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화 '나의 침실로'의 諸(제) 批評(비평)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상화 '나의 침실로'의 諸(제) 批評(비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역사주의적 비평
⑴ 개인의 전기를 통한 비평
⑵ 시가 양식의 변화 과정과 관련지은 역사적 연구
⑶ 어휘의 국어사적 변화와 관련된 음운론적 연구
⑷ 당시 서구 사상의 변화와 영향, 즉 상징주의 (혹은 퇴폐적 낭만주의)와 관련된 해석
⑸ 당시 한국이 상징주의 시의 시적 경향과 관련된 해석

2. 사회·문화적 비평
⑴ 당시 식민지적 사회 현실과 연관지어 설명한 논의들
⑵ '유교적 관습과 근대적 자아의 갈등'이라는 당시 사회적 변화 양상과 관련지은 논의들
⑶ 사회·문화적 비평에 대한 비판의 논의들 - 역사주의 비평 중심으로

3. 형식주의 비평
⑴ 시의 구조와 관련된 논의들
⑵ 시의 표현상 특징과 관련된 논의들

4. 시어의 작품 내적 의미와 그 관계에 대한 논의들

본문내용

아'와 '-어라', '-노라', '-도다'의 감탄형 종결어미가 이 시의 주요한 구조를 이룬다.
④ "매 연은 '마돈나'라는 호칭에 의해서 시작되는데, 이와 같이 단순하게 매 연이 반복되는 형식은 그 자유분방하고 열정적인 감정의 호소에도 불구하고 매우 단조롭고 틀에 얽매인 듯한 느낌을 준다. 이것은 조동일이 지적한 바와 같이 마돈나를 부르는 시인의 마음과, 불러도 오지 않는 마돈나를 점차 분위기가 고조되어 가는 시의 형태면에서 적절하게 승화시킨 성공적인 사례라 하겠다."
4. 시어의 작품 내적 의미와 그 관계에 대한 논의들
① "이 시에 등장한 마돈나는 송욱이 지적한 대로 기독교와는 아무 상관없이 다만 연인을 정신적으로 승화시키기 위해 차용된 명칭이라고 보는 견해가 옳다. 그렇다면 마돈나로 불려진 님의 정체는 과연 무엇일까. 많은 비평가들에 의해서 논의된 바이지만, 나는 그것을 "영원한 여성"이라고 규정하려 한다."
- 오세영, 「어두운 빛의 미학-<나의 침실로>의 작품분석」中
② "따라서 이 시의 첫 행에 등장하는 목거지의 이미지는 그 중심 테마인 '침실'의 상징과 상호 모순되는 의미들을 형성하면서, 이 시의 갈등구조를 받드는 두 축이 된다. 후술될 터이지만, 이 시에서 '침실'은 죽음과 재생을 뜻하는 제의의 본질이 가장 극명하게 제시된 상징이다. 시인은 이미 그 첫 행 '목거지'의 이미지를 통하여 삶의 일상성, 혹은 본능적 삶의 덧없음을 피력하는데, '목거지'로 대변되는 삶의 일상성은 물론 시인 자신까지도 포함해서 사용되는 말임을 알 수 있다."
- 오세영, 「어두운 빛의 미학-<나의 침실로>의 작품분석」中
③ "두 사람을 숨겨주는 것, 밤·어둠·안개·밀폐된 공간은, 인습과 새벽을 알리는 소리들-첫닭 울음, 개 짖는 소리, 특히 사원의 쇠북 소리와 팽팽한 대립을 이룬다."
- 양애경, 「한국 퇴폐적 낭만주의 시 연구」中
[참고문헌]
「한국 퇴폐적 낭만주의 시 연구」, 양애경, 국학자료원, 1999.
『이상화의 서정시와 그 아름다움』中「어두운 빛의 미학-<나의 침실로>의 작품분석」, 오세영, 새문사, 1981.
「대표시 대표 평론」, 정영우 외 엮음, 실천문학사, 2000.
『한국현대시와 비판정신』中「이상화 시의 사회적 성격과 민족주의의 형태 발전」, 박원우, 국학자료원, 1999.
「한국 상징주의시 연구」, 김기석, 문학아카데미, 1999.
「한국 현대 시인 특성론」, 문덕수 외, 국학자료원, 2000.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1.11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24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