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중 일 삼국의 신화 비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 중 일 삼국의 신화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차례 -

♡서론
왜 신화를 비교하는가
신화란 무엇인가

♡본론
한국의 신화와 그 특징
중국의 신화와 그 특징
일본의 신화와 그 특징
한 ․ 중 ․ 일 삼국의 신화의 정리
• 삼국 신화의 공통점과 차이점

♡결론
마치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거의 전무하다. 다만 무가에서 구전되어 내려오는 창세신화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을 뿐이다. 문헌 자료를 통해서는 건국신화만이 전해 내려오고 있을 뿐이다. 그래서 한국의 신화라 하면 보통 단군 신화부터 떠올리게 되기 마련이다.
마치며
한국과 중국, 일본의 신화에 관한 자료들을 보면서 신화가 가진 독특한 세계관과 사고에 대해 다시 한 번 배울 수 있었다. 공통적으로 드러난 신화소들이 존재하면서도 그 흐름에 민족 특유의 색이 입혀져서 문화의 기반이 되고 있었다는 사실이 매우 흥미로웠다. 그리고 다 각기 다른 세계의 시작을 가지고 있다는 것도 특이할 만한 사실이다. 게다가 이러한 창세신화들이 존재하게 된 이유가 천부인권과 같은 맥락의 민족의 정당성과 우수성을 나타내려는 의도에서 오랜 세월 동안 많은 문인과 학자, 사상가, 역사가들로부터 왜곡되기도 하며 전해 내려왔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였다.
삼국의 신화들은 전해 내려오는 과정에서 역사화 시키기 위해 임의로 고치거나 역사화 하여 그 특질을 잘 살리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전란을 거치면서 많은 자료가 소실되기도 하였다. 그것을 올바르게 기록하고 남겨야할 학자들이 신화의 특질에 대한 인식이나 이해 없이 자신의 사상이나 학설의 설득력을 강화시키려는 수단으로 신화를 임의로 고치거나 견강부회하여 역사화 하였던 것이다. 특히 한국의 창세 신화의 경우 삼국유사와 같은 문헌에서 아예 누락되어 찾아볼 수 없었다는 점이 안타깝다. 한국의 창세 신화의 존재에 대해 알고 있는 수도 적을뿐더러 각 지방의 무속 서사무가 형태로 남아있을 뿐이어서 연구자료 조차 많이 부족하였다.
도서관에서 한국의 창세 신화에 대한 자료를 찾다가 여러 가지 책들을 펼쳐보며 느끼게 된 사실은 우리에게도 이렇게 신화가 있음에도 우리는 그 사실을 간과하고 다른 곳에서 우리의 정체성을 찾으려 했다는 것이다. 중국과 일본의 경우 건국신화보다 더 쉽게 접할 수 있었던 것이 창세 신화이다. 창세 신화를 통해 세상의 시작을 만들어냈다는 중국의 중화사상과 일본 특유의 천황 숭배의 뿌리가 생겨난 것이다. 자신들의 뿌리를 알고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는 것은 애국심의 고취와도 적지 않은 연관이 있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처음 흥미위주로 시작했던 신화에 대한 주제가 사실 그 양과 규모가 매우 방대함을 깨닫고는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많은 자료들이 고서로 이루어져 있어서 찾아보는데 어려움도 적지 않았다. 그 많은 이야기들을 다 담아내고 싶었지만, 각 나라의 탄생이라 볼 수 있는 창세 신화와 건국 신화 두 가지를 두고 알아보았다. 그 안에서도 몇 가지 요소로 줄여 설명하고 특징을 알아보았기에 부족한 점이 많지만, 내 자신에게는 무엇보다 뜻 깊은 배움이 되었다.
참고문헌
강종식, 2001, 다시 보는 일본 신화, 부산대학교출판부.
김선자, 2004, 김선자의 중국 신화이야기, 아카넷.
김재용 이종주 공저, 1999, 왜 우리 신화인가, 동아시아.
김태곤 외, 1985, 한국의 무속신화, 집문당.
김헌선, 1994, 한국의 창세신화, 길벗.
김화경, 2002, 일본의 신화, 문학과지성사.
박종성, 1999, 한국창세서사시 연구, 태학사.
서대석, 2001, 한국 신화의 연구, 집문당.
서유원 2002 중국민족의 창세신 이야기 아세아문화사.
선정규, 1996, 중국 신화연구, 고려원.
이어령, 2003, 신화 속의 한국정신, 문학사상사.
이인택, 2000, 중국 신화의 세계, 풀빛.
일연, 2002, 삼국유사, 을유문화사.
장원철 2002 한국 신화를 찾아서 한솜미디어.
전인초 김선자 이인택, 2002, 중국신화의 이해, 아카넷.
정재서, 2004, 정재서 교수의 이야기 동양 신화 1, 황금부엉이.
조성기, 2002, 새롭게 읽는 한국의 신화, 동아일보사.
조현설, 2003, 동아시아 건국 신화의 역사와 논리, 문학과지성사.
황패강, 1996, 일본신화의 연구, 지식산업사.
오구마 에이지, 2003, 일본 단일민족신화의 기원, 소명출판.
요시다 아츠히코 후루카와 노리코, 2002, 일본의 신화, 황금부엉이.
.
참고 사이트
www.geocities.com/Athens/Delphi/
www.pantheon.org/mythica
www.galaxy.channeli.net/~gomeisa
www.netan.com/~s1234
www.galaxy.channeli.net/~sonst
http://members.tripod.lycos.co.kr/amagic
http://www.naver.com/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6.23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59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