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사기 삼국유사 비교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머리말

II. 본말
1. <三國史記>
1. 김부식의 생애
2. 김부식이 <三國史記>를 저술한 목적
3. 三國史記의 구성
1) <三國史記>의 성격
2)<三國史記>의 서술 원칙(특징)
4. 三國史記의 편찬
1)三國史記의 편찬과정
2) 편찬 참여자
3) 편찬에 이용된 자료
5. 三國史記의 내용
6.<三國史記>의 의의
2. <三國遺事>
1. 일연의 생애 (1206∼1289)
2. 저술한 시대적 배경
3. 일연이 <三國遺事>를 지은 목적과 의도
4. 三國遺事의 구성
1) <三國遺事>의 성격
2)<三國遺事>의 서술 원칙
3)<三國遺事>의 구성과 체계
5. <三國遺事>의 의의
3. <三國史記>와 <三國遺事>의 비교
1. 체재의 성격
2. 서술방법
3. 사학사적 의의
4. 도표를 통한 상호비교
5. 기타 내용적 측면에서의 비교

III. 맺음말

본문내용

압력으로 인한 북 진운동의 발현
ㆍ묘청의 난으로 인한 인심의 분 열
ㆍ고려 충렬왕 7~9년 (1281~1283)
ㆍ무신정변과 몽고의 침공 및 압제
저술목적
ㆍ민심의 재수습
ㆍ국왕중심의 중앙집권체제 강화
ㆍ유교정치의 재확립 목표
ㆍ무신정변 이후 혼란한 사회에 대한 자각과 반성→정신적 기준을 되찾기 위한 과거의 전통 재인식
저자의 역사인식
ㆍ이상적 유교정치 구현
ㆍ역사를 교훈이나 후세의 귀감 으로 파악하여 역사서술을 현 실비판의 도구로 삼음
ㆍ멸사봉공의 의무와 도리를 강 조한 국가의식 강조
ㆍ신이의 강조
ㆍ유교의 도덕적 합리주의 사관에대 한 비판적 태도
ㆍ불교적 ㆍ신화적 세계
서술상의 방법
ㆍ기전체(열전 20%, 본기60%)
기전체: 왕조를 중심으로 역사를 시대 순으로 훑는 '본기' 와 인물 담은 '열전'을 축 으로 하는 서술 방식.
ㆍ기사본말체
기사본말체: 연대나 인물보다 사건에 중점을 두어 그 원인·경과·결 과 등의 관계를 서술하는 방식.
구성
ㆍ본기·지·연표·열전으로 구성.
ㆍ열전의 등장인물 69명중 순국 한 사람 21명, 통일 전쟁에서 활약한 인물 34명
ㆍ저자 개인의 관심각도에 따라서 자 유로이 주제 선택.
ㆍ왕력·기이·흥법·탑상·의해·신주·감 통·피은·효선의 9편 구성.
상지론지, 의왈, 찬 등으로 자신의 의견 제시.
역사학적 의의
ㆍ한국사학사에 역사학적 방법과 역사관에 있어 고대사학으로부 터 새로운 발전을 함
ㆍ설화와 신화를 그대로 기록하 던 고대의 역사학으로부터 벗 어나 철저한 문헌 기록
ㆍ사료의 사실 여부를 검토비판 취사선택하고 자신의 견지에서 역사사건을 비판
ㆍ세계적인 보편성을 띈 유교라 는 관 점에서 한국 중세사학 의 기초를 정립
ㆍ사료적 가치의 중요성- 출처를 명 확히 밝힘
ㆍ유교의 도덕적 합리주의 사관에 대한 비판적 태도
ㆍ풍부한 신화의 세계 존재
ㆍ역사적 신이에 대한 기록은 한국 고대사를 자주적인 입장에서 새로이 이해해보려는 노력
ㆍ민족 자주성과 문화의 우위성 강조
ㆍ불교사관을 통한 불교사 영역의 확대
5. 기타 내용적 측면에서의 비교
1) 신라의 왕의 명칭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국왕의 호칭이 '거서간(居西干) -> 차차웅(次次雄) -> 이사금(泥師今) -> 마립간(麻立干) -> 왕(王)'으로 변화되었음을 밝히고 있고, 최치원(崔致遠)의 제왕연대력(帝王年代曆)에는 모두 왕(王)으로 기록되어 있다고 설명되어 있다.
김부식(金富軾)은 이를 두고 최치원(崔致遠)이 그 칭호가 야비해서 부를 것이 못된다는 생각 때문에 왕(王)으로 불렀을 것이라 밝히고 있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왕(王) 칭호와 거서간(居西干), 차차웅(次次雄), 이사금(泥師今), 마립간(麻立干) 등이 모두 사용되었고 중국의 사서에는 왕(王)의 호칭 이외에는 전혀 사용되지 않고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있는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2) 신라의 시대 구분
<삼국사기>는 신라의 시대를 왕의 혈통을 기준으로 나누었으며, <삼국유사>는 왕호(왕의 명칭)을 기준으로 시대를 구분하고 있다.
(1) 삼국사기 (혈통에 따라 구분)
상대
성골
박혁거세~진덕여왕
중대
진골-무열계
무열왕~헤공왕
하대
진골-내물계
선덕왕~경순왕
(2) 삼국유사 (왕호에 따라 구분)
상고
고유 왕호
박혁거세~지증왕
중고
불교식 왕호
법흥왕~진덕여왕
하고
유교식 왕호
무열왕~경순왕
III.맺음말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는 한국고대사 연구의 가장 큰 흐름이라는 제일의 공통점과 신라를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다는 유사성이 보이는, 역사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사서라고 한다. 이 두 사서는 각각으로도 그 사학사적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으나, 역사서란 그 시대의 배경과 서(書)를 써나가는 저자의 개인적인 사학사적 인식도 무시할 수 없는 것이므로 같은 일에 대하여 얼마든지 달리 바라볼 수 있는 것이어서, 이들의 연구에 있어서는 두 사서를 따로 분리시켜 생각하면, 서(書)의 진정한 평가에 미치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100년 이라는 시기의 차이와 그 체재와 내용면에서 그리고 서술의 방식 등에서 첨예한 차이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고려시대의 큰 맥을 살펴볼 수 있는 두 사서를 한꺼번에 살피는 것이 한국고대사의 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지금까지 사학사의 연구에 있어 상당한 자리를 차지하는 두 사서를 자세히 살펴보고 이들을 비교분석해 보았다. 이 연구에서 필자는 두 사서가 공통점도 있지만 상당한 차이점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고, 이는 역사를 바라보는 역사가의 인식과 시대상황에 맞추어 자신이 사서를 짖는 목적에 맞는 형식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그 체재와 구성 등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나 싶다. 따라서 이들을 비교하면서 이들의 구성적특징에 맞추어 살펴보았으나, 이는 두 사서를 비교함에 있어서는 매우 미약한 것이고, 이들의 진정한 비교에 있어서는 두 사서가 가지고 있는 내용과 그 안에 실코자 했던 저자들의 생각들, 그리고 이 사서들이 갖는 사학사적 의의에 있어서 더욱 자세히 살펴보아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필자가 전문적 지식이 부족함으로 인해 더욱 깊은 연구를 할 수 없음에 아쉬움을 느끼며 이 보고서를 마친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Esward J. Shultz, <김부식과 『三國史記』>,한국사연구.1991
조종걸 등,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상권, 창비사
신형식,<삼국사기 열전의 분석> 「한국사 총론」, 1978
정구복, <김부식과 『三國史記』> 『한국중세사학사(1)』, 집문당,1999
이강래, <三國史記> , 한길사, 2002
高柄翊, <三國史記에 있어서의 歷史敍述>《金載元博士回甲紀念 論叢》, 1969
《韓國의 歷史認識》, 創作과 批評社,1976
金哲俊, <高麗中期의 文化意識과 史學의 性格>《韓國史硏究》9, 1973
《韓國의 歷史認識》, 創作과 批評社, 1976
韓國古代史硏究會 編, 《韓國古代史資料集》, 知識産業社, 1992
<三國遺事>
고운기, 일연과 삼국유사의 시대 , 월인, 2001.
박진태등 삼국유사의 종합적 연구 박이정, 2002.
조병삼,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상권 - 창비사
채상식, <일연의 사상적 경향>, 한국문화연구, 1988
이창호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2002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6.03.13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95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