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문화의 이해]우리 전통문화속의 성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전통문화의 이해]우리 전통문화속의 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그림
(1) 조선시대 춘화의 형성배경
(2) 조선후기 춘화도
(3) 춘화의 특징과 그 실태
(4) 인간적 체온이 느껴지는 한국의 춘화
1) 김홍도 작
2) 신윤복 작
3) 최우석 작
(5) 춘화의 의의와 재조명의 필요성

<2>무용
(1) 무용의 정의
(2) 춤의 본질
(3) 우리 전통무용 속에 나타난 성의 표현

<3> 문학
(1) 고려가요 - 예 : 서경별곡
(2) 조선 (사녀 VS 기생)
(3) 현대

<4> 국악

3-1. 소결론
<1>그림
<2>무용
<3>문학
<4>음악

3-2. 대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람들에게는 속일 수 없는 우리 민족의 피가 흐르고 있다. 가령, 탈춤사위나 사물놀이를 보고, 들을 때의 어깨춤이 그것이다. 이처럼, 성을 표현하는 방식과 그 성적인 욕구를 해결하는 방식에도 우리들의 전통문화가 있는 것이다.
우리 문화에서 특히 문학이나 무용이나 그림에서는 성을 숨기지 않고 자연스럽게 하나의 소재로서 받아들이고 즐겼다. 조선시대의 춘화에서 또한 탈춤에서 그리고 문학작품과 음악들 속에서 성이란 것은 때로는 은밀하게 때론 대담하고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여러 카멜레온적인 모습을 가지고 있지만 같은 시기의 서양의 중세사회에서 근대로 넘어오면서 보이는 급격한 변화가 아닌 실로 다양하고 폭 넓게 성이라는 것을 향유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우리 문화가 때론 배타적이지만 다른 문화를 존중하고 폭넓게 수용할줄 아는 면에서 비롯되었고 문화의 여러 모습에 있어 등급을 나누기는 했지만 모든 문화를 고르게 전승하고 발전시켰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성문화란 것이 각자의 계층에 따라 그 쓰임새가 다르고 고상하고 세속적인 것이 구분될 수는 있었지만 각자의 역할이 나름대로 있고 그 각각이 의미와 가치가 있다고 판단을 한 것이라 생각된다. (성은 농경사회에서 빼놓을 수 없는 소재였고 농민들은 지배사회에서의 막힌 속을 푸는 도구로, 지배층에서는 즐기기 위한 도구로 사용하였다.)
그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도리어 현대 사회보다는 예전의 전통 사회의 민중들은 性을 통하여 염원을 갈구하고, 또한 생업에 있어서의 스트레스를 풀어나가는 점에 있어 탁월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전통에 있어서의 성의 지표는, 쾌락이라는 측면보다는, 그것이 갖고 있는 생산이라는 기능성에 더욱 중심을 두고 있다. 그러하기 때문에 결코 음탕하지 않으며, 도리어 성스럽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더욱 개방되었을 것으로 일견 보여 지는 현대사회에서는 오히려 성이라는 문화적 코드는 더욱더 밀폐된 곳으로 들어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는 자신의 성욕을 참지 못한 사람들에 의한 각종 파렴치한 성범죄와, 활성화된 미성년자 매매춘 등의 윤락 사업, 또한 그 속에서도 더욱더 변태적인 모습으로 흘러가는 잘못된 성문화는 반대로 쾌락보다는 고통과 스트레스를 더욱 안겨줄 뿐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성에서도 여성을 차별하는 대우나 여성에 대한 비하적 발언이 담긴 내용이 많다. 현재에도 여성이 성을 입에 담거나 성 표현을 하는 것을 부도덕하다고 여긴다는 것은 이에서 비롯된 면이 어느 정도 있다는 것도 인정이 된다. 하지만 이는 우리가 우리 문화를 전승하는데 있어서 어느 한부분만을 중시여기고 다른 부분을 나쁜 것 천한 것으로 배격의 대상으로 삼음으로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실제 서양음악의 경우 교회중심의 음악에서 점차 세속적인 음악으로 그 영역이 확대됨에 있어서 우리와 비슷하게 그 분류를 하였으나 그 각자의 쓰임새와 영역을 존중하여 각자를 발전시키고 조화시켜 지금의 높은 수준의 융화를 이루어 냄을 볼 수 있다. 이에 우리는 결국 우리 문화의 올바른 전승이란 것이 결국 상층문화만이 아닌 전체부분의 균형된 발전과 조화 속에 이루어져야 할 것임을 다시 한번 알 수 있을 것이다.
우리 사회에 여성의 성적 지위 향상은 그 동안 유교적 도덕규범에 의해 규제 및 통제되어져 왔던 성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계기가 되었다. 과거의 우리 사회를 보면 여성이 성적인 이야기를 입에 담으면 그 사람이 어떠한 사람인지도 모른 채 무조건 교양 없고 도덕적으로 비천하다고 인식되어져 왔었다. 그들은 능동적으로 이야기 할 수 있는 권리조차도 빼앗겼던 것이다. 하지만 그들의 성적 지위 향상과 우리 사회의 성에 공론화는 모든 이들에게 그동안 감춰왔던 이야기보따리를 풀 수 있는 기회를 사회적 분위기안에서 갖게 되었다.
사회적으로 성이 담론화 되어가는 것은 좋은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는 것이지만 사실 부정적인 면들이 보이지 않는 것은 아니다. 특히 음성적인 포르노그래피가 그러하다. 성은 음성적으로 받아들이고 불건전한 방식으로 표출이 아닌 공개적으로 이야기하는 우리들 자신의 이야기이다. 여성과 남성의 경계는 필요치 않다. 우리는 인간이며 성적 과정을 통한 감정의 교류를 느껴야 한다. 현재의 우리 사회의 성문화는 부분적으로 잘못된 양상으로 가고 있는 듯하다. 『오양 비디오사건』,『빨간 마후라』또한 자본주의 사회의 성을 상품으로 보는 의식이다. 인간은 근본적으로 상품일 수 없으며 본질이다. 우리는 잘못된 부분을 바로 잡기 위해서도 조금 더 양지에서 공개적인 이야기로 서로의 고민을 나누는 자세가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의식의 교류를 통해서 남자도 여자도, 계급도 중요치 않는, 자유롭게 생각하는 사회가 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욱동『탈춤의 미학』, 현암사, 1994
김종택 『조선의 여인』, 새문화출판사, 1984
김학성, 권두환, 『고전시가론』, 새문사, 1984
김헌선 『한국 전통문화 이해의 길잡이』. 1999
문정희 엮음 『기생시집』, 해냄, 2000 `문정희역 시조, 한시 인용`
미술사랑 『한국의 춘화』 2000.5
박을수, 『한국시가문학사』, 아세아문화사, 1997
송지현, 『다시 쓰는 여성과 문학』,평민사, 1996
이덕희『매혹의 초대』, 예하
이복규 『한국 전통문화의 이해』
이봉옥『조선 고전 무용』, 한국문화사, 1996
이태호 『미술로 본 한국의 에로티시즘』, 여성신문사
이혜순정하영성기옥강진옥이동연박무영조혜란,『한국고전여성작가연구』태학사, 1999
임형택고미숙 『한국고전시가선』, 창작과 비평사, 1997
장사훈『한국전통 무용서론』, 서울대학교 동양음악 연구소
장정윤『한국 전통 무용의 상징적 요소에 대한 철학적 고찰』, 대한무용학회
한국여성개발원 『한국역사 속의 여성인물』Ⅰ, 1998
한국학연구소 『조선어 해화사』 청록출판사, 1977
허남춘,「고전시가와 예술사의 관련 양상 14~15세기를 중심으로」『1999년 전국학술대회집』, 한국시가학회
http://www.koreartnet.com/wOOrII/sori/pansori/pansori_5madang.html」
경향신문 2003-07-16 18:36:27
여성신문 94/10/7 12면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41페이지
  • 등록일2006.01.31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55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