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삼국의 개항과정 비교 및 연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아시아 삼국의 개항과정 비교 및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본론
ⅰ. 중국의 개항과정
ⅱ. 일본의 개항과정
ⅲ. 조선의 개항과정
ⅲ. 동양 삼국의 개항과정의 공통점과 차이점
ⅳ. 개항=초기근대화과정에서의 삼국의 차이와 그 요인
ⅴ. 조공체계의 붕괴
ⅵ. 개항 이후의 세력판도의 변화
Ⅶ. 맺음말

본문내용

되고 있었지마는 국교관계의 수립을 위한 교섭이 있었는데 이에 1871년 9월 淸日友好通商條約이 체결되었다. 18個條로 된 이 조약은 양쪽이 다 처음으로 맺는 평등한 조약이 되었다. 또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관계 속에 있던 두 나라가 서양식인 국제법에 입각한 평등한 외교관계를 맺은 최초의 조약이 되었다. 日本은 여기서 청조와 대등한 조약을 체결함으로써 朝鮮에 대한 우위적 입장을 확보하려는 日本의 의도가 더욱 강했던 것이다. 서양문화의 섭취와 외국에 대한 문호개방을 표방하면서 日本은 점점 민족국가로서의 팽창주의정책을 취하게 되었다. 富國强兵을 목표로 하여 國民皆兵의 제도를 채택함과 동시에(1872년), 日本·中國 양쪽에 그리고 朝鮮에도 조공을 바치고 있던 왕국인 琉球를 中國을 무시한 체 일방적으로 日本의 縣으로 편입시키고 이어서 다음 해에는 다시 아주 繩縣으로 삼아버렸다. 그리고 朝鮮에 대해서는 征韓論에 의해서 1875년과 다음해에 걸쳐서 강화도로 日本군함을 보내 위협함으로써 결국 韓日修好條約(강화도조약, 1876)을 체결하였다.
) 高柄翊. pp. 155~156.
이에 淸日戰爭과 러일전쟁을 치루면서 朝鮮에 대한 日本의 영향력을 키우면서 마침내 합방을 하게 된다.
中國보다 12년이나 늦게 開港을 하였으나 적극적으로 제도의 쇄신과 기술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고 제국주의적 면모를 띠어 朝鮮을 침략하여 朝鮮을 자신의 상품시장으로 삼으면서 富國强兵을 추진하였기 때문에 근대화에 성공할 수 있었다.
3. 朝鮮
조선은 丙寅·辛未의 두 차례의 洋擾를 물리치는 등 鎖國政策을 계속해서 고집하다가 강화도조약, 즉 韓日修好通商條約을 맺게 되면서 開港을 하게 된다.
) 高柄翊. pp. 165.
그러나 日本에 의한 開港을 반대하였고 기존의 淸國을 축으로 한 외교관계를 고집하였고 그러한 가운데 壬午軍亂이 일어나 대원군이 다시 정권을 잡게 되고 다시 쇄국정책으로 돌아가려고 하였다. 그런데 淸國의 군대에 의해서 壬午軍亂이 정리되고 대원군이 축출됨에 따라 청조로부터의 독립을 추구하던 급진개화파가 甲申政變을 일으키지만 이 역시 淸國에 의해 실패하고 만다. 그래서 淸國에 의한 종속적인 관계가 계속해서 유지가 되었고
) 김승일, 이은우 공저. pp. 294~295.
이에 동학농민전쟁을 계기로 청조와 日本은 淸日戰爭을 벌이게 된다. 그래서 이에 日本에 청조가 패하면서 청조는 조선에서 그 영향력을 잃고 만다. 日本의 征韓論에 의한 침략이 점점 가속화되면서 朝鮮은 러시아에 의지하지만 러일전쟁에서 日本이 승리하게 되면서 朝鮮은 日本의 영향력 하에 놓이면서 끝내는 한일합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朝鮮 역시 근대화에 대한 노력을 하였지만 이는 淸과 日本에 의해서 실패하고 만다. 근대화를 이루기 위한 정치적 안정을 이룩하기 전에 日本과 中國이 朝鮮의 국정을 간섭함으로서 모든 것이 혼란에 빠지는 결과로 변화해 버렸기 때문이었다. 淸·日 양국은 朝鮮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朝鮮의 정치세력을 이간질시켜 두 파로 나뉘게 하여 서로 대립케 함으로써 내부의 갈등을 조장하기도 하였다.
) 김승일, 이은우 공저. pp. 296~297.
근대화를 위한 노력을 하였으나 삼국 중 開港의 시기가 가장 늦었으며 日本에 의해 가혹한 수탈을 당하여 근대화에 실패하고 여러 정치적 혼란과 국제정세에 어두워서 그 대응이 삼국 중 가장 느렸으며 기존의 事大思想을 못 버리고 강대국에 의지하려고 하여 끝내는 日本에 의해 식민지가 되어버리고 말았다.
Ⅶ. 맺음말
개국은 독자적 문명과 국제정치체제를 유지해오던 동양과 서양을 하나의 세계적 규모의 국제정치체제로 통합시킨 역사적 사건이었다. 그러나 이 양(兩)체제의 통합과정은 상호융합 형태로 나타난 것이 아니라 서구식 개념·가치·제도·관습의 동양에 대한 일방적 유입의 형태로 나타났다. 그것은 아편전쟁에서 양(兩)문명이 충돌하면서 서양문명이 압도적 힘의 우위를 확인한 당연 귀결이었다. 따라서 동북아시아 삼국의 개항을 통해 총체적 혁명이라고 불러야 할 정도의 전면적 변화과정을 단기간에 경험해야만 하였다. 이 때 이들 국가에 주어진 변혁의 과제는 근대화로 지칭될 수 있다. 그것은 산업화뿐만 아니라 정치구조, 경제·사회구조의 혁신은 물론이고 가치관과 의식의 개혁에 이르기까지 전면적인 변혁을 요구하는 것이었다.
<<參考文獻目錄>>
1. 單行本
이양자. <<중국근대사>>. 삼지원. 1994.
김구진·이현숙 <<동양근현대사>>. 환경과 복지. 2001.
김승일, 이은우 공저. <<한반도와 동아시아세계>>. 서울: 지식마당. 2002.
高柄翊. <<東아시아의 傳統과 近代史>>. 서울: 三知院. 1984.
피터 두으스 著, 金容德 譯. <<日本近代史>>. 서울: 知識産業社. 1983.
白鍾基. <<한국근대사연구>>. 서울: 博英社. 1981.
윤대원. <<한국근대사>>. 서울: 풀빛. 1993.
조너선 D. 스펜서 著, 김희교 譯. <<현대 중국을 찾아서 1>>. 서울: 이산. 1999.
2. 論文
김영작. <19세기 후반에 있어서 한·일·청 삼국의 근대화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법정 논총>> 10. 국민대. 1988.
박일근 <중국의 개국: 정치사적 과정과 한·일 양국에 미친 영향>. <<동북아>>. 1995.
유장근. <근대 중국에 있어서 전통사상과 반침략운동>. <<동북아>>. 1995.
김영작. <한·중·일 삼국의 개국에 관한 비교연구>. 《동북아》제 1집. 1995.
성황용. <개국의 역사적 의미>. 《동북아》제 1집. 1995.
최희재. <중화제국질서의 동요>. <<강좌중국사Ⅴ>> (서울대 동양사 연구실 편). 서울: 지 식산업사, 1989.
柳栽澤. <開港期 朝鮮의 國際關係와 反從屬論> 박사학위논문. 서울: 檀國大 大學院, 1993.
박진평. <한국 개항기 대외통상정책에 관한 연구 :대 일본 및 청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 문. 창원: 창원대 경영대학원, 2001.
김진국. <일본의 초기 근대화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 대학원, 1998.
홍성습. <일본자본주의 발달과정에 있어 은행의 역할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부산: 동 아대 대학원, 1990.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6.05.11
  • 저작시기200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89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