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수술 환자 케이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질병에 관한 해부생리와 이론적 고찰

Ⅱ 의학적 치료 및 수술

Ⅲ 환자의 기왕력 및 검사결과

Ⅳ 간호과정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stal: 1
HPF
8. 미생물 검사
Endotracheal Aspirate
No WBC, No organism
Gram(+),Gram(+)
No WBC, A few(1~5) E
Enterobacter aerogenes
R: Cephalothin
S: Cefotaxime, Ceftazidime, Cefuroxime, Aztreonam, Imipenem, Amikacin, Gentamicin, Piperacillin/Tazobac, Tobramycin
I: Cefotetan
Vascular Catheter Tip
No WBC, No Organism
No microorganism iso...
Foley Tip
Urinar.C.Gram(+)
정도: 5*10⁴/mL
동정결과: Staphylococcus epidermidis
R: Penicillin, Oxacillin, Clindamycin, Erythromycin, Trimeth/Sulfa, Ciprofloxacin
S: Vancomycin, Teicoplanin, Gentamicin, Rifampin, Chloramphenicol, Tetracycline
Blood central
No aerobic or anaerobe
No WBC, No Organism
Blood peripheral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
R: Penicillin, Oxacillin, Clindamycin, Erythromycin, Trimeth/Sulfa, Gentamicin, Ciprofloxacin, Tetracycline
S: Vancomycin, Teicoplanin, Rifampin, Chloramphenicol
Wound
Moderate(5~10) WBC
Gram(-),Gram(+)
ascitic
JP 1
No WBC, No Organism,
Gram(-),Gram(+)
JP 2
No WBC, No Organism
Gram(-),Gram(+)
JP 3
No WBC, No Organism
Gram(-),Gram(+),Gram.
sputum
Throut swab
Gingiva
No fungus observed
Urine, Void
No fungus observed
Legio Ur Ag: Negative
Pneumo Ur Ag: Negative
stool
No fungus observed
Rectal Swab
No Vancomycin-resistence
Subjective data
간호 목표
1. 환자는 감염의 증상(발열, 염증 등)을 나타내지 않을 것이다.
2. 현 WBC 수치에서, 감염 증상으로 유효한 WBC 증가가 없을 것이다.
간호 계획
1. Hand washing을 철저히 하며 aseptic technic을 적용한다.
2. 환자를 격리하고 방문객의 출입을 자제한다.
3. 감염의 증상 여부(동통, 발열, 발적, 염증 등)를 관찰한다.
4. BT를 측정한다.
5. CBC를 확인한다.
6.order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한다.
이론적 근거
1. aseptic technic을 적용함으로서 감염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2. BT는 감염증후의 지표가 된다.
3. 유효한 WBC의 증가는 감염을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간호 중재
1. Hand washing을 철저히 하였으며, aseptic technic을 적용하기 위하여,
마스크, 격리 가운, 장갑을 착용하였다. 환자에게 들어가는 모든 약을 주기 전에 항상 베타딘으로 닦은 후 투여하였다.
2. 환자를 격리실에 배치하였으며, 방문객의 출입을 자제하였고, 방문객이
출입할 때는 항상 손을 철저히 씻고, 마스크와 격리 가운을 입도록 하였다.
3. drain되고 있는 PCD부위와, OP wound site 부위, foley insertion 부위의 감염 증상을 관찰 하고 perineal care를 실시하였으며, PCD site 에 burn gauze를 적용하고, 자주 관찰하며 갈아주었다. 또한 OP wound dressing도 실시하였다. central line insertion 부위의 감염 증상도 확인하였다.
4. BT를 측정하였다.
5. CBC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WBC의 증가 or 감소 추세를 확인하였다.
6. order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하였다.
7. A-line을 4일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교환해주었다.
간호 평가
WBC는 정상 범위로 체크되고 처음과 비교하여 유효하게 증가하지는 않았다. BT는 36.8~37.5로 체크되며 감염을 나타내는 발열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central, A-line 삽입 부위에도 감염 증상도 관찰되지 않았다. PCD site가 깨끗하고 OP wound site나 PCD 삽입 부위로 감염의 증상은 보이지 않았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감염 관리에 간호 중재의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Ⅴ 참고문헌
* 관련 서적
-최신치료 위암, 서만정, 도서출판 고려의학 1991년 (51∼55, 68, 82, 91, 114, 118∼119)
­소화기질환, 고려의학 편집부, 도서출판 고려의학, 1990년 (106∼110, 112∼114)
­암등록 Cancer registry, 이성란, 도서출판 진우, 1997년 (62∼67, 151, 179∼182)
­암간호 원리와 실제, 홍근표·이원희·이영희 편역, 수문사, 1997년
(314, 315, 350, 351 354, 355, 357, 358)
­성인간호학 상2, 서문자 외 42인, 수문사, 2000년 (136, 137)
-성인간호학 하1, 전시자 외 62인, 현문사, 2001년
-최신 임상간호메뉴얼, 유해영, 현문사, 1999년
-소화기학원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간호진단과 중재, 이은옥 외, 서울대학교 출판부
-진단적 검사와 간호, 송미순 외, 현문사, 1994
* 관련 site
-국립암센터 http://www.ncc.re.kr/
-서울대 암연구소 http://cri.snu.ac.kr/public/index.asp?Action=kind4_1
-http://www.kocancer.org/subpage/mainstudy.htm
  • 가격3,000
  • 페이지수50페이지
  • 등록일2006.05.05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80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