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의 고대/중세과학과 구분되는 17C 근대과학의 특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양의 고대/중세과학과 구분되는 17C 근대과학의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서양의 고대/중세과학과 구분되는 17C 근대과학의 특징들에 관해 논하세요.
-근대과학과 과학혁명

-근대 과학이란

-과학혁명이란

-‘과학혁명’ 이란 어떤 현상인가? ---> 과학혁명이전과 이후의 비교 /
분석

-과학혁명의 중요성


■ 참고 문헌

본문내용

한 것 아닌가? 더군다나 과학 기술은 우리 생활 구석구석, 그리고 생명에까지도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기 시작하고 있다. 생활과 생명에 관한 이슈는 바로 예술과 직결되어 있고, 따라서 예술가는 이러한 과학 기술의 영향과 본질에 대해 분석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제 과학이 발전하면서 보다 근본적인 문제를 다루기 시작했다. 생명의 근원, 사고의 근원, 우주의 근원, 감정의 근원, 이는 바로 예술의 영역인 것이다.
따라서 이제 예술가도 과학자와 마찬가지로, 기술 혁신의 가능성과 그 의미를 연구해야 한다. 다만 깊고 좁은 눈을 가진 과학자와는 달리 폭 넓게, 유기적인 상관 관계를 보는 눈으로 관찰하고 분석해야 할 것이다. 그 연구의 결과는 텍스트로, 영상으로, 음악으로, 조형물로, 그 이외에 여러 가지 매체와 이들의 복합적인 형태로 표현될 것이다. 첨단 기술을 작품 제작에 이용하거나 새로운 매체로서 활용할 가능성을 실험해 보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과학 기술이라는 사회 현상에 대한 작가의 분석과 이해, 사회에의 영향, 미래에의 예견은 당연히 예술가의 몫이다. 한 발 더 나아가서 예술가도 과학 발전과 기술 혁신의 주체가 될 수 있다. 편집부,『ten years after 과학 + 예술 10년 후』, 서울 : 다빈치, 2004, p. 10 참조.
<결론>
새로운 시대의 과학과 예술의 관계...나아갈 방향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예술가가 과학 발전과 혁신의 주체가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내 생각에는 과학자와 예술가가 서로의 영역을 나누지 말고 하나의 프로젝트를 위해 공동으로 작업을 해보는 것이 어떨까 생각을 해본다. 한 프로젝트를 위해 서로 연구하고, 공동목표를 가지고 작업을 하되, 과학자와 예술가는 각자 본래 주어진 작업을 하는 것이다.
조직적인 공동 작업은 오래 전부터 있어 왔다. 1960년대부터 EAT(Experiments in Art and Technology)라는 그룹이 형성되어 조직적인 공동 작업이 이루어졌으나, 이 경우는 과학 기술자의 기술 보조원의 역할 이상은 하지 못했다. 1970년대 미국 벨 연구소는 전화, 음성 통신 연구에 예술가들을 참여시켜 큰 효과를 보기도 했다. 이 경우는 예술가가 기술 개발의 보조원 역할을 한 경우이다. Xerox PAPC 연구소는 컴퓨터 분야에서는 전설적인 존재이다. 이러한 명성을 쌓은 이유는 기술의 점진적인 발전보다는 혁신적인 방향 전환을 모색했다는 데 있었고, 여기에 아티스트 상주 프로그램이 큰 몫을 했다. MIT Media Lab에서 수행하는 몇 개의 프로젝트는 아예 예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예술이 과학 기술 발전에 필요한 모티브와 원동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편집부,『ten years after 과학 + 예술 10년 후』, 서울 : 다빈치, 2004, p. 11 참조.
물론 과학자와 예술가의 공동 작업이 항상 좋은 결과를 내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결과를 못 내거나 심지어 악영향을 보는 경우가 더 많을 것으로 짐작된다. 그러나 현대 과학 기술의 발전에 점점 더 의외성이 높아 가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모험을 해 볼 가치는 충분히 있다고 본다. 어차피 과학과 예술은 성공할 확률 보다는 실패율이 더 높은 모험이고, 과학자와 예술가는 모험가라고 생각한다.
■ 참고 문헌
※단행본
편집부,『ten years after 과학 + 예술 10년 후』, 서울 : 다빈치, 2004.
아서 밀러, 김희봉 옮김, 『천재성의 비밀 : 과학과 예술에서의 이미지와 창조성』, 서울 : 사이언스북스, 2001.
엘리안 스트로스베르, 김승윤 옮김, 예술과 과학, 서울 : 을유문화사, 2002.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12.13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67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