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가요 가사에 나타나는 남녀 언어 특징과 변화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 장 머리말
1.1. 연구목적
1.2.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제 2 장 성별어 연구의 이론적 개관
2.1. 성별어 연구의 이론적 관찰
2.2. 한국어 성별어 연구의 흐름
2.3. 한국어 성별어 연구의 흐름

제 3장 자료 분석
3.1. 과거 여성의 부른 대중가요의 가사 분석
3.2. 과거 남성이 부른 대중가요의 가사 분석
3.3. 현대 여성이 부른 대중가요의 가사 분석
3.4. 현대 남성이 부른 대중가요의 가사 분석.

제 4 장 정리 및 원인 분석
4.1. 정리
4.2. 결과 분석

제 5 장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특징이 2000년대 남성의 언어에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전통적으로 ‘여성어’의 특징으로 분류되었던 사항들이 현대 젊은 층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반영하고 있는 것에 틀림없다. 이에 대해 다음의 몇 가지 원인을 생각해 볼 수 있다.
(1) 여성어 사용의 효과
우리의 연구 대상이 사랑을 주제로 한 대중가요 가사이었던 점을 고려할 때, 남성가요의 가사에서 여성어의 특징이 지배적인 이유는 사랑의 표현에 있어 여성적인 표현이 남성의 것보다 더욱 효과적이라는 점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실제로 여성어의 특징으로 간주되는 ‘해요체’는 ‘해체’나 명령형 어미 보다 더 공손한 분위기를 만들어 낼 수 있다. 한편, ‘애매어법’은 쉽게 단정 짓지 않고 상대의 동의를 구하는 것으로 역시 공손한 표현이라 할 수 있다. 끝으로 ‘강조 반복 표현’ 은 사랑을 표현하는 노래에 애절한 감정을 강화시켜 준다는 점에서 가사 내용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여성어의 사용은 청자에게 전달하려는 발화 내용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 발화의 목표를 더욱 쉽게 달성하게 해 줄 수 있다.
(2) 남성성의 변화
언어는 세계를 반영한다는 입장에서 볼 때, 남성의 발화 패턴이 바뀌었다는 점은 남성성의 변화 가능성을 고려하게 한다. 얼마 전 잡지광고의 변화를 통해 살펴 본 남성성의 변화를 연구한 한 논문이 발표되기도 했다. 이귀옥, 광고를 통해 본 한국사회 남성성의 변화: 남성잡지광고(1970~2004)의 남성성 분석을 중심으로, 광고홍보학회 정기 학술대회 발표 논문. (출처 : 연합뉴스, 5,13. )
이에 따르면, 소비자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남성상이 70년대에는 ‘신체적으로 강한 남성’, 80년대에는 ‘성공한 남성’, 그리고 90년대 이후에는 ‘외모를 가꾸는 남성’ 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대중가요를 소비자인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하나의 상품으로 봤을 때, 70~80년대 강한 남성의 모습을 나타냈던 대중가요 가사가 2000년대 들어 여성의 것과 마찬가지로 공손법과 상대 높임의 표현으로 변화한 분석 결과도 이 논문의 결과와 적잖은 연관을 가진 것 같아 보인다. 또, 이 논문에서 “사회문화적 가치의 변화는 시기별로 특정 제품 범주에 적극적으로 수용돼 지배적인 남성성을 이룬다” 고 지적한 바 있듯, 우리 연구에서 나타난 남성가요의 가사 변화도 변화된 남성성을 반영하고 있다.
제 5장 맺음말
이 글에서는 성별어 연구에서 사용되는 여성어의 개념과 그 기준을 검토하고 선행된 연구를 소개함과 동시에 한국의 발화어에서 여성어, 남성어가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며 또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살펴보았다. 발화어 연구 자료로서는 대중가요가사를 사용하였으며 1970~80년대와 2000년대로 시기 구분을 하여 각 시대별 특징을 정리하고 변화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970~80년대의 여자 가수가 부른 노래의 경우 나약하고 수동적인 모습, 공손한 표현 등을 특징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2000년대의 여자 가수가 부른 노래의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일부 댄스 음악에서는 적극적으로 사랑을 쟁취하려는 여성의 모습이 당당하게 그려져 과거와 달리 힘과 지위를 가지게 된 오늘날 여성의 모습을 대변하였다. 남자 가수의 노래는 강인한 남성의 모습이 묘사되었던 예전과 달리 여성가수의 노래와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크게 변화하였는데, 여성의 지위가 향상됨에 따라 남성의 위치와 역할 또한 변화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여성어와 남성어는 그 차이가 많이 완화되는 쪽으로 변화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도 시대가 변함에 따라 성별 언어가 어떻게 변화 되어 갈지를 예측하고, 조사해 보는 일은 매우 유익한 일이 될 것이다. 더 나아가 여성이 사용하는 언어(여성 발화어)뿐 아니라 여성을 발화의 대상으로 하는 언어(여성 대상어)에 대한 연구도 연구해 본다면 더욱 좋은 결과를 얻게 될 것이라고 본다.
<참고문헌>
박소라(2004), 한국어 남녀 언어 변화에 관한 연구, 언어학 연구94호
민현식(1996), 국어 남녀 언어의 사회언어학적 특성, 사회언어학
이귀옥(2005), 광고를 통해 본 한국사회 남성성의 변화: 남성잡지광고(1970~2004)의 남성 성 분석을 중심으로, 광고홍보학회 정기 학술대회 발표 논문 [출처 : 연합뉴 스, 5,13. ]
이익섭(1994), 사회언어학, 민음사
임홍빈(1993), 국어의 여성어,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문학과 지성사
George Allen & Unwin [김선재 역(1961), 언어, 한국 번역도서 주식회사]
Jespersen, Otto(1922) Language : It‘s Nature, Development and Origin, London:
Lakoff, R(1975), Language and Woman's Place, New York : Harper & Row [강주헌 역(1911), 여자는 왜 아름답게 말해야 하는가, 고려원]
Tanne, D.(1986), That's not What I Meant! How Conversational Style Makes of Breakde Relationships, New Yorkkk :Wiiliam Morrow.
Tannen.D.(1990), You Just Don't Understand :Women and Men in Conversation. New York: Ballantine Books [정명진 역(1996) 대화통로 뚫기, 한언]
*목 차
제 1 장 머리말
1.1. 연구목적
1.2.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제 2 장 성별어 연구의 이론적 개관
2.1. 성별어 연구의 이론적 관찰
2.2. 한국어 성별어 연구의 흐름
2.3. 한국어 성별어 연구의 흐름
제 3장 자료 분석
3.1. 과거 여성의 부른 대중가요의 가사 분석
3.2. 과거 남성이 부른 대중가요의 가사 분석
3.3. 현대 여성이 부른 대중가요의 가사 분석
3.4. 현대 남성이 부른 대중가요의 가사 분석.
제 4 장 정리 및 원인 분석
4.1. 정리
4.2. 결과 분석
제 5 장 맺음말
*참고문헌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6.06.17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54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