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전》의 갈등양상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사 검토 및 연구방법

2. <운영전>에 나타나는 갈등양상
1) 안평대군과 궁녀들
2) 운영과 옥녀
3) 안평대군과 김진사

3. <운영전>에 나타나는 문학사상
1) 17세기의 문학 사상의 동향
i) 시대적 배경
ii) 17세기 문학사상
2) <운영전>의 시와 시평에 나타나는 문학관

4.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논함에 있어 으뜸으로 杜甫를 꼽는데, 김진사는 杜甫를 언급하지 않는 것에 대해 묻는다. 앞의 문학사상에서 살펴보았듯이 당대의 선비들은 杜甫를 옛시인의 으뜸으로 여기는 문학사상을 보여주며 안평대군의 문학사상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안평대군은 다른 선비들과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옛 시인의 으뜸으로 杜甫를 꼽고 있다. 이는 안평대군의 문학관이 당대 선비들의 학풍과도 일치하고 있음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본문 12)
"다만 두보의 시는 천하의 高文(고문)이라 비록 樂府(악부)
에는 족하지 않지만, 어찌 왕유와 맹호연과 같이 길을 다
투랴."
안평대군은 위의 본문에서도 볼 수 있듯이 杜甫의 시를 천하의 고문이라고 말하며 논쟁을 끝낸다. 杜甫의 시를 천하 높은 문장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조선 전기의 보편적인 문학사상인 도(道)와 풍교(風敎)의 입장에서 시를 말하는 이론과 성정을 순화하는 것으로 보거나 심성 수양의 수단으로 보는 문학사상을 고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다른 견해를 보이는 연구도 있다. 김진사가 李白을 높이 평가한 말을 듣고
본문 13)
"그대의 말을 들으니 가슴 속이 시원하여 긴 바람을 타고 태청궁
에 올라가는 것과 같구료."
라고 한다. 여기서 태청궁은 옥황상제가 살고 있다는 하늘의 궁으로서 김진사를 극구 칭찬하고 있다. 안평대군이 김잔사를 극구 칭찬한 것은 정치. 사회적 활동이 차단되었던 안평대군의 지향이 사대부내의 낭만적인 일탈자적 성격을 지닌 도가편향적 지식인
박일용, 「운영전의 비극성과 그 사회적 의미」, 『조선 시대의 애정소설』, 집문당, 1993
이라고 할 수 있는 김진사의 지향과 맞닿은 결과라고 할수 있다
이상구, 앞의 논문, p 141, 1998,
고 하였다. 이를 통해 안평대군이 당대의 문학관과 새로운 문학관 사이에서 갈등을 겪고 있다는 것을 단면적으로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이런 안평대군의 문학관적 갈등이 〈운영전〉속의 갈등들을 야기 시키고 있는 것이다.
4. 결론
이상에서 운영전에 나타나는 갈등양상을 살펴보고 그것이 문학관과 맞닿아 있음을 살펴보았다.
궁녀를 훈육하는 안평대군과 그의 훈육을 통해 일반 궁녀들과는 다른 삶을 살게 된 그의 궁녀들, 그러나 그 속에서 서로 다른 문학관을 가지게 되는 안평대군과 궁녀들. 인욕을 인정하지 않고 시를 읊거나 짓는 일을 생활의 일부로 삼으려한 안평대군과 훈육을 통해 인간적 삶을 깨닫고 눈을 뜨게 되는 궁녀들의 갈등의 모습을 보인다. 또한 당대의 선비들의 문학관인 杜甫의 시를 따르는 문학관을 자닌 안평대군과 당대의 선비들의 문학관과는 다른 문학관을 지닌 김진사의 갈등은 운영을 사이에 두고 각기 다른 사랑의 모습을 보임으로서 운영전의 비극을 초래한 것이다. 즉, 안평대군은 자신의 문학관을 궁녀들에게 실현하기위해 궁녀들을 심궁에 가두어 두고 고시와 경서를 익히게 했지만 운영과 김진사의 문학관은 안평대군에 의해 설정된 수성궁의 담을 뛰어 넘어 그들의 자연스러운 사랑을 실현하려는 삶이다.
비록 그들의 사랑이 죽음을 선택함으로써 비극적 결말을 맺었지만 이는 그 당시 그들의 문학관이 완전히 받아들여지기에는 너무 이른 것이었던 것으로 보여 진다.
이 논문은 운영전에서 나타나는 또 하나의 양상인 노비 특과 김진사의 갈등의 구조를 문학관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에 대한 연구는 다음으로 미루어 두도록 하겠다.
참고문헌
곽말약, 『이백과 두보』, 임효섭·황선재 역, 까치, 1992.
김낙효, 「운영전과 비교고찰」, 『고전소설과 문학교육』, 박이정, 1996.
김준태, 「두보의 사회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김진세, 『한국고전소설작품론』, 집문당, 1990.
김진영, 「<운영전>의 여성인물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김춘택, 『우리나라고전소설사』, 한길사, 1993.
박태상, 『조선조애정소설연구』, 태학사, 1996.
문은선, 「<운영전>의 변이양상과 그 의미-독자층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2.
박기석,「<운영전> 재평가를 위한 예비적 고찰」, 『국어교육』37, 국어교육연구회, 1990.
박일용, 「운영전의 비극성과 그 사회적 의미」, 『조선 시대의 애정소설』, 집문당, 1993.
서정남,「<운영전>에 나타난 작가의 의식세계」.『동방학』4, 고려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1998.
서나경, 「운영전 연구」,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1985.
성현경,「<운영전>」, 『고전소설연구』,화경고전문학연구회, 일지사, 1993.
성현경, 「운영전 2-운영전 재론」, 『한국옛소설론』, 새문사, 1995.
소재영,「운영전연구-운영의 비극을 중심으로」,『아세아연구』,14, 고려대학교 아세아문화 연구, 1971.
손광주, 「<운영전> 연구-영영전과의 대비적 고찰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2000.
심경호, 「조선조 杜詩集 간행에 관하여」, 『한국학보』,38, 일지사, 1985.
윤경희, 「문학관의 대립으로 살펴본 <운영전> 해석」,『서강어문』11,서강어문학회, 1995.
윤경희. 「고전소설에 나타난 삽입시가 연구」,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윤광봉,유영대, 『고전소설의 이해』, 문학과 비평사, 1991.
이상구,「<운영전>의 갈등양상과 작가의식」,『고소설연구』5, 한국고소설학회, 1998.
이석호, 「이백 시 연구-도교적 특색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1.
이영주편저 『가난한 사귐의 노래-두보』. 솔, 1998.
이종묵,「16-17세기 한시사 연구-시풍의 변화양상을 중심으로」,『정신문화연구』, 23, 4,
통권81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
임형택, 『한국문학사의 시각』, 창작과 비평사, 1984.
정희정,「<운영전>의 액자기능과 서술상황」, 『한국언어문학 』44, 한국언어문학회. 2000.
조용호,「<운영전> 서사론」, 『한국고전연구』3, 한국고전연구학회. 1997.
지두환, 『조선시대 사상사의 재조명』. 역사문화, 1998.
진현주,「<운영전>의 애정실현 방식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차주환, 『중국시론』, 서울대 출판부, 1, 1989.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6.01.17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34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