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실습 과정의 구조적 재생산에 관한 연구-학교의 지배적 헤게모니와 교생들의 일상적 삶의 문화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서론

II.이론적 배경

III.연구 방법
1.연구 대상
2.자료 수집 및 분석

IV.교육 실습
1.교육 실습의 의의와 목적
2.교육 실습의 역사적 배경
3.교육 실습의 전개 과정 및 문제점

V.05-1 교육 실습 분석
1.실습 학교의 지배적 헤게모니
2.대안적 헤게모니 - 교생들의 일상적 삶의 문화
3.재생산의 원인과 해결 방안

Ⅵ. 연구의 한계 및 추후 연구 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의 가치와 문화가 재생산되는 것을 어느 정도 거부하는 교생의 문화를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학점 부여 권한이 실습 학교에 집중되는 현재의 학점 부여 방식이 변하여 대학의 수업과 연계된다면 교과 교육과 관련된 교생의 문화가 달라질 것이다. 대학에서 배운 이론을 적용해보고 이를 통해 이론의 문제점과 현실 교육의 문제점을 찾고 보완하기 위한 연구가 교육 실습 평가의 중요한 부분이 되고, 학점 부여 기준의 하나로 작용하게 되면, 현재와 같이 교과 담당 교사의 성향과 요구를 파악하고 단순히 반영하여 기존 학교의 교수 실제를 재생산하는 일은 줄어들 것이다.
또 교육 실습 기간이 더 길어지거나 2회에 걸쳐 이루어지게 되면 다른 지도안의 형식을 그대로 답습하는 일이 줄어들 것이다. 또 실습 과정에 내재된 문제점에 대해서도 좀 더 생각해 볼 여지가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학생들과 어떤 관계를 맺는 것이 더 교육적인지 고민해 볼 수 있고, 이 때 정장이라는 복장 규제의 타당성을 의심해 볼 수도 있다. 학생에 대한 교사의 언행은 어떠해야 하는지 생각해 보고, 실습 학교가 요구하는 근엄한 언행이 학생과 교사에게 어떤 관계 맺음을 강요하는지 고민할 수 도 있을 것이다.
요컨대, ‘짧은 실습 기간’과 ‘왜곡된 학점 부여 방식’이라는 방안이 바로 대안적 헤게모니가 재생산을 거부하도록 만들 수는 없겠지만 그렇게 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는 의미는 지닐 수 있을 것이다. 즉, 이 두 요인의 개선은 대안적 헤게모니로서 교생이 형성하는 일상적 삶의 문화가 지배적 헤게모니의 잘못된 부분을 지적하고 이의 재생산을 거부할 수 있도록 하는 필요조건에 해당한다.
Ⅵ. 연구의 한계 및 추후 연구 과제
이 연구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여자중학교와 부설고등학교에서 2005년도에 교육실습을 나간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다른 대학이나 일반 중 고등학교에까지 일반화시키기에는 문제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실습 기간이 짧았기 때문에 4주 동안 관찰하고 느낀 것만으로는 자료가 충분했다고 말할 수 없다.
연구를 통해서 결국 학교 현장에서의 교육실습은 교육실습 학생들이 비판적이고 반성적으로 실습경험을 재구성하도록 촉진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적, 절차적 활동으로 인식하도록 강조해왔다고 볼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교육실습 실제들은 수동적이고 설교적이고 위계적인 특성을 갖게 되고, 예비교사들은 현장에서의 교육실습지도를 통해 자신들을 지식을 생산하는 사람이라기보다는 단순히 실행하는 사람으로 인식하도록 만드는 한계를 드러내왔다고 볼 수 있다. (Gale & Jackson, 1997)
예비교사로서 갖는 교육 실습 경험은 교수와 수업활동을 포함한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활동 전반에 대하여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탐구하고 반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교사가 되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의 교육실습 경험들은 아직도 기계적이고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교생들로 하여금 대학에서 배운 이론적 지식을 학교 현장에서 실천적으로 재구성하는데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교육 실습 경험이 갖는 의미와 중요성을 인식하고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비판적이고 반성적인 탐구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교육실습생이 교육 실습 본래의 취지를 이해하고,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실습경험에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기석, 문화재생산이론, 서울: 교육과학사, 1986.
(편), 교육사회학탐구, 1 ,2 서울: 교육과학사, 1987.
, 교육역사사회학 서울:교육과학사, 1999.
김기태, 「교육대학 교육실습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논총』제 14권, 1997.
김병찬, 「구성주의적 교사양성교육에서 예비교사들의 학습 특성」,『교육행정학연구』제 20권 4호, 2002.
김종서, 잠재적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1987.
박고훈, 박분희, 「교사교육의 반성과 대안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제 19권 1호, 2002.
박은혜, 이은화, 「반성적 사고 신장을 위한 교육실습지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 학연구』제 2권 1호, 1998.
오정란, 「교육실습지도의 제 관점 및 재구성을 위한 과제」,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 구소 제 17권 1호, 2002.
오정란,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본 초등학교에서의 교육실습 경헙의 의미 탐색」, 『교육 사회학연구』제 13권 3호, 2003.
왕한신 외 3명, 「교육실습의 효율적인 운영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논 총』제 23권, 2004.
윤기옥, 「교육실습의 현황과 발전 방향 탐색」,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논총』제 15권 1 호, 1998.
이영만, 「교육실습에 대한 교육대학생들의 지각 분석」, 진주교육대학교 학술저널, 2003.
이인효(편), 교육과 사회, 서울: 교육과학사, 1991.
이순례, 「교육 실습 현황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인문과학논집』제 2권 1호, 1996.
정식영, 유봉호, 백명희, 『敎育實習의 理論과 實際』, 한국학술정보, 2004
조석훈, 「교육실습생의 교직 경험에 관한 질적 분석」, 『교육행정학연구』제 22권 1호, 2004
조경원, 「중등교원 양성교육의 비판적 검토」, 『교육과학연구』 제 35권 1호, 2004
최관경, 「2001학년도 교육실습에 대한 조사연구」, 부산교육대학교, 2001
황구연, 「교육대학생의 실무실습 개선에 관한 연구」, 진주교육대학교 학술저널, 1992
애플, 교육과 이데올로기, 박부권, 이혜영(역), 서울: 한길사, 1985.
볼즈와 긴티스, 자본주의와 학교교육, 이 규환(역)
*목 차
I.서론
II.이론적 배경
III.연구 방법
1.연구 대상
2.자료 수집 및 분석
IV.교육 실습
1.교육 실습의 의의와 목적
2.교육 실습의 역사적 배경
3.교육 실습의 전개 과정 및 문제점
V.05-1 교육 실습 분석
1.실습 학교의 지배적 헤게모니
2.대안적 헤게모니 - 교생들의 일상적 삶의 문화
3.재생산의 원인과 해결 방안
Ⅵ. 연구의 한계 및 추후 연구 과제
*참고문헌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6.05.20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03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