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문제에 대한 행동 치료적 접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 본론 -1
1.행동치료의 기본 이론
2.기본 개념
3.행동치료의 기본 원리
■ 본론 -2
1.문제의 구체화 단계
2.문제점 분석
3.목표 행동
4.치료 과정
5.개선 행동

Ⅲ. 결론

본문내용

엄마로부터 얻을 수 있었으므로 행동이 유지된 것이다. 셋째, 아동이 스스로 할 수 있는 일들임에도 불구하고 전적으로 엄마에게 의존하고 있었다. 이에 따른 엄마의 지나친 관심은 이러한 의존적 관계를 공고히 했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어머니가 아동에게 과도한 애착을 보이고 있다. 자신의 손이 가야만 옳은 행동이 나타나는 아이들이 계속적으로 어머니가 애착을 보이게끔 유도했을 것이다. 다섯째, 아버지가 양육에 무관심하다. 아이들의 귀찮은 뒤치다꺼리 없이 양육은 오로지 엄마의 의해서 행해지는 것이라는 그릇된 생각이 그의 이런 무관심한 태도를 유지시킨 것이다. 여섯째, 아동을 둘러싼 환경이 아동의 특성과 연령에 맞지 않는 환경이었다.
또한 다음과 같은 목표행동을 설정하였다.
첫째, 아동의 폭력적인 행동이 제거한다. 둘째, 떼쓰기 행동과 유아 시기로의 퇴행으로부터 벗어나 아동의 연령에 맞는 행동을 한다. 셋째, 자립심을 키운다. 넷째, 부모의 부적절한 양육 태도를 바꾼다. 다섯째, 아동에게 적절한 환경을 조성한다.
목표행동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치료과정을 거쳤다.
첫째, 아이들의 폭력적인 성향에 영향 미칠 수 있는 칼, 막대기와 같은 장난감을 치운다.
그런데 아이들의 폭력적인 면을 치료한 것이 아니나 환경, 강화 내용, 처벌 방법을 바꿈으로써 폭력적인 성향이 제거되었다. 둘째, 아이는 자신이 울고 있는 사진을 봄으로써 울고, 떼쓰는 행동을 모델링하며, 강화 받았기 때문에 부적절한 사진을 치운다. 떼쓰는 행동에 즉각 반응하지 말고 무관심을 부적 처벌로 제공한다. 셋째, 엄마가 다 해결해 주려고 했던 양육방식을 바꿔 아이 혼자 할 수 있는 힘을 길러준다. 넷째, 아이들이 정서적 안정을 가지고 자신의 잘못된 행동을 스스로 생각해 볼 수 있는 <생각하는 의자>를 ‘처벌’로 제공한다. 이는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생각해 보고 깨닫고 반성하는 기회를 부여한다. 또한 행동의 규제에 대한 엄마의 방법으로 무조건적인 규제보다 왜 안 되는지를 논리적으로 설명해 준다. 아이들은 이해한 내용을 바탕으로 아이들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규제한다. 다섯째, 양육 역할을 엄마와 아빠가 분담한다. 컴퓨터 앞에 앉아 있는 시간을 줄이고 아이의 행동에 주의를 기울이며 때로는 함께 놀이시간을 가지는 등 아이와의 교류를 넓힌다. 여섯째, 적절한 환경을 조성을 위해 연령에 맞지 않는 장난감은 치우고 울고 있는 사진을 바꾸며 낙서 장소를 지정해 준다. 또한 아이들 방에 자리한 컴퓨터를 치움으로써 일찍 잠자리에 들 수 있었기 때문에 아이들은 아침에 일어나는 것을 덜 힘들어했고 결과적으로 엄마와 아이들의 ‘아침’실랑이를 없앨 수 있다.
위의 치료 과정을 거쳐서 다음과 같은 개선행동이 나타났다.
일어나서 밥 먹고 세수하고 옷 챙겨 입는 것까지 모두 엄마에게 의지해왔던 아이들이 행동치료 후에는, 더 이상 젖병에 우유를 물지 않고 스스로 밥을 떠먹으며 자기 스스로 옷을 챙겨 입을 수 있었다. 이 것은 이 아이들에게 행동 변화를 넘어서서 인지적인 요소까지 변화가 이루어 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자신도 무엇인가를 스스로 할 수 있다는 자기효능감도 키워졌다고 볼 수 있으며 이를 다른 상황에까지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엄마의 양육방식과 아이들의 변화와 더불어 아이들이 유치원에 갈 때 배웅하는 등 가족들과 함께 하는 아빠의 모습을 보인다.
상담 6조는 위의 치료 과정이 행동주의적 접근이라고 보았는데 그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기체는 환경에 영향 받는데 극단적으로는 환경에 의해 결정된다고 본다. 특히 어린 유아와 같은 경우 그 행동이 유연하기 때문에 환경 자체를 바꿔줌으로써 그 효과를 크게 볼 수 있었다. (연령에 맞지 않는 장난감과 울고 있는 사진을 치우는 등)
둘째, 유아는 환경에 쉽게 적응할 수 있기 때문에 스스로 돌이켜보고, 문제점을 파악하는 등의 인지적이고 정서적인 치료보다는 환경을 바꿔 주는 행동치료가 보다 쉽고, 유의하다. 상담 6조는 이 사례에서 아이의 내적인 정서나, 사고방식, 인지 체계를 치료하는 것이 아닌 양육 환경을 수정함으로써 아이의 행동이 크게 변했다는 것에 주목했다.
셋째, 아이들의 문제 행동은 부적절한 ‘강화’의 결과였으며 (엄마와의 끊임없는 힘겨루기를 통해 역치 수준이 올라갔다) 아이들의 문제 행동을 소거하기 위해 <무관심>이라는 ‘정적 처벌’을 사용하였다.
넷째, 이전에 제공되었던 어두운 화장실에 고립시키는 처벌을 수정하여 밝은 곳에서 자신의 잘못을 생각할 수 있는 <생각하는 의자>라는 ‘처벌’을 제공하였다. 이런 방법을 통해 아이의 행동변화에 이은 인지적인 변화에 대한 사실도 확인 할 수 있었다.
다섯째, 행동주의에서 학습은 연합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엄마와 연합되었던 아이들의 폭력성, 떼쓰기의 연합 고리를 처벌(무관심이나 생각하는 의자)을 제공하고 부적절한 환경 등을 수정하여 끊어줌으로써 아이들이 유치원에서 보여주는 행동처럼 능히 스스로 할 수 있게 하였다.
행동주의적 접근을 마무리 지으면서 의문점을 남겨 두고자 한다. 이 의문에 대해서 조원들 사이에서 의견이 분분했으며 하나의 결론으로 귀결하기가 어려웠다. 행동 치료적 입장에서는 행동이 변화하였으면 인지도 변하하였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하지만 행동이 변하였다고 해서 인지도 바뀌었다고 볼 수 있는가? 만약 인지가 바뀌었다면 행동 외에 무엇을 보고 그렇게 말할 수 있는가? 영상에서 두 아동의 자기효능감 획득과 달라진 긍정적인 행동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과연 18일이라는 기간 속에서 어머니와 맺었던 이전의 의존적 관계의 연결 고리를 모두 끊었다고 볼 수 있을까?”하는 것이다. 아이들의 행동은 변화되었지만 여전히 엄마의 외출만으로도 불안을 느끼는 아이들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익숙지 않은 경험에 대한 불안인가, 여전히 엄마와의 의존적 관계를 끊지 못한 것인가?
*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 본론 -1
1.행동치료의 기본 이론
2.기본 개념
3.행동치료의 기본 원리
■ 본론 -2
1.문제의 구체화 단계
2.문제점 분석
3.목표 행동
4.치료 과정
5.개선 행동
Ⅲ. 결론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4.07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31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