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종교의 의미-기독교의 입장에서 무교와 유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에서 종교의 의미-기독교의 입장에서 무교와 유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序 : Ⅰ. 왜 종교를 연구해야 하는가?

Ⅱ. 유교
1) 유교의 의미
2) 종교로서의 유교, 철학으로서의 유교
3) 유교의 역사
4) 유교는 왜 정치이념으로 사용되었는가?
5) 유교에 관한 의문점
6) 유교의 과제
7) 유교에 대한 기독교의 입장

Ⅲ. 무교
1) 무교(巫敎) 의미
2) 무교의 특성
3) 무교의 역사
4) 무교가 한국인의 기독교 신앙에 끼친 영향
5) 무교에 관한 의문점
6) 무교에 대한 기독교의 입장

結 : Ⅳ. 기독교의 입장에서

본문내용

성에 흐르는, 또 오랜 역사 속에서 한국문화를 지배해온 무교신앙이란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結 : Ⅳ. 기독교의 입장에서
이제까지 한국 사상에 깊이 뿌리박혀있는 무교사상과 수천년 동안 한국민족의 의식구조와 신앙의 방식을 지배해 온 유교에 대해 분석해보고 나름대로 비판까지 해 보았다. 21세기의 세계종교계는 상호 이해의 증진이나 교류, 그리고 생태, 인권, 평화 등을 위한 공동 모임이나 기도회의 개최 등을 바탕으로 공동번영을 목표로 노력하고있다. 종교 사상적인 면에서도 과거에는 특정종교의 테두리 안에서 보편성을 획득하려는 노력을 기울였으나 이제는 여러 종교의 공통 기반 위에서 보편성을 획득하려는 노력이 성과를 거두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예를 스미스(W. C. Smith) W. C. Smith, Towards a World Theology(Philadelphia: Westminster, 1981).
, 힉(J. Hick) 존 힉, 하느님은 많은 이름을 가졌다(이찬수 옮김), 창, 1991.
, 슈온(F. Schuon) F. Schuon, The Transcendent Unity of Relligions(London: The Theosophical Publishing House, 1993).
, 길희성 길희성, 포스트모던 사회와 열린 종교, 민음사, 1994.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대부분의 국가와 달리 우리나라는 개신교와 같은 서양종교와 유교, 무교 등의 동양종교가 서로 대등한 세력을 유지하고 있는 특이한 종교지형을 지니고 있다. 어느 종교도 주도권을 잡지 못한 상태에서, 그리고 사상이나 의례, 조직적인 측면에서 서로 그 뿌리를 달리하는 종교들이 혼재하는 현재적 상황은 항상 종교간의 갈등이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한다. 종교분쟁을 일으키고 있는 대부분의 지역은 종교를 각기 달리하는 민족을 포괄하고 있다는 사실이 그것을 증명한다. 이시카와 준이치, 종교분쟁지도(윤길순 옮김), 자작나무, 1996 참조.
현재 우리나라는 종교의 ‘다원성(plurality)’을 종교의 ‘다원주의(pluralism)’ 쪽으로 바꾸어 나가야 할 시대적인 과제를 지니고 있다. 종교의 다원성은 종교의 혼재이고, 종교의 혼재는 갈등과 분쟁의 씨를 내포한다. 그러나 종교의 다원주의는 종교의 혼재가 아니라 종교간의 공존을 지향한다. 강돈구, 전통사상과 종교간의 협조, 전통사상의 현대적 이해,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0 참조.
우리나라는 종교적인 측면에서 볼 때 종교간의 혼재 상황을 종교간의 공존 상황으로 바꾸어 나가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자국 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유지하려는 노력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발견할 수 있다. 그런데 특정 국가나 문화의 정체성 확립과 유지는 대체로 종교 사회주의나 민족주의와 같은 세속적 이데올로기도 종교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N. 스마트, 현대종교학(강돈구 옮김), 청년사, 1986 참조.
와 필연적인 관련이 있다. 무교와 유교는 아직도 민중의 마음속 깊은 곳에 원초적 신앙으로 자리잡고 있는 종교의 한 형태이다. 세계 어느 나라든 그 나라 특유의 토속신앙이 그 규모의 대소차이만 있을 뿐 존재하고 있으며, 그 형태 또한 위치가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일맥상통하는 점이 많이 있는 것을 볼 때 고등종교들의 탄생에 그것이 원리적 기반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기독교인들은 예전부터 비 기독교인들에게 현세의 생활은 멸시하고 영생불멸을 확신하는데 열중하며 다른 종교를 인정하지 않는 자기 편협주의에 빠져있다는 비난을 받아왔다. 기독교는 좀더 우리 문화와 친밀성을 확보해야 하며, 무교, 유교 등은 적어도 조직과 의례 면에서 현대화에 박차를 가해야한다. 강돈구, 전통종교와 한국기독교, korea journal 1998 pp. 210-212.
그것이 교리와 지침의 완전한 정리와 계승이 유지되고 발전될 수 있다면, 우리만의 고유종교로 다시 태어날 수 있다는 기대도 해 본다. 씨앗을 뿌릴 때 우리는 최소한 그 땅의 토양과 풍토와 지질을 세밀히 검토해야 한다. 제주도의 감귤나무를 북쪽에다 이식시켜 놓으면 죽어버리거나 기형으로 자라거나 열매를 맺더라도 먹을 수 없는 것을 맺는다. 기독교의 복음도 그 복음의 씨가 어떤 토양, 어떤 기후에 떨어져 자라느냐에 따라 그 성질이 때로는 심각히 달라질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우선적으로 우리의 세계에 깔려있는 사상과 문화에 대해 깊은 이해가 요구된다. 기독교는 우선 현대에 이르기까지 큰 혼란이 되어왔던 영속적 문제 중의 하나인 그리스도와 문화의 상호관계를 파악하고 이해해야 한다. 세시절기와 다양한 민족 풍습, 음식과 의례, 놀이와 복식 등 우리문화의 세세한 양식들을 기독교 문화와 접목시키려고 전심을 다할 때, 그러한 작은 노력이 무럭무럭 자라나 거목이 될 때, 한국 교회는 거대한 느티나무가 되어 민족의 삶과 일치할 것이라 믿는다.
<참고문헌>
● 정진홍, 『한국의 종교문화와 민간신앙』, 「민속학술자료총서 민속신앙3」, 터우리마당, 2003
● 강인철 ,『한국 기독교회와 국가 시민사회』, 한국기독교 역사연구소,2003
● 김승혜. 김성례 『그리스도교와 무교』, 바오로딸, 1998
● 류대영, 『초기 미국 선교사 연구』, 한국 기독교 역사 연구소,2003
● 김한식, 『조선조 유학 정치이념의 재조명』, 한국정치학회보, 제29집 3호, 1995
● 조명기외 33인,『한국사상의 심층(증보판)』, 우석 ,1994
● 이시카와 준이치, 『종교분쟁지도』, 자작나무, 1996
● 길희성, 『포스트 모던 사회와 열린 종교』,민음사, 1994
● 서정기, 『孔子』, 살림터, 1999
● 고병익, 『동아시아의 전통과 변용』,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96
● 김병국, 『反유교적 유교정치』, 전통과 현대, 창간호, 1997년 여름호
● 현상윤, 『조선유학사』, 서울, 현음사 1982
● 조흥윤, 『무가 그리스도교에 끼친 영향 한국 그리스도 사상』, 한국 그리스도 사상 연구소,1997
● 박일영, 『그리스도교에서 본 무속 신앙』, 서강대학교 비교사상연구원, 1994
● 박일영, 『한국무교의 이해』, 분도, 1999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6.01.25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49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