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더니즘과 현대교육 [A+]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포스트모더니즘과 현대교육 [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1) 포스트모더니즘의 선구자적 인물 - 푸코
(1) Michel Foucault (1926. 10. 15 프랑스 프와티에~ 1984. 6. 25 파리)
(2) 지식과 권력의 관계
(3) 푸코가 말하는 “담론의 질서”
(4) 푸코가 말하는 “규율”
(5) “규율(훈육)”을 달성하기 위한 세 가지 주요 도구

2) 포스트모더니즘의 철학적 지반
(1) 주체의 문제
(2) 의미와 재현의 문제
(3) 진리와 지식의 문제
(4) 총체성의 문제

3)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배경
(1) 정치적 측면
(2) 경제적 측면
(3) 사회적 측면
(4) 문화적 측면
(5) 예술적 측면
(6) 학문적 측면

4) 포스트모더니즘의 기본입장
(1) 리오타르(L.F. Lyotard)의 견해
(2) 연속성의 논쟁에 대한 견해

5)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
(1) 반정초주의(Anti-foundationalism)
(2) 다원주의(Pluralism)
(3) 반권위주의(Anti-authoritarianism)
(4) 연대의식(Solidarity)의 표방

6)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과의 관계
(1) 소서사적 지식관
(2) 다원성과 상대성의 강조
(3) 사상 및 이론화 뿐 아니라 실천화의 한 방법임
(4) 인식론에 대한 대결
(5) 지식사회로의 변환
(6)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의 접목된 관점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함
(7)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

7) 포스트모더니즘의 교육적 의의
(1) 비판적 사고의 함양
(2) 가치와 주체성의 교육
(3) 사회적 협동을 통한 전통의 습득과 재창조를 위한 교육

8) 비판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① 환경문제, ② 극단적 이 기주의, ③ 정신적 빈곤화를 들 수 있다. 먼저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환경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포스트모더니즘에서는 연대의식의 표방으로 타인에게 해를 끼치지 않고 공동체 존중, 상호 협력의 정신을 표방한다. 그와 같은 정신에 따라 환경교 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환경문제의 근원적 해결을 위한 환경교육이 학교 내외에서 체계 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두 번째 극단적 이기주의도 같은 맥락에서 볼 수 있는데 나만의 안위를 위한 이기주의보다는 연대의식을 표방하여 이타정신을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정신적 빈곤화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신적 풍요를 가져다 줄 수 있는 인간교 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7)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
한국사회는 근대화를 채 소화해 내지도 못한 상태에서 포스트모던 사회에 돌입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이미 사회의 각 분야에는 포스트모던의 조짐들이 드러나고 있는 상황이다. 반 면 서구의 포스트모더니즘은 꽤 오랜 토론과정과 지적 전사(前史)를 갖고 있고, 프랑크푸 르트 학파의 근대적 도구이성 비판에서부터 데리다의 해체론에까지 이르는 일련의 중요한 선행 논의들을 거치면서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지적 문화풍토 속에서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다양하고 깊이있는 논의가 비판적 안목으로 계속 되어야 한다.
7) 포스트모더니즘의 교육적 의의
(1) 비판적 사고의 함양
첫째, 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그들이 배우게 되는 지식과 신념체제가 절대적이며 고정적 인 것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전통과 문화 속에서 형성된 역사적·사회 적 산물이라는 것을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한다. 둘째로 그들이 배운 지 식이나 신념체제가 보편타당하고 유일한 것이 아니라 다른 대안적인 신념체제가 가능하 다는 것을 인식하며 다른 관점과 견해에 대한 개방적이고 허용적일 수 있는 태도를 배울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사회의 기본적 지식이나 신념을 객관적이고 보편타당한 것으로 가 르쳐야 하겠지만 이 경우에도 사회적 검토와 대화의 과정을 통해 보편타당한 것으로 받 아들여지고 있다는 것을 배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가치와 주체성의 교육
우리 개인이 주어진 정보나 사실의 수동적 수신자가 아니라 사회적 협동과정을 통해 세 계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형성해 나가는 주체적 존재임을 올바로 인식할 때 비판적 검토 와 논의의 과정을 통해 기존의 가치체제를 새롭게 해석, 수정, 재창조해 나갈 수 있는 능 력의 함양이 강조될 수 있다.
(3) 사회적 협동을 통한 전통의 습득과 재창조를 위한 교육
교육은 전통의 일방적인 전달과 수용을 위해서가 아니라 새로운 전통의 형성과 재창조를 위해 사회적 협동과정(대화와 논의의 과정)에 능동적이며 비판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개 인의 형성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8) 비판점
윤리학(혹은 도덕교육)에 대한 방향제시 미흡, 극단적 이기주의화에 대한 우려, 삶과 도 덕성에 대한 보편적 기반(혹은 정신적 구심점)의 부재, 이성 경시에 따른 삶의 불완전성, 오랜 역사와 사회적 맥락 속에서 형성되어 온 교육적 가치와 전통의 해체에 따른 교육공 동화 현상, 해체위주에 의존함으로써 사회문화적 재건에 대한 비전 결여, 기존의 전통과 조화하려는 종합적 노력의 결여 등을 들 수 있다.
참고문헌
김정환, 강선보. (1998). 교육철학. 박영사.
박의수 외 3명. (2004). 교육의 역사와 철학. 동문사.
신인철. (1988). 현대철학 사상의 새흐름. 집문당
윤완. (2003). 교육의 역사와 철학. 원미사.
이진우.(1980-1994). 탈현대의 철학적 이해 (목요철학 세미나 자료집, 계명대 철학과).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4.21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52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