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청소년 문화와 일본문화이 수용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청소년 문화와 일본문화이 수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초록

2.서론

3.본론
-문화의 정의와 특징
-청소년문화란 무엇인가
-한국에서 청소년 문화
-문화지역화와 청소년의 대중문화 수용
-한국 청소년들의 일본문화 수용

4.결론

5.참고문헌

본문내용

또한 일본문화 개방으로 인해서 청소년들에게 악영향을 미칠까봐 걱정하는 사람들 역시 많다. 이들은 일본과의 특수한 역사적 관계 등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없는 청소년들에게 주체적인 민족의식이나 문화의식을 형성하는데 장애가 생길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성인들의 이런 생각은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한국에서 청소년 세대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성인들의 시각도 어느 정도는 작용했을 것이다. 또한 세대차이로 인한 인식의 차이도 있을 것이다. 반일교육을 배웠고 반일 감정이 강하게 남아있는 성인들은 청소년들이 일본문화를 즐기는 것을 못마땅하게 생각하고 그로 인한 부작용을 걱정하는 것은 어떻게 보면 당연한 것이다.
하지만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청소년들은 일본대중문화를 하위문화적으로 수용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하위문화적 수용방식이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는 판단되지 않는다. 어디까지나 개인적 취향을 추구하는 것일 뿐이다. 많은 청소년들이 일본대중문화수용을 통해 일본에 대한 문화적 친밀감에 대한 이해 정도가 높지만, 반대로 ‘한국적인 것을’ 보존해야 한다는 의지 또한 강하다. 즉 청소년들의 일본대중문화 수용은 청소년들의 한국적 정체성의 추구와 상충되지 않는다.
최근 한국대중문화는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 한류열풍은 일본에서도 불고 있다. 일본에서도 한국 청소년들과 마찬가지로 한국대중문화를 즐기는 청소년들이 존재한다. 일본 청소년 또래 문화에서 소수에 속하는 이들은 한국대중문화라는 새로운 자원을 접하고 이것을 받아들이면서 일본문화나 서구문화 등 기존의 주류의 문화적 자원들에 대해서도 특별히 배타적인 태도를 취하지는 않는다. 한국대중문화를 즐기는 청소년들을 이상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친구나 어른들도 별로 없다. ‘한류’를 즐기는 일본 청소년들은 주변적인 집단일 뿐이다.
지금 우리 주위에는 일본영화, 만화, 게임, 애니메이션 등을 쉽게 접할 수 있고 이것을 즐기는 청소년들을 쉽게 볼 수 있다. 이미 일본대중문화 개방이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일본대중문화 개방에 대한 반대논의는 물 건너간 것이다. 물론 무분별한 개방으로 일본저질 문화가 들어오는 것까지 허용하자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한국의 청소년들은 더 이상 순수한 국민 문화에 구속받지 않으면서 다른 문화에 대한 관용성을 가지고 있고 다양하고 열려진 문화적인 보통의 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현재 일본문화는 세계에 존재하는 수많은 문화 중 하나일 뿐이고 그것을 즐기는 청소년들은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취향 맞는 문화를 즐기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일본대중문화 개방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보다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며 이 글을 마친다.
참 고 문 헌
최상진, 김양하, 황인숙 (2004). 한국문화에서 청소년이란 무엇인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Vol.10 No.0.
윤경원, 나미수 (2005). 일본 청소년들의 한국대중문화 수용과 문화적 정체성. 한국방송학보, Vol.19, No.1.
윤경원, 나미수 (2005). 문화지역화와 미디어 수용자 하위문화: 청소년들의 일본대중문화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Vol.49, No.1.
장용걸 (2004). 한국 청소년들의 일본 대중문화 수용에 관한 일고찰. 일본어교육학회: 일어교육, Vol.49, No.1.
김기태 (2000). 일본대중문화 개방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과 대책. 한국청소년학회, 21세기 청소년 포럼: 18회 포럼 주제원고.
김명언, 김의철, 박영신 (1998). 세대갈등과 사회질서 : 청소년과 성인세대의 차이와 유사성
조영달 (1997). 청소년의 일본대중문화에 대한 접촉과 태도 -만화, 비디오, 오락게임 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사회와 교육, Vol.25, No.0.
김신일 (1993). 청소년 문화의 의미와 성격. 한국 청소년 개발원, 청소년 문화론.
김의철 (1997). 한국 청소년 문화 : 연구모형. 한국 청소년 문화, 한국 청소년 문화연구론.
삼성복지제단 (1993). 한국 10대 청소년의 의식구조
한국 청소년 개발원 (1993). 청소년 문화론
김의철, 박영신 (1997). 한국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의 형성: 가정, 학교, 친구, 사회 영향을 중심으로.
김현미 (2003). 일본 대중문화의 소비와 ‘팬덤(fandom)'의 형성. 한국문화인류학, Vol.36, No.1, 149~186.
Barker, C. (2002). Making sense of cultural studies: Central problems and critical debates. London, Sage.
Pilkington, H. & Bliudina, U. (2002) Cultural globalization: A peripheral perspective. Pennsylvania, Pennsylvania University Press.
Massey, D. (1998). The spatial construction of youth cultures. London, Routledge.
Chua, B, H. (2003). Life is not completed without shopping: Consumption culture in Singapore. Singapore, Singapore University Press.
Thomas, M. (2002). Re-orientation: East Asian popular cultures in contemporary. Vietnam, Asian Studies Review, 26(2), 189~204.
Iwabuchi, K. (2002). Recentering globalization: Popular culture and Japaness transnationalism. Duke University Press
Straubhaar, J. D. (1991). Beyond media imperialism: Asymetrical interdependence and cultural proximity. Critical Studies in Mass Communications, 8, 39~59.

키워드

청소년,   문화,   일본,   수용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6.03.20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04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