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우치전」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1.연구목적과 방법
2.연구사 개관

Ⅱ.전우치의 전기적 고찰
1.출생
2.성장과 신이한 능력 획득
3.의적활동
4.입산종말

Ⅲ.변신형상화의 양상와 의미
1.變身의 樣相
2.變身의 意味

Ⅳ.결론

參考文獻

본문내용

재로 행하는 전우치를 잡아가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그러나 전우치는 지배층의 무력함을 일깨워주기 위하여 스스로 병속에 들어간다. 병속의 전우치는 왕에게 백성이나 편안케해달라는 말을 남기고 도주한다. 전우치는 자신의 힘을 지배층에 보여줌으로 그들로 하여금 힘의 한계를 실감하도록 한 것이다.
3)억울하게 殺人罪를 뒤집어 쓴 사람을 구제
살인을 저지르고도 권력과 결탁하여 힘없는 백성에게 그 누명을 씌움으로써 억울하게 사형을 당하게 된 백성을 전우치가 변신하여 살인 누명을 벗겨 준다는 내용에서도 전우치는 변신을 행하고 있다. 이는 권력으로부터 선한백성을 구해낸다는 사회적 행위로써 사회의식의 發露로 볼 수 있다. 또한 선량한 백성의 돼지를 빼앗는 관리를 혼내주는 사건은 善은 백성 惡은 관리라는 표변화를 통해 작가의식에 있어 관에 대한 비판이 다분히 포함되어있음을 보여준다.
4)書生과 妓生의 懲治
서생들은 세력가의 자제로 아무런 노력 없이 부모의 덕으로 기생과 어울려 환락적인 생활을 하며, 행동 또한 오만 불손하다. 그러므로 이들의 행위가 어렵게 살고 있던 백성들의 원망의 대상이 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전우치에 의해 男根과 玉門이 없어지는 수모를 당한다. 그렇다 하더라도 서생과 기생의 징치를 위해 변신을 행하는 부분에서 지금까지와는 달리 개인적인 동기로 변신을 행하게 된다.
5)한자경 사건
가난한 효자 한자경이 전우치가 준 족자의 금기를 어겨 호판에 갇히게 됨에 따라 전우치가 살려주는 장면으로 이 사건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 백성들이 가난과 굶주림에 허덕이고 있을 때 조정의 창고에는 곡식이 가득하고 은과 금이 궤속에 가득차 있는 것을 볼 때 전우치가 그것을 그냥 보아 넘길 수가 없었을 것이다. 쌀을 버러지로 은궤를 청개구리로 돈항아리를 뱀으로 변하게 한 것은 변신의 정당성을 부여하고 백성의 고통을 외면하는 조정에 부패함을 드러내주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6)왕연희의 징치
이부상서 왕연희는 집권관료 중에서 도덕적으로 타락한 대표적 인물이다.전우치가 역적 누명을 썼을 때 그를 죽이려는 주동적인 역할을 하고 와의 총애를 받기 위하여 아부를 하는 인물이다. 전우치는 그를 징치하려고 그와 똑같이 변신하여 그의 집에서 주인 행세를 하며 그가 돌아오자 진짜와 가짜 다툼을 하며 그를 구미호로 변신시켜 그의 악행을 응징한다.
7)시기심많은 민씨의 懲治
신기한 족자 그림을 사겠다고 한 오생이 오자 족자에서 나온 주선랑이라는 미인과 즐기다가 시기심 많은 민씨에게 들킨다. 오생의 부인 민씨가 족자를 찢어버리다 우치가 그를 구렁이로 변신시킨다. 여기서 질투가 심한 오생의 부인을 뱀으로 변신시켰다가 뱀이된 부인이 잘못을 뉘우치자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오게 한다. 뱀이란 의미는 신성성과 사악함이란 두가지 성격을 지니고 있다. 뱀은 표독함이란 의미와 고대로부터 탐욕의 상징으로 관념화되 있다. 이러한 성격으로 오생의 부인이 뱀으로 변신된 것이라 할 수 있다.
8)용담과 화담의 變身術 對決
자아의 변화에 대응하는 신체의 변화는 인간으로서 다른모습 또는 인간과 다른 존재에서 왔다 갔다하는 형태를 드러낸다. 이 외 동식물에 대한 변형의 관념에는 서로 상반된 의식이 깔려있다. 하나는 동물에 대한 신성성이고 하나는 동물에 대한 비하이다. 인간이 동물로 동물이 인간으로 변하는 것은 그 인간의 초자연성 특히 신성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전우치와 용담 화담의 변신경쟁은 건국신화에 등장하는 건국시조들의 변신술 경쟁과도 통한다고 할 수 있다.
Ⅳ.결론
본 논문은 전우치전에 나타난 變身모티프를 硏究對象으로 하여 고찰하였다.
인간의 사고 근원에는 변신욕망이 있다. 그러한 변신에 대한 인간의 욕망이 상상력을 통해 문학에 반영되었기 때문에 변신모티프는 문학의 역사에서 끊임없이 되풀이되고 있는 것이다. 신화를 비롯하여 전설 민담등에 변신장면이 끊임없이 등장하게 되었고 고소설에서도 중요한 모티프로 수용되었다. 또한 오늘날에 있어서도 변신에 대한 욕망은 그 외형을 숨기고 내적 변모로써 문학에 반영되고 있다. 결국 변신은 소재상의 서사적 전통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같이 문학의 역사에서 변신은 시대를 막론하고 수 없이 되풀이 되고 있다.
이러한 변신관념을 두고 그것이 전우치전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으며, 변신의 의미와 기능은 무엇이고, 수용양상은 어떠한가에 대해서 살피고자 한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었다.
지금까지 논의한 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우치의 전기적 고찰을 통하여 당대의 시대현실과 민중의 억압된 삶, 부조리한 모습등을 살피고 현실을 개혁하려는 작가의식을 알 수있었다. 하지만 작품내에서 전우치변신이 현실에 대한 저항이 전개될수록 약화되고 있는 것을 알 수있다. 이 사실은 작가의식의 한계이면서 동시에 저항의 수단으로 변신을 이용하였기 때문이라 할 수 있겠다.
둘째, 전우치전에 나타난 변신의 양상과 의미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전우치전에 나타난 변신의 사례들을 1)변신의지에 따른 분류 2)변신 후의 모습에 따른 분류 3)변신의 체계에 따른 분류 4)변신의 동기 등에 따라 나누어 각각의 양상이 어떠한가 살펴보았다.
이상의 연구는 전우치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던 변신에 대한 해석을 가함으로써 지금까지 단순히 이본고찰이나 작품의 구조, 문헌설화나 구비 전우치 설화와의 관련성에 머물렀던 연구결과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갔다고 할 수 있다.
參 考 文 獻
<자 료>
경판37장본, 「뎐우치전」,한국정신문화원 소장
조동일 편저, 『전우치전』, 시인사, 1983.
<논 문>
강희주,"변신설화의 서사구조와 변신의 의미",이화여대석사논문,1983.
구봉연,"전우치전 연구",경남대석사논문,1987.
김장환,"변신설화 연구",영남대석사논문,1982.
나순득,"전우치전 연구",전주우석대석사논문,1995.
배원룡,"변신설화 연구",성대석사논문,1982.
백승렬,"전우치전 연구",경북대석사논문,1985.
윤재근,"전우치전의 사상에 관한 연구",고려대석사논문,1982.
이격주,"전우치전 연구",단국대석사논문,1991.
이상일,"변신설화의 이론과 전개",성대박사학위논문,1980.
최병림,"고전소설의 도술성 연구",경남대석사논문,1993.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6.01.14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29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