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더니즘의 정의와 특성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포스트모더니즘의 정의와 특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며

1. 포스트모더니즘의 역사적 배경

2. 포스트모더니티와 포스트모더니즘의 구분

3.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
(1) 포스트모더니즘의 양식적 특성
(2) 포스트모더니즘의 주요 창조 전략들

4.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의 정체
1)포스트모더니즘과 모더니즘의 공통점
2)포스트모더니즘과 모더니즘의 차이점

5. 포스트모더니즘의 한계

6. 사례분석

본문내용

. 셋째, 포스트 모더니즘은 비판과 참여를 거부함으로써 공동사회에 역기능을 가져온다. 넷째, 포스트 모더니즘은 냉소주의적이고 허무주의적이며 패배주의적인 태도를 취함으로써 의미 있는 삶을 영위하고 창출하려는 인간의 노력을 정면으로 거부한다. 다섯째, 포스트 모더니즘은 극도의 비휴머니즘적 입장을 견지한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이러한 비판은 상당 부분 과장되어 있거나 지나친 논리의 비약에서 비롯된 결과이다. 물론 어떤 비판은 적지 않은 설득력을 지니고 있으며, 따라서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은 이러한 비판에 마땅히 귀를 기울이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로 마르크스주의의 입장을 견지하는 이론가들이 주창하는 이러한 비판은 대개의 경우 특정한 어느 한 부분을 전체로 파악하는 오류를 범하거나, 이를테면 역사적 유물론과 같은 오직 어떤 주어진 개념의 틀 안에서만 포스트모더니즘을 파악하려는 오류를 범한다. 이론가들이 이 가운데서 어느 쪽의 오류를 범하던 간에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과 본질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다는 비난을 모면하기 어렵다. (김욱동, 포스트 모더니즘의 이론, 1992, p426-429)
6. 사례분석
포스트 모던 신화 마돈나
'마돈나'라는 팝 가수를 모르는 젊은이는 아마도 없을 것이다. 여가수로서는 8천 5백만 장이라 는 최다 앨범 판매 기록을 가지고 있는 마돈나는 80년대와 90년 초기에 대중 음악계를 석권한 스타 중의 대 스타이다. 모든 형태의 가치와 권위에 대한 반항, 극단적 환락 추구, 극단적인 개인주의, 외모와 성에 대한 집착, 모든 것의 이미지화등, 마돈나가 추구하는 것들은 이 시대 젊은이들이 추구하고 원하는 모든 것이 되어 버렸다. 마돈나가 야한 옷차림을 하고 기독교적 상징들을 남발하며 타락적인 성적 행위로 무대를 휘젓는 장면과 이를 보고 열광하는 관중들의 모습은 절대적인 진리를 상실하고 표류하는 이 시대의 단면을 보여 주는 것이다. 마돈나는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대표적인 인물상이다. 끊임없이 이미지의 변신을 요구하고 객관적인 진리와 실재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믿으며, 어떠한 권위나 가치 체계도 웃음것리로 만드는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이 마돈나와 같은 스타를 만들어 낸 것이다. 그래서 마틴 에이머스(Martin Amis)는 말하기를 "그녀는 아마도 이 세상에서 가장 포스트모던적인 사람일 것이다."라고 말했다. (로이 셔커, 「 대중 음악 사전 」 한나래, 1999)
대중적인 스타에게 가면(페르소나)은 현실의 자신과 대중의 환상 사이에 가로놓인 거의 유일한 방어막이며 동시에 무기다. 하지만 가면을 쓰고 있다고 해서 모두가 끝까지 정상의 자리를 유지할 순 없다. 가면의 환상 때문에 스스로 파멸을 부르거나, 혹은 자신이 바꿔 쓸 가면을 더 찾지 못하면 대중들의 관심으로부터 사라져가야 할 운명이다.
프랑스 대중문화학자 조르주-클로드 길베르가 쓴 〈포스트모던 신화 마돈나〉는 미국 대중가수 마돈나의 노래와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그를 둘러싼 포스트모던한 문화 현상들을 분석한다. 지은이는 마돈나야말로 끊임없이 가면을 바꿔 쓰면서도 분열에 이르지 않는 포스트모더니스트라고 본다. 숱한 변신의 정당성에 스스로 의문을 던지면서도 표현 이외에는 달리 존재할 방식이 없지 않으냐는 태도, 그것이 바로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마돈나는 자신의 노랫말을 심각하게 분석하려는 이들에게 (내 노래는) 사랑 이야기일 뿐이라고 일축하기도 하고, 어떨 땐 내가 하는 모든 행위에는 사회에 대한 메시지가 숨어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지은이는 이런 모호성과 이중성은 마돈나가 대중을 상대로 벌이는 하나의 기호학 게임이라고 한다. 마돈나는 기호학자들이 머릿속에서 벌이는 공상을 무대에서 대중을 상대로 실행하고 있는 셈이다.
요부성녀 넘나드는 페르소나는 '남근권력' 비꼬는 기호학 게임, 남성지배체제 계속되는 한 그의 남성지배는 계속될 것이다.
〈처녀처럼〉,〈물질적인 여자〉,〈나를 위해 울지 말아요 아르헨티나〉,〈프로즌〉등을 부르는 동안 마돈나는 매번 다른 상징으로 나타난다. 남자들이 여자들을 지배하기 위해 만들어놓은 상징인 요부, 누이, 딸, 창녀, (연약하고 바보 같은) 성녀의 이미지를 넘나들며 남근 권력을 비아냥거린다. 마돈나의 각종 인터뷰는 남성 지배체제 안에서 남성의 시선을 난처하게 만들고 싶어하는 마돈나의 전략을 여실히 드러낸다.
마돈나의 가장 포스트모던적인 특징은 아이러니다.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비꼬기, 유머, 장난기, 조롱하기 등의 패러디적인 요소는 현실적인 권위에 위험하지 않게 도전하면서 한방 먹일 수 있는 가장 유용한 방법이 되곤 하는데, 마돈나에게 패러디는 남성적 권위에 대한 도전인 동시에 자신을 상업화하는 핵심코드다.( 패러디는 '원전의 풍자적 모방' 또는 원전의 '희극적 개작'으로 정의된다. 패러디(parody)의 어원인 'parodia'는 "다른 것에 대한 반대의 입장에서 불려진 노래"라는 의미를 갖고 있으며, 이보다 더 오래된 낱말로 추정되는 'parodio'는 "모방하는 것, 모방하는 가수"의 의미를 지녔다. 따라서 이 두 상반된 어원적 의미로 보면 패러디란 '반대'와 '모방' 또는 '적대감'과 '친밀감'이라는 상호모순의 양면성을 띠고 있다. 그러니까 모방과 변용이 패러디를 구성하는 기본개념인 것) 마돈나라는 상징은 남성서구백인 중심의 문화에 대한 통렬한 조소이면서 동시에 그 어떤 남성적 권위가 넘보지 못하는 모든 존재의 어머니, 마돈나라는 새로운 권위의 상징이기도 한 것이다. 바로 이런 속성 때문에 마돈나는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않다는 비난을 받고 있지만, 그럼에도 그는 여전히 현대사회의 우상으로 남아 있을 것이라고예언한다. 현대사회가 여전히 남성 중심의 일원적 세계관 속에서 정체성의 혼란에 시달려야 하는 포스트모던한 시대인 한 말이다.
참고문헌 및 싸이트
김욱동, 포스트모더니즘의 이론, 민음사, 1992,
신승환,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성찰, 살림 ,2003
로이 셔커, 「 대중 음악 사전 」 한나래, 1999
http://blog.naver.com/indielady.do?Redirect=Log&logNo=140002655314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6.01.25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49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