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조선 산업의 현황과 전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중국 조선산업 개요

Ⅱ. 조선 산업의 현황
2-1. 발달과정
2-2. 규모와 특징
2-3. 조선 산업의 조직
2-4. 주요 현황

Ⅲ. 조선산업 전망
3-1. 주요 전망

Ⅳ. 향우 발전 전략

참고문헌

본문내용

등의 측 면에서 유리한 위치에 서게 될 것임.
- 일본, EU 등의 조선산업은 경쟁력이 뒤지면서 쇠퇴할 것으로 예상되고 한국의 성장 세도 둔화될 것으로 예상됨.
2) 주요 품목별 경쟁 전망
중국의 건조설비 및 타깃으로 추진하고 있는 건조 선종이 한국과 많은 부분 중복되 고 있어 한국 조선산업은 대부분의 선종에서 중국과 경쟁을 벌일 것으로 예상
- 중국 조선업계는 현재 추진 중인 대규모 설비확충이 완료되면 VLCC, 대형 컨테이너선, LNG선 등 부가가치가 높은 대형 선박분야 건조에 본격 참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LNG선 등 일부 고부가가치선을 제외하고는 한국 조선업계가 우위를 유지할 수 있는 선종이 점차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VLCC, 초대형 컨테이너선 등 한국 조선업체들의 주력선종 분야에서 중국이 최대 경쟁국으로 부상할 전망임.
한 중 조선기술 격차는 2 0 1 0년 이전에 상당히 좁혀지겠지만, 생산관리기술 및 신선형 개발기술 등은 한국이 우위를 유지할것으로 예상
- 가공, 용접 등의 공작기술은 2 0 0 5년 이후에 근접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가 공조립의 정도, 선행의장, 총조공법 등의 생산기술은 현재 격차가 크지만 2 0 1 0년경에는 근접한 수준까지 향상될 것으로 예상됨.
- 공정과 자재 도면의 일정관리, 공수와 원가관리, 정도와 품질관리, 안전관리 등에서의 기술격차는 좁아지겠지만 2 0 1 0년 이후에도 한국이 우위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신선형 개발기술도 마찬가지로 우위 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건조선종에 있어서는 중국의 구조개혁에 의한 효율 향상, 기술개발 가속화 등으로 경쟁력이 급성장할 전망
- 벌크선은 2 0 0 5년 이후에 수준이 근접할 것으로 보여 경쟁이 예상되며, VLCC, 대형 컨테이너선은 2 0 1 0년 경에 대등한 수준에서 경쟁이 이뤄질 전망임.
- 한편, LNG선 및 여객선의 경우에는 2 0 1 0년 이후에 본격적으로 경쟁이 이뤄질 전망임.
5 1 0년 내에 한국의 중대형 조선소와 경쟁하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는 중국조선소는 대략 4개 조선소
- 중국 최초로 V L C C와 F P S O를 건조한 新大連造船所, 일본 가와사키중공업과 합작한 조선소로 대형컨테이너선 및 V L C C를 건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南通 가와사키 조선소, 중국 최신예 조선소로 건설중인 外高橋造船所, LNG선을 건조하는 광동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으며 V L C C도 건조할 수 있는 능력을갖춘 東中華造船등임.
<표 7> 선종별 한·중 경쟁시기 전망
Ⅳ. 향우 발전 대응전략
(1) 기술 경쟁력 제고
선박의 대형화 고속화에 대한 기술개발, 미래수요제품 개발, 선박 생산시스템 기술의 고도화, 조선산업 정보화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 등을 추진
- 장기투자가 필요한 차세대 선박 개발, 미래 수요제품의 개발을 위해서는 산 학 연 등의 공동개발체제 구축을 추진함.
- 차세대 설계시스템 기술, 공정계획 및 생산관리시스템 기술, 생산자동화 시스템 기술 등 선박생산시스템 기술분야에 대한 집중 개발을 추진함.
미래 수요가 예상되는 해양 관련 신산업에 대한 기술개발을 적극적으로 도모하고 해양구조물 관련 기술개발 추진
- 메가플로트, 헬리포트, 인공섬 등의 해양 구조물사업은 조선산업의 공급역량을 활용할 수 있는 분야로서 향후 수요증가가 예상되고 있음.
(2) 조선 기자재의 품질제고 및 핵심 기자재 개발 추진
고부가가치 선박용 기자재 및 핵심 기자재의 개발과 품질제고를적극 추진하여 국산 기자재의 선박 탑재율 제고
- 핵심 기자재의 국산개발 및 국산 기자재 탑재는 선박건조 비용의 절감을 가져오는 동시에 향후 기자재 수출기반이 될 수 있음.
조선기자재연구원의 기능강화 및 활성화를 통한 기자재 품질제고 도모
- 조선기자재연구원의 핵심 기자재에 대한 기술개발, 성능평가 및 국제공인 품질 인증시스템 확보 등의 기능 강화는 중소업체의 기자재 품질을 제고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임.
(3) 안정적인 인력 공급체계 확립
고령화 추세 및 부족한 기능인력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방안 모색
- 업계 자체의 훈련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정부지원을 다각화하여 기능인력 훈련기관을 설립함.
- 여성인력 및 외국인 근로자 활용방안도 모색하여 기능인력 부족 및 고령화 추세에 대비함.6 )
전문 기술인력의 지속적인 배출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산 학 연 공동 노력
최근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는 국내 7개 조선업체의 협력업체에 외국인 연수생
3 3 4명을 배정하기로 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현대 1 4 5명, 대우 1 2 5명, 삼성 2 5명, 한진 8명 등으로 나타남.
- 우수인력의 조선전공 기피는 한 중 일 모두 발생하고 있으며 조선공학 전공자들의 조선산업 기피도 심각한 것으로 지적되고있음.
- 조선 전공 전문인력의 유치는 물론 조선산업 분야에서 필요한 타 전공인력의 적극적인 유치 및 우수인력의 조선전공 유도를 위해 장학기금 조성 및 지원방안을 모색함.
(4) 조선업체간 협력 강화
조선업체간 협력을 통하여 공동 이익을 꾀하고 통상문제 완화도모
- 출혈 경쟁을 지양하여 수익성을 제고하고, 기술 영업 자재조달 등에서의 협력을 통해 상호 이익을 도모하는 한편 통상문제에 대해 공동 대처함.
충분한 건조물량을 확보하고 있는 대형 조선업체와, 건조 및 수리물량 부족으로 악화일로에 있는 중소형 조선소와의 협력 도모
- 중소 조선소의 기능인력을 활용한 블록생산 등 건조물량의 하청을 통해 상호 이익을 도모함.
〈참고문헌〉
대외경제정책연구원,「중국 조선산업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2001.
POSRI 내부자료, 2001. 9.
LIoyd s Register, World Shipbuilding Statistics, 2001. 12.
LIoyd s Register, World Ship Monitor, 2002. 6.
산업자원부,「한·중 기술경쟁력 연구(선박 및 조선기자재)」
2003. 1 등 참조
한국수출은행 해외경제연구소 (2001. 6)
산업연구원,「조선산업의 경쟁 요소별 분석 및 대응 전략」
홍성인, 2003.
한국해양 수산개발원,「중국 조선산업 동향과 한·중 경쟁력 비고」
박태원, 2002. 7.
  • 가격1,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02.18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72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