계를 구성하는 진전을 이루었다.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12.25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95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