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gital convergence - 방송통신융합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Digital Convergence의 개념

Ⅱ. Digital Convergence의 진전

Ⅲ. 외국에서의 digital convergence

Ⅳ. 현재 이슈가 되는 진행되고 있는 디지털 컨버젼스
Ⅳ.1. 모바일 컨버젼스
Ⅳ.2. 중요쟁점: DMB - 핸드폰 중심/ PDA/노트북
Ⅳ.3 지능형 홈서비스
Ⅳ.4. 쌍방향 TV 서비스

Ⅴ. digital convergence의 경제적 함의

Ⅵ. 참고 문헌

본문내용

그리고 공적 프로그램 편성 등을 포함한 최소한의 공익 요구 사항 등을 권고하고 있다. 영국에서도 방송법을 통해 일정 비율의 유럽산 프로그램이나 독립 제작사 프로그램방영, 장애인을 위한 자막, 음성 해설, 수화 통역 방송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프로그램 공급의 독과점화를 막기 위해 방송 서비스 관련 포인트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미국 PIAC의 권고 사항은 다음과 같다. 김은미, “정보화 정책의 유효성 제고를 위한 탐색”, 유재천 김대호 외 『디지털 컨버전스』,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p.344.
① 디지털 방송 사업자들에 의한 공익 활동의 전개
② 방송 산업을 대표하는 NAB의 자발적인 행동 지침
③ 공동체 사회와의 근접성 유지, 분기별로 공중과 공공의 관심사에 대해 보고해야 할 책임, 공공 서비스에 대한 발표의무, 지역적 이슈와 요구에 중점을 둔 공익 프로그램, 공익 프로그램의 자막 방송 등 최소한의 공익적 요구사항
④ 디지털 방송을 통한 교육의 향상
⑤ 멀티플렉스를 선택하여 그로 인해 경제적 이익을 얻는 디지털 방송 사업자들은 멀티캐스트 채널을 공익적 목적으로 제공할 것인가, 일종의 기부금을 낼 것인가 중 선책
⑥ 정치적 담론의 질적 향상
⑦ 디지털 시대의 재난 경고를 위해 방송 사업자들이 위기통신 전문 기구 및 제조업자들과의 협력
⑧ 디지털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인의 접근권 보장
⑨ 방송의 다양성을 위한 독립제작 프로그램의 지원 및 인센티브 제공
⑩ 새로운 텔레비전 환경 하에서의 공익 의무에 관한 새로운 접근- ‘pay or play' 모델의 고려
우리나라의 경우 디지털 시대의 경쟁 논리와 산업 육성에 대한 관심에 비해 수용자의 복지 확보를 위한 정책적 노력은 매우 미흡하다.
다채널 상황에서는 서비스가 시장 원리에 기초해 수용자들의 수요에 직접 대응하는 방식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다양한 수용자들의 욕구가 충족될 수 있다. 반면에 공공성이 강한 보편적 성격의 방송 영상물 제작, 공급 기반이 약화되고 양질의 영상물이 모두 값비싼 상위의 영상물 제공 창구로 상향이동하게 됨으로써 경제적 능력에 따른 격차가 심화될 가능성은 여전히 높다. 방송의 막대한 사회문화적 영향력을 감안할 때, 지향해야 할 사회문화적 가치까지 희생하면서 특정 하드웨어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논리는 설득력이 없다. 따라서 산업 육성은 산업 정책으로 추진하고 방송 정책은 수용자 복지를 극대화하는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컨버전스 미디어 발전의 본질은 이용자 차원에서 누구나 동일한 사양의 고기능 다목적 매체를 획일적으로 사용하는 것과는 거리가 있다. 사용자들의 욕구나 필요에 따라 기능 및 내용들이 세부적으로 조합된 자신만의 맞춤형 매체야말로, 기능이 고도화된 매체가 현실적으로 수용되는 방식에 가깝다고 하겠다. 이런 상황 속에서 최근 나타나는 매체적 기능의 통합 또는 기능성의 최대화는 이용자의 측면에서 가질 수 있는 유연성과 차별성을 극대화시키고자 하는 사업자들의 전략으로 해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중장기적으로 컨버전스는 결국 고정적인 매체 형식이 장기간 지속되는 것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은 매체 형식의 극대 유연화 상황 내지 매체 형식의 해체 상황으로 전개되어 갈 수도 있다.
실제로 매체 기능은 융합되어 가지만 매체 이용에서 나타나는 현상은 집단간 분리와 단절의 심화다. 경우에 따라 이러한 집단간 분화 현상은 사회, 정치, 문화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격차의 형태를 띨 가능성도 있다.
쌍방향 TV등의 발달은 수용자가 더 이상 일방적으로 메시지를 제공받는 수신자가 아니라 능동적으로 자신의 선택을 실천하는 행위자로서의 수신자라는 뜻과 일맥상통한다. 또한 그 사회의 다양한 의견이나 사상, 쟁점을 포함한 프로그램이 시청자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이것은 기존에 방송사에 부과되었던 공익성 보장의 책무를 구체화 시킨 것이다.
디지털 방송, 위성방송 등의 뉴미디어 테크놀로지 기술이 아무리 발전하고 그에 따라 방송 환경이 바뀌며 마케팅 기술이 전략화 된다고 하더라도 가능한 최대 다수의 수용자가 그 환경에 접근할 수 없다면 기술 발전에 따른 다양한 편익을 수용자가 누릴 수 없다. 따라서 정책적으로 정부가 적극적으로 디지털 TV나 셋톱박스의 보급정책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Ⅵ. 참고 문헌
기효성, 『디지털 컨버젼스 시대중심선상에 선 디지털 케이블 TV』.
삼성경제연구소, 『모바일 컨버젼스의 확산과 대응』, 서울: 삼성경제 연구소 제 496호, 2005.4.20
유재천 김대호 외 『디지털 컨버전스』,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데이터방송 도입을 위한 제도 개혁방안”
조은기, “방송통신융합과 ITV의 미래”
한은영, "interacive TV서비스의 전개현황 및 주요 쟁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정보통신 정책이슈』, 제 12권 6호, 1999
삼성경제연구소, "홈네트워킹 시장분석 및 발전 전망", IT 산업시장 환경 연구시리즈(2003.12.30) SERI 경제 포커스 제 36호
황준석, 『지능형 홈 산업의 디지털 컨버젼스 동향』.
Ko Jeong Min, “Energizing DMB's Content Business, Korea Economic Trends”, April 23, 2005.
Thosmpon, " I, Convergence in Television and the Internet, Infrorma Media", 1999
네이버 백과사전 (www.naver.com)
삼성경제연구소 (www.seri.org)
정보통신정책연구원 (www.kisdi.re.kr)
SK 텔레콤 위성 DMB 사업부 홈페이지 (www.sktelecom.com)
목 차
Ⅰ. Digital Convergence의 개념
Ⅱ. Digital Convergence의 진전
Ⅲ. 외국에서의 digital convergence
Ⅳ. 현재 이슈가 되는 진행되고 있는 디지털 컨버젼스
Ⅳ.1. 모바일 컨버젼스
Ⅳ.2. 중요쟁점: DMB - 핸드폰 중심/ PDA/노트북
Ⅳ.3 지능형 홈서비스
Ⅳ.4. 쌍방향 TV 서비스
Ⅴ. digital convergence의 경제적 함의
Ⅵ. 참고 문헌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6.03.16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00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