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사회론]대중매체에 의한 한국문화의 획일성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중사회론]대중매체에 의한 한국문화의 획일성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제 1절 문제의 제기
제 2절 기존연구의 고찰
제 3절 연구의 목적 및 방법

Ⅱ. 본론
제 1절 대중문화와 대중매체
1. 대중문화의 정의
2. 대중문화의 긍정론과 비판론
(1) 대중문화에 대한 긍정론
(2) 대중문화에 대한 비판론
3. 자본주의와 대중매체
(1) 자본으로서의 대중매체
(2) 대중매체의 집중화 현상
4. 대중매체의 경제적 기능
(1) 자본순환의 보조역할
(2) 타산업과의 상호의존성
제 2절 한국사회와 대중문화
1. 한국 대중문화의 형성과정
2. 한국 대중문화의 특성
제 3절 대중매체와 한국 대중문화의 획일성
1. TV와 대중문화
2. 광고와 대중문화
3. 가요와 대중문화
4. 스타시스템과 대중문화
5. 영화와 대중문화
6. 베스트셀러와 대중문화
제 4절 대중문화 획일화의 메커니즘

Ⅲ.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라 우리가 만드는 것이기도 한 것이다. 즉 우리의 비판 없는 대중매체의 수용이 문화의 획일화를 조장하고 있는 것이다. 보드리야르가 말했듯이 우리는 대중매체들이 어떤 세계를 확인해줄 때까지 우리 자신의 지각을 불신하며 대중매체가 말하는 세상을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김성기, 『포스트모더니즘과 비판 사회과학』(문학과지성사, 1991), 71~72쪽
오늘 만약 스위스에서 비행기가 추락했다고 대중매체에 의해 뉴스, 기사가 되었다. 내일이면, 사람들은 스위스 비행기의 추락에 대해 이야기하며 대중매체에서 제공한 획일화된 지식을 기반으로 자신의 입장에 대해 이야기 할 것이다.
Ⅲ. 결론
현대사회는 문화의 획일성에 대해 상당히 염려하고 있다. 하지만 이미 우리는 획일화된 문화 속에서 살고 있으며 그것을 인식하지도 못한 채, 획일화된 문화를 걱정하고 있는 것이다. 미국의 광고 전문가 토니 슈바르츠가 관찰한대로 “사람들은 매체 테크놀러지에 의해 지배를 당하면서도 자신들이 매체를 지배하고 있다는 환상을 버리지 않는다. 분명히 사람들은 그들의 자율적 의지에 따라 매체를 소비하는 것이지 매체에 의해 강요당하는 건 아니다. 그러나 그들은 매체가 그들의 일상적인 삶에 얼마나 편재되어 있으며 얼마나 많이 대체해버렸는지에 대해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강준만,『대중매체이론과사상』(개마고원, 2002), 201쪽
과거에서 현재로 그리고 미래로 갈수록 제품의 수명 시기나 유행의 시기가 짧아진다고 한다. 어떤 이는 현시대의 사람들이 문화가 획일화되어 가는 것에 대해 반감을 가져서, 그것을 바꿔보려고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는 그와 동시에 대중매체가 제품의 수명시기와 유행의 시기를 통제하고 있는 것을 알아야 한다. 대중매체에서 문화를 선도하고 사람들은 아무런 거부감도 느끼거나, 가지지 않은 채 대중매체를 따라하게 된다. 이것을 깨달은 사람들은 획일성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신을 강조하며,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려고 하며 그것을 탐구한다. 하지만, 이것조차도 문화의 획일성에서 일어나는 일이다. ‘난 나야’『이동전화 018』의 광고 중 대사.
란 광고의 히트와 함께 자신을 찾으려는 사람들이 기사와 뉴스가 되고, 사람들은 그들을 따라하며 ‘난 남들과 틀려’라고 말한다. 문화의 획일화를 염려하는 사람들이 영화나 시, 또는 만화를 통해 경고하고 있지만, 어쩌면 이것 또한 획일화의 한 부분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동아일보의 ‘광수 생각’이란 만화가 획일성을 깨려했지만 ‘조선일보’의 ‘도널드 덕’과 같은 아류가 생겨나면서 획일화 되어 가는 것처럼 말이다.
요컨데, 대중이 인식하는 문화의 획일화는 르페브르의 ‘글쓰기’라는 개념의 설명과 같이 ‘대중매체’가 내보내는 문화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과 같은 수용자적 측면에서의 문제와 상업적 자본주의 논리 하에 움직이는 대중매체의 작동방식에 그 문제의 원인이 있다고 하겠다. 이 문제들의 해결을 위해서는
첫째, 미디어교육을 통한 수용자들의 대중매체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할 것이다. 즉, 대중매체에 의해 전파되는 것 중 무엇이 옳은 정보고 무엇이 그릇되고 거짓된 정보인지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미디어교육을 “미디어 낙진에 대한 민방위(civil defense against fallout)" 강준만,『대중매체이론과사상』(개마고원, 2002), 198쪽 재인용
라고 말한 영문학자이자 대중문화 비평가였던 마셜 맥루한의 말처럼 우리는 이제 사회적 변화에 있어서 교육제도가 미디어제도에 뒤지는 것을 인정해야 할 시기가 온 것이다.
둘째, 이러한 수용자인 대중에 대한 미디어교육과 더불어 매체의 공익성을 강조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대중매체의 내용이 선정적이고 폭력적이라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그러한 쓰레기를 산출하는 생산공정과 산업구조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것이다. 자본주의 구조아래 대중매체가 시청율과 광고수익이라는 사적 영역에 관심을 기울이는 한 우리사회의 다양한 대중문화는 요원한 일이 될 것이다. “중국인이 스테이크를 먹지 않고 쌀을 먹는 것은 그들이 스테이크를 먹어본 적이 없기 때문” 강준만,『대중매체이론과사상』(개마고원, 2002), 168쪽
이라고 말한 영국의 극작가 버나드 쇼의 말에서 우리는 대중매체가 사적 영리추구에만 급급할 것이 아니라 대중의 다양한 기호와 문화적 다양성 확보를 위한 공적인 역할을 맡겨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방송규제와 같은 무분별한 대중매체의 영리추구를 강제하는 조치들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대응책들의 실현과 함께 우리사회에 필요한 것은 지금까지의 일방향적인 대중매체의 전달이 아닌 쌍방향적인 ‘인터넷의 게시판’과 같은 적극적인 대중의 참여가 보다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바로 대중매체의 속성을 바로 알아 한쪽의 모습만을 신봉하는 것이 아닌 다른 한쪽을 바라보는 능동적인 자세가 수용자 대중들에게 필요한 것이다.
※ 참고문헌
: 저서
강준만,『대중매체이론과사상』(개마고원, 2002)
강현두,『현대사회와 대중문화』(나남출판사, 1998)
강현두원용진전규찬 編,『현대 대중문화의 형성』(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김성기,『포스트모더니즘과 비판 사회과학』(문학과지성사, 1991)
이남복,『현대경제사회학』(청주대학교출판부, 1996)
임희섭박길성 編‘,『오늘의 한국사회』(사회비평사, 1995)
일상문화연구회 編 ,『일상속의 한국문화』(나남출판사, 1998)
: 논문
강경란,『한국대중문화의 문화종속적 성격에 대한 연구』(이화여대, 1986)
김영수,『청소년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협성대, 2000)
이성순,『기업의 공익광고가 소비자의 복지의식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 1996)
최태길,『청소년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장로신학대, 1999)
조도현,『베스트셀러변화의 추이와 그 맥락에 관한 연구』(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1999)
함석우,『대중매체가 청소년의 성윤리에 미치는 영향』(신학대, 1999)
: 홈페이지
『동아일보 인터넷판』(www.donga.com)
『중앙일보 인터넷판』(www.joins.co.kr)
『스크린쿼터문화연대』(www.screenquota.org)
  • 가격2,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6.01.23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45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