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교육과 체육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 론

II. 삼국 시대
1.고구려의 교육과 교육적 인간상
2. 신라의 교육과 교육적 인간상
3. 백제의 교육과 교육적 인간상

III. 고려 시대
1.고려의 교육과 교육적 인간상
2. 교육의 한 방법으로서 체육

IV. 조선 시대
1. 조선의 교육과 교육적 인간상
2. 교육의 한 방법으로서 체육

V. 결 론

본문내용

는 그 중심 가를 흐르는 속칭유다리를 경계로 하여 남부에 鳳岡, 締廳, 盛武廳, 三一齋서당 등 4개의 서당이 있었고, 북부에는 德麓서당 1곳이 있었다고 한다. 가마싸움은 북부의 덕록서당 하나와 남부의 4개 서당이 편을 만들어 겨루었고, 양편은 각각 60~70명의 학동들이 놀이에 참가했다.(고려대민족문화연구소,1995, 596)
이 놀이의 실제는 길놀이와 싸움그리고뒤풀이로 구성되었는데 길놀이는 令旗를 필두로 대형을 이루어 마을을 누비고 다니며 기세를 올리는 과정이며, 양 팀은 각각 시장 마당에서 대치한 다음 실제 싸움으로 돌입한다. 싸움의 형식은 상대의 기를 빼앗고 가마를 먼저 부수는 편이 승리를 차지하게 된다. 이긴 편은 빼앗은 상대의 기를 높이 쳐들고 마을 거리를 누비고 기세를 올리며 행렬이 서당 앞마당에 이르면 놀이는 온 마을의 축제로 변모 하였다.
이러한 놀이를 체육의 관점에서 평가할 때 여가 이용의 레크레이션적 가치, 놀이투쟁격렬한 육체활동을 포함하는 스포츠적 가치, 교외에서 실행되는 비형식적 경기로서 교외경기(extramural)의 가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학동들의 행사가 마을의 축제로 승화된다는 측면에서 볼 때, 현대 사회에서 실시되고 있는 운동회가 학교만의 행사가 아니라 학교를 중심으로 한 모든 사람들의 축제로 승화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놀이는 엄격한 생활과 암기식 학습에 의해 형성된 심신의 불균형을 해소하여 원만한 인격을 지닌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 활동이라는 점에서 전통사회 교육에 내포된 체육 교육의 개념이라는 의미를 찾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교육 현상만을 위한 교육 활동이라기보다는 교육의 한 방법으로서 신체 활동을 활용하였으며 동시에 체육이 교육의 주변 교과로서가 아니라 체육 활동 자체도 목적이 되는 실제적 의미를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V. 결 론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한국의 전통사회에서는 각 왕조마다 초등부터 고등 교육에 이르기까지 교육 기관을 국가적 차원에서 설치하고 운영했으며, 때로는 일부 지식인들이 국가적 목적에 부응하여 인재의 양성에 적극 참여해 왔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교육은 첫째, 국가 관리로서의 전문가, 둘째, 학문을 연찬하고 후학의 교육을 담당할 교육자, 셋째, 개인적 지식 욕구의 충족, 넷째, 국민 의식수준 향상을 위한 지식의 보급을 목적으로 상류층 뿐만 아니라 평민들에게까지 개방되어 국민들은 자기 노력에 따라 깨우친 사람으로 거듭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교육이 지향했던 인간상을 요약하면 문무겸비인, 힘과 슬기의 인간, 성인군자와 같은 도덕적 인간, 자기수양에 의한 능력인, 국가사회를 위한 실천궁행인 등 여러 가지로 표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부 시기, 특히 조선 중기 이후처럼 성리학적 공리공담이 교육을 지배하여 교육 받은 인간의 육성 보다는 현실과 동떨어진 교육을 위한 교육에 그친 경우도 있었지만 대체로 전 시기를 관통하여 흐르는 교육적 인간상은 사회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사람다운 사람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 기관은 주로 경서의 탐구를 중심 과정으로 하였지만, 전체적 교육에 내포된 일부 비형식적 신체 활동들을 잠재적 교육 과정의 개념으로 해석한 결과 전통 사회의 체육 교육 현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한 체육의 내용은 활쏘기, 말타기와 같은 육예의 종목을 비롯하여 당시 사회에 존재하였던 일반적인 신체 활동들이 중심을 이루었던 것으로 추측되며, 비형식적(비체계적)인 것으로 파악 되었다. 이상과 같은 검토를 토대로 하여 전통 사회 체육 교육의 정체성을 추론해 보면, 힘과 슬기가 조화된 인간으로서 행동인의 육성 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교육 현상만을 위한 체육이 아니라 체육 활동 자체도 목적이 되는 실제적 의미를 지향하고 있는 것이며, 동시에 체육과 교육 그리고 사회 생활이 서로 유리되지 않은 포괄적 개념을 유지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권4, 6, 45,
高麗史 권14, 74, 80, 81,
禮記. 射儀編
고대민족문화연구소(1995). 한국민속대관4. 서울:고려대출판부.
국제문화재단편(1982). 한국의 선비문화. 서울:시사영어사.
김동석(1990). 고려후기 향교의 실태와 그 기능에 관한 일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김익수(1982). 유가사상과 교육철학. 서울:형설출판사.
김재만(1984). 교육사. 서울:교육과학사.
나현성(1985). 한국체육사연구. 서울:교학연구사.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편(1998), 교육학대백과사전3, 서울:하우동설
서울대학교교육연구소(1997). 한국교육사. 서울:교육과학사.
손인수(1964). 한국교육사상사. 서울:재동문화사.
손인수(1996). 신라 화랑도의 공간. 서울:문음사.
손인수외3인(1971). 한국교육연지사. 서울:새한신문사.
신천식(1983). 고려교육제도사연구. 서울:형설출판사.
吳文忠(1982). 體育史. 臺灣:正中書局.
유원재(1993). 중국정사 백제전 연구. 서울:학연문화사.
이기백(1967). 고구려의 경당. 역사학보35,36합집. 414-426.
이만규(1991). 조선교육사I. 서울:거름.
이민수(1981). 조선전. 서울:탐구당.
이진수(1987). 신라화랑의 체육사상연구.서울:보경문화사.
이진수(1994). 한국체육사. 서울:지식산업사.
이홍직(1982). 국사대사전. 서울:한국출판사.
정순목(1980). 한국서원교육제도연구. 대구:영남대학교 출판부.
조연순(1995). 한국초등교육의 기원. 서울:학지사.
진경환역(1982). 조선상고사. 서울:인물연구소.
진단학회(1981). 한국사. 서울:을유문화사.
차주환(1972). 동양의 지혜. 서울:을유문화사.
최무장,임연철(1992). 고구려 벽화고분. 서울:신서원.
한국교육사연구회(1984). 한국교육사. 서울:교육출판사.
한국교육학회 교육사연구회편(1976). 한국유학사상과 교육. 서울:삼일각.
한국철학회(1987). 한국철학사. 서울:동명사.
한기언(1983). 한국교육사. 서울:박영사.
笹島恒輔(1960). 中國體育史. 東京:逍遙書院.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3.12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94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