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문헌에 나타난한국고대국가의 사회상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目 次

Ⅰ. 개 관 ..P.2~

Ⅱ.중국문헌의 성격..P.4~
(1) 국내문헌에 없는 보충적 성격의 한국 고대사회
(2) 중국문헌에 나타난 동이족(東夷族)
(3) 중국 사서들에 나타난 삼국에 대한 사료
(4) 중국측 기록의 사료적 한계

Ⅲ .중국문헌에 나타난 고구려사회..p.11~
(1) 고구려 역사 일반
(2) 중국문헌에 나타난 고구려사회
(3) 고구려인의 사회상
(4)중국의 동북공정과 고구려

Ⅳ .중국문헌에 비춰진 백제사회..p.17~
(1)백제역사 일반
(2) 중국문헌에 나타난 백제사회
(3) 특이점
(4) 백제의 국가성립에 대한 검토
(5) 백제의 국가기반과 성격
(6)백제의 통치구조와 사회구성

Ⅴ .중국문헌에 보여 진 신라사회..P.26~
(1) 신라의 역사
(2) 중국문헌에 나타난 신라사회

Ⅵ .중국문헌에 그려진 발해사회상..P.35~
(1) 발해 역사 일반
(2) 특징점
(3) 발해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
(4) 중국문헌에 나타난 발해사회

Ⅶ . 결론..P.42~

Ⅷ . 참고 문헌..P.44~

본문내용

라고 보는 것은 큰 오류이다.
앞서 말했듯 역사는 문서 유물을 취급하는 것이라는 원칙에 충실하였다. 따라서 문자 발명 이전의 인류사는 역사 연구의 영역에 들어오지 못했다. 또한 문자 문화로부터 소외되었던 지역은 연구의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었다. 그러나 근래에 역사학의 관심 범위가 넓어지고 과학적인 연구방법이 활용됨으로써 사료의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그 동안 정치사에 열중하던 때 널리 이용되던 법령집과 외교문서 뿐 아니라, 역사학의 주변 학문인 고고학, 인류학 등의 발전에 힘입어 역사적 연구의 범위가 생활사, 경제사, 문화사 등으로 확장되었다. 아울러 연구범위도 경제문서, 생활 도구, 문학작품, 예술작품 등도 포함되게 된 것이다. 이제 사료의 개념은 과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모든 것 내지는 과거 생활의 모든 흔적을 일컫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역사학계의 현상은 교육계에도 적용되어 지게 되었다. 요즘 사료를 활용한 수업은 너도나도 할 것 없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사료에 대한 담론이 부족했던 이때 얼마나 사료의 이론이 적절한 것일까?
사료가 그대로 쓰여 지는 것이 아니다. 사료는 비판을 통해 검증받고 나서야 쓰여 질 수 있다. 사료 비판은 크게 외적 비판과 내적 비판의 두 단계를 거친다. 사료의 외적 비판이란 사료의 정당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사료의 진위와 언제, 어디서, 누구에 의해 만들어졌는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사료가 만들어진 시대는 어떤 성격과 그 글쓴이의 위치를 잘 살펴야 한다. 역사가에 의한 사료에 대한 외적 비판은 의사가 처방에 앞서 진단을 해야 하는 것과 같다. 정확한 사료 비판 없이 쓰여진 역사가 주는 피해가 크다. 왜냐하면 역사의 진위는 쉽게 증명할 수 없고, 그것을 판별하는 작업인 것이다. 외적 비판은 내적 비판을 위한 준비 작업이다. 따라서 이를 저급 비판이라고 부르는 반면 내적 비판은 역사적 연구의 핵심으로서 고급 비판이라고 부른다.
사료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내적 비판이다. 즉 내용의 의미, 정확성, 그리고 신뢰성 등에 대한 비판이다. 내적 비판에서도 저자는 중요하다. 그의 지위나 입장이 내용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 중요하다. 저자의 스타일이나 문체도 중요하다. 이전 문서와의 비교, 여러 문서의 비교 검토도 필요하다. 문서의 진위의 판별로부터 진리의 규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그 문서를 작성한 사람이 어떠한 의도를 갖고 있었는지, 그 문서가 당시의 사회적 조건하에서 어떠한 성격을 갖는 것인지, 왜 그 같은 문서가 출현하였는지 등등을 분석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작업은 해석 단계에 해당된다.
사료를 대함에 있어서 역사 연구자는 사료에 대한 무비판적인 견해를 거부해야 하는 동시에 사료에 대한 근거 없는 회의론도 물론 경계해야 한다. 우리나라 교육사학자들에게는 사료 비판 의식이 요구되는 단계이다.
요즘 일반에서도 사료의 활용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사료이용에 대한 비판도 많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영국의 것과 비교해 비춰어보면, 영국이 사료 학습과의 시사점 일단 우리 교과서에 수록된 사료는 그 분량에 있어서 너무 적다는 것이 취약점으로 꼽히고 있다. 영국의 고등학교 교과서가 학습단원에 평균 10편 이상인데 우리의 고등학교 교과서는 겨우 평균 0.5편에 불과하므로 우리의 교과서에 사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물론 7차 교육과정에 이르러서 교과서에 많은 사료들이 포함되고 있다. 하지만 그것 역시도 많은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만약 1차 사료를 수록하지 못할 경우영국의 교과서처럼 2차 사료를 엄선해서 사용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우리 교과서 사료를 학습단원별로 균등하게 배분할 필요가 있다. 어떤 단원에는 단 한편의 사료도 없는 반면, 어떤 단원에는 절반이상의 사료가 쓰여 있다. 이런 사료의 불균형은 결국 학습을 방해하는 요소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영국의 교과서들은 비교적 적게 공식문서를 사용하는데, 우리의 교과서는 너무 지나치게 이를 싣고 있다. 이와 같은 것은 학생들에게 사료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키지 못하며, 또한 역사를 나와 다른 것이라는 이질감을 느끼게 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사료의 중요한 특성인 활력성이 사라지는 것이므로, 사료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하기에 문제가 있다. 따라서 우리의 교과서도 영국처럼 사문서의 비중도 늘일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교과서 속 사료는 어떻게 이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학습자들에게 어떠한 설명을 하지 않고 있다. 이로서 적절한 이해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편견을 가질 수 있다. 결국 이러한 것이 학생들에게 역사왜곡을 바로 가져다주는 것이다. 이에 반해 영국의 교과서는 매 학습단원마다 수록된 사료를 평가할 수 있는 질문, 같은 사건에 대한 사료간의 차이와 질문을 한다. 영국의 교사서 사료와 같이 우리의 교과서 사료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만, 우리도 정확한 사료를 쓸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될 것이다.
역사는 지나간 어제의 것만을 이야기하지는 않는다. 역사는 앞으로의 여러 가지 일에 조언을 해주고 있다. 그런 점이 우리가 역사를 배우는 이유라고 할 수도 있다.
중국문헌을 통해 다소 많은 양의 우리 역사에 대한 내용들을 살펴보고, 그를 통해 삼국에 대한 지식을 더해 갈 수 있었다. 단지 아쉬운 점은 중국의 이런 문헌에 의존해야 만하는 현 현실이다. 별다른 자료가 없으니, 믿을 수 밖에 없다는 식의 어조는, 달리 말하면 중국에서 의도적으로 왜곡해 적은 내용까지도 그냥 어쩔 수 없이 순응할 수 밖에 없다는 이야기가 된다.
그런 점에서 우리는 사료에 대한 연구와 학습을 병행해 검증된 자료들을 통해 역사를 봐야한다는 말이다. 그래야만, 상대적으로 사료가 부족한 고대사를 더 발전시켜나갈 수 있는 길인 것 같다.
Ⅶ. 參考 文獻
변태섭,『한국사 통론』, 삼영사, 2002
서울대학교 출판부, 『한국사특강』, 2002
김재선,『한글 동이전』, 서문문화사, 1999
유원재,『중국정사 백제전 연구』,학연문화사, 1993
신천식, 『한국고대민족사의 탐구』,서경문화사 2003
신형식, 『高句麗史』『韓國의 古代史』,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 가격3,000
  • 페이지수38페이지
  • 등록일2006.02.16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59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