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영웅신화와 남성영웅신화를 통해 살펴본 세계관과 인간관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 목적
1) 신화를 살펴봐야 하는 이유
2) 연구 목적과 그 이유
2. 자료 설정 이유 및 연구 방법
1) 자료 설정 이유
2) 연구 방법
3. 그동안의 연구사

Ⅱ. 본론
1. 바리공주와 주몽이 신격을 얻기까지의 과정 비교
1) 출생
ㄱ. 혈통 ㄴ. 탄생
2) 성장
ㄱ. 유기 ㄴ. 귀가
3) 고난, 역경
ㄱ. 출가 ㄴ. 고난, 역경
4) 고난의 극복
5) 신격 획득
2. 서사무가 <바리공주>와 동명왕 신화에서 각각의 신격이 갖는 의미
3. 서사무가 <바리공주>와 동명왕 신화에서 나타나는 여성상과 남성상
4. 형식면에서 살펴본 서사무가 <바리공주>와 동명왕 신화

Ⅲ. 결론

본문내용

바리공주>는 가부장제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존재했던 우리의 인권 의식, 여성 의식을 나타낸다 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바리공주>의 세계관을 신격 획득의 전(前)과 후(後)로 나누어, 전(前)에서는 삶의 모습에서 보이는 인간관을, 후(後)에서는 죽은 자를 천도하는 <바리공주>무가의 목적에 초점을 맞추어 여기서 보이는 세계관을 살펴보았다.
바리공주가 신격 획득을 하기 이전에서 살펴본 삶의 모습, 인간관은 동명왕 신화와 서사무가 <바리공주> 모두에서 보이는 영웅 일대기 구조에 따라 한 단계씩 살펴보았는데, 여기에는 각 주인공의 인생역정을 통하여 시련을 이긴 후에야 큰일을 이루어 낼 수 있다는 고대인들의 삶의 태도와 고난과 역경에 굴하지 않고 스스로의 의지에 의해 적극적으로 삶에 임하는 자세를 높이 산 고대인들의 인간관을 알 수 있었으며, 이 역시 현대 사회에 꼭 필요한 덕목임을 알 수 있었다.
또 바리공주에서 나타나는 고난의 모습은 주로 여인네들이 담당하였던 가사노동과 출산인데, 이는 주인공이 여성이고 서술자 역시 여성이었기에 전통적인 여성들의 삶의 방식과 시각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성적 불평등이 존재하고 갈등과 반목이 존재하는 남성중심적 시각의 사회는 기본적인 질서조차 무너진 상태이며 불안정하기에 이상적이지 못한 반면 바리공주가 신격을 획득하고 보이는 여성중심적 시각이 지배하는 사회는 기본적 질서가 성립되고 화해와 평등이 존재하는 안정적이고 이상적인 사회이다. 남성중심적 시각이 지배하는 가부장제의 문제점이 사회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현대 사회에서 <바리공주>에서 보이는 여성중심적 시각은 하나의 새로운 대안이라는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하겠다.
바리공주에서 나타나는 세계관은 이 세계는 현실세계인 이승과 영혼세계인 저승으로 나뉘어 있으며 인간의 삶은 이승에서의 죽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죽음 이후에도 저승에서 역시 이승의 삶처럼 삶을 영위하며, 이 둘은 따로 떨어진 것이 아니라 연속적이라는 것이다. 동명왕 신화가 삶의 영역인 이승에서 가장 높은 가치를 지닌 국가창건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죽은 자를 천도하는 오구굿에서 구술되는 <바리공주>무가는 사후의 영역인 저승에서 가장 높은 가치를 지닌 극락왕생, 왕생천도가 초점이다. 망자를 위로하는 오구굿판에서 구현되는 바리공주 무가를 들으며 고대인들은 바리공주의 권능으로 망자의 극락왕생, 왕생천도를 빌고, 이승에서 쌓은 덕으로 저승에서 행복하길, 이승의 죄로 고통스러워하지 않고 편안히 쉬기를 바랬다.
기득권층인 남성들보다는 소외계층인 여성이 문제 발생시 더 적극적으로 대처한다는 점이 매우 특이했으며 이러한 적극적인 삶의 자세가 성적차별이 존재하는 현실 사회를 남녀평등한 이상적인 사회로 만드는데 필수불가결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남성중심과 여성중심이라는 시각의 차이가 잘 나타나 있는 동명왕 신화와 서사무가 <바리공주>의 형식적 차이점도 살펴보았는데, <바리공주>는 위에서 살펴본 내용의 특징을 잘 나타내기 위해 서사 구조와 텍스트 구성에서 되풀이 틀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바리공주>가 구전된다는 특징의 영향으로 보인다. 구연자가 현장에서 이미 있던 텍스트를 그대로 재구성해내는 것은 거의 불가능했기 때문에 속담이나 판소리, 불경 등의 내용이나 형식을 차용하거나 원용하는 방식으로 동일한 음절, 음운, 어휘, 통사, 공식구를 되풀이하였으며 이를 통해 의미를 강화하고 사설의 길이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사설 전개에 있어 청중의 흥미와 관심, 감정을 끌어올리는 효과를 노렸다.
전통 가부장제 사회에서도 여성인 주인공이 영웅이면서 궁극적으로는 신격을 획득하는 신화가 꾸준히 그리고 활발히 구비 전승되었다는 점과 여성영웅신이 좌정한 이후 이룩된 새로운 세계가 갈등과 차별이 없는 화합과 평등의 세계라는 점은 우리나라의 민중 의식이 상당한 수준이었음을 나타내며, 성차별이 없는 인간 평등 사상이 서구의 문화, 문물인 것이 아니라 엄연히 이 땅에 존재했던 우리의 사상임을 나타낸다 하겠다.
<참고 문헌>
텍스트
김진영, 홍태환 공저, (1997), 서사무가 바리공주 전집 1 - 바리공주 서울 문덕순 본,
민속원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동명왕편(東明王篇)
참고 자료
<단행본>
김민수, 고영근, 임흥빈, 이승재, (1991), 금성판 국어대사전, 금성출판사
김열규, (1977), 바리데기 『한국신화와 무속신화』, 일조각
(1982), 민담을 보는 다양한 눈 『민담학 개론』, 일조각
(1983), 속신과 바리데기 『한국문학사』, 탐구당
김영숙, (1996), 여성중심 시각에서 본 '바리공주', 페미니즘 문학론, 한국문화사
김재용, 이종수, (1997), 왜 우리 신화인가
- 동북아 신화의 뿌리 <천궁대전>과 우리 신화, 도서출판 동아시아
나경주, (1993), 『한국의 신화연구』, 교문사
윤이흠, (1988), 무속신화의 구조에 관한 연구, - 바리공주의 신화적 공감을 중심으로-,
『한국종교연구』, 집문당
이지영, (1995), 한국신화의 신격 유래에 관한 연구, 태학사
장주근, (1995), 『한국신화의 민속학적 연구』, 집문당
최래옥, (1989), 『하늘님, 나라를 처음 세우시고』, 고려원
<논문>
박상란, (1994), 여성 영웅의 일대기, 그 두 가지 양상
-「바리공주」와 「정수정전」을 중심으로, 동국대 『동국논집』
박신희 (1997), 고구려 건국신화에 나타난 인생관과 세계관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안신영, (1996), 서사무가 <바리공주> 연구 - 서울본과 함경본의 대비를 중심으로 -.
서강대 석사학위
이경하, (1997), 바리공주에 나타난 여성의식의 특징에 관한 비교고찰, 서울대 석사학위
이희주, (1999), 바리공주 무가의 텍스트 구성원리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
장석환, (1991), 바리공주 무가 연구, 경희대 석사학위
최종성, (1995), 진오귀굿 천도제차의 연속성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
한경숙, (1997), 바리공주 무가를 통해서 본 한국인의 죽음 이해, 이화여대 석사학위
홍대한, (1997), 서사무가 바리공주 연구, 경희대 박사학위
  • 가격2,8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6.01.17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34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