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이론 연대기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직이론 연대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 관심을 유발하는 조직 내의 상징관리에 대한 최초의 주요분석을 하고 있다.
1979
HBR에 실린 Rosabeth Moss Kanter의 논문 “관리순환에 있어서의 권한실패”는 조직적 지위가 권한문제를 야기한다고 규정하면서, 무권한은 권한 문제보다 더 큰 문제라고 논하고 있다.
“관리정책이론”에 대한 Henry Minrzberg의 통합적 연속물은 「구조화된 조직」으로 창간되었다.
1980
Connolly, Conlon, Deutsch는 “조직의 효과: 다수고객 접근”에서 조직이 효과성 평가시 조직에 연관된 다양한 고객층의 다양한 관심사를 반영하는 다양한 기준을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1981
“조직개발: 정치적 시각”에서 Anthony Cobb와 Newton Margulies는 조직개발이 대부분의 비판가가 인식하는 것 보다 더 정치적으로 예민하고 궤변적으로 발달했다고 하지만, 종사자에 의해 정치적 활동이 진실로 실용적이고 가치 있는 문제들을 내포하게 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Jeffrey Pfeffer의 “조직내의 권력”은 조직론에 있어서 권력과 정치학파의 교의와 적용을 통합하였다.
Thomas Ouchi의 「Z이론」과 Pascale &Athos의 “일본식 관리기술”은 일본의 관리운동을 대중화하였다.
1982
조직문화는 Peters & Waterman의 「우수성 추구」, Deal & Kennedy의 「단체문화」, Business Week의 표제인 “단체문화”와 같은 일반 경영 문헌에서 주요 관심사가 되었다.
1983
Henry Mintzberg의 「권력 내외의 권력」은 관리정책의 통합이론의 틀에 조직론의 권력과 정치학파를 넣으려 하였다.
Rosabeth Moss Kanter는 「변화주체」에서 조직변화의 설계자로서 변화주체를 정의하고 적재적소에 있는 적절한 사람이라 하였다.
Meryl R. Louis의 “문화관련 환경으로서의 조직”은 조직문화 학파의 가설과 입장에 대한 최초의 용이하고 통합적 논문이 되었다.
Michael Keeley의 “조직론과 관리교육에 있어서의 가치”는 조직이란 중요한 유권자들의 분산된 목표를 수행하기 위해 협동에 대한 협의에 의해 존재하는 것이지 조직목표수행을 위함은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Ian Mitroff의 「조직정신에 있어서 중개자」는 조직 내외의 제 3자의 직관이 조직행태에, 조직의 정책과 설계에 대한 복잡한 의사결정시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Pondy, Frost, Morgan, Dandridge는 최초로 상징관리를 개념정의한 「조직 상징주의」를 저술하였다.
Linda Smircich의 논문 “분배된 의미로서의 조직”에서 일반적으로 분배된 의미로서의 체제가 어떻게 발전하였고, 상징적 의사소통 절차에서 어떻게 유지되고, 또한 이들 공유된 의미가 어떻게 조직문화의 구성원들에게 공동체적 감각과 특이한 성격을 제공했는지를 조사하고 있다.
1984
Sergiovanni와 Corbally는 조직문화적 시각에서 여러 논문들을 수집하여 「지도력과 조직문화」를 출간하고 첫장의 “행정이론과 실재에 있어서 문화적, 경쟁적 시각”에서 조직문화와 상징적 관리시각의 본질적 기초가 되는 가정들을 명확히 표명하고 있다.
Siehl과 Martin은 “상징관리 역할: 관리자의 효과적 조직문화 변경 방법”에서 최초로 조직문화에 대한 양적, 질적 경험적 연구의 조사결과를 보고했다.
1985
Edgar Schein은 「조직문화와 리더쉽」에서 조직문화 학파의 가장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저술을 하고 있다.
Nils Brunsson은 「불합리한 조직」에서 합리성은 좋은 의사결정을 이끌 수 있으나 조직행동과 변화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고 주장하였다.
Muhammad A. Al-Buraey는 「행정개발」에서 회교도적 관점이 체제와 방식에 있어서 세계적으로 행정개발과정과 현실화에 어떻게 주요한 힘이 되었는지 증명하기 위해 서구의 방법론과 기술에 회교적 철학 실제, 가치, 윤리를 결합하였다.
1986
Desmond Graves는 「단체문화: 진단과 변화」에서 조직문화를 진단하는데 있어 최초로 방법론적 처방을 제시했다.
Michael Harmon과 Richard Mayer는 「공공행정을 위한 조직론」이라는 공공부문에 조직론을 적용하는 포괄적인 책을 저술하였다.
Gareth Morgan의 「조직의 인상」에서는 조직의 여러 이론들은 부분적인 정신적 인상이나 비교에 의해서가 아닌 구별적인 것에 기초하였다고 전제하여 조직을 읽고 이해하는 기술을 발전시켰다.
1988
Michael Keeley는 「조직의 사회계약 이론」이라는 보고서에서 “다양한 고객층, 조직목표, 가치, 조직가치”에 대해 그의 기존의 생각을 통합하고 확장시켰다.
Quinn과 Cameron은 복합조직에서는 모순을 가지고 관리하는 것이 모순을 반드시 제거하려고 시도하는 것보다 더 필요하다는 생각을 모은 “모순과 변형”을 편찬했다.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는 조직론 중에서 개체생태학의 지지자와 비판자 사이의 열띤 논쟁을 출간하였다.
1989
Rosabeth Moss Kanter의 저서 「거인이 춤을 배울 때」에서 조직이 동시에 작은 융통성과 권력 유지의 이점을 어떻게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Alan Wilkins는 「단체성격 개발」에서 이미 존재하는 문화의 긍정적 측면을 파괴하지 않고 조직문화의 요소를 변화시키는 것이 상당히 어렵지만 가능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1990
Sally Helgesen은 여성 지도자가 어떻게 의사결정을 하며 조직내의 정보를 수집하고 분산하는지에 대해 조사한 「일간연구」를 저술하고 「여성편익」에서는 관리에 있어서 “여성은 新日本人일지도 모른다”고 제시하였다.
Elliott Jaques는 “계층제의 찬양”에서 계층제를 비판하는 사람들이 그릇된 방향으로 이끌리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새로운 조직형태의 필요성보다는 계층제를 더 잘 관리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Peter Senge는 「제 5의 원리」에서 기업체란 조직학의 무능력을 극복할 수 없기 때문에 인간수명의 반만큼도 생존하기 어렵다고 주장하였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6.01.07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17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