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학(Economic Sociology) 요약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제사회학(Economic Sociology) 요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ꊱ Samir Amin(사미르 아민)

ꊲ 포드주의(Fordism, 포디즘)

ꊳ 도요타리즘(도요타 자동차 생산방식)

ꊴ 포드주의(Fordism, 포디즘) 위기

ꊵ 제3세계의 공업화

ꊶ 포드주의 실패의 극복(네오-포드주의와 포스트-포드주의)

ꊷ 포스트-포드주의는 포드주의 문제점 극복 여부

ꊸ 일본식 생산방식(도요타 자동차 ) 과 스웨덴 생산방식

ꊹ 사회민주주의

본문내용

진로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4 가지
노동계급 성장
ː노동자의 상대적 숫자는 지속적으로 사회민주주의가 세력을 결집하는 조건을 규정한다.
자본구조 변화
ː 기업가적 자본주의의 쇠퇴가 자본주의에 대항하는 문화를 성숙시킨다(反재벌)
쁘띠부르주아 양적 규모
ː쁘띠부르주아, 가족영농. 농민동맹 → 중앙당. 농민이 사회민주당과 협력. 산업이 발달하면서 쁘띠부르주아 감소. 경제성장 파트너가 되기 어렵다.
중간계급의 성장. 화이트 칼라 노동자.
ː경제합리화에 저항할 수 있다. 쁘띠부르주아의 대체 가능한 계급. 그러나 중간계층이 육체노동자들이나 도시 쁘띠부르주아, 농촌 쁘띠부르주아 보다 훨씬 더 이질적이다. 구심점 잡기 어렵다. 하지만 공공부문(기업의 이윤과는 직접적이지 않는)에 있는 중간계급과 동맹. 감독, 경영보다는 전문직종이 계급동맹에 수월하다.
Ⅱ. 사회민주주의의 동학(제 3의 길의 귀결 - 위기에 처한 스웨덴의 사회민주주의)
# 스웨덴의 사회민주주의
1. 복지국가
2. 단체협약의 중앙집중화
3. 연대임금제도
4. 공동결정법
5. 임노동자 기금
cf) 스웨덴 노동조합과 정당
* SAP ː 스웨덴에서는 사회민주당이 68년 중 9년을 제외하고 장기 집권함
1. LO
ː 생산직 노동조합, 95%의 조직률(230만), 사회민주당의 당원이 70%를 차지, 노동조합이 정당의 지부로 가입, 사회민주당 지지
2. TCO
ː 사무직 노동조합, 70% 조직률(100만), 사회민주당의 지지에는 시기적으로 변동
3. SACO/SR
ː 전문직 노동조합, 자본계급의 정당지지
4. SAF(경영인협회 / 한국의 경총)
⇒ 사회민주당이 장기집권이 가능한 이유?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 사회의 정당들이 계급 정당의 성격을 띄고 있었다.(일반적인 개념의 서구식 코포라티즘으로 생각하면 됨)
1. 복지국가
① 완전고용
ː 적극적인 노동시장 정책 ex) 한국 - 소극적 노동시장정책
생산규모 축소에 대한 계획을 노동시장위원회에 제출하여 해고자와 고용자들의 관계를 연결(적극적인 재활 교육, 직업교육을 정부가 제공하여 기업의 노동력 수요를 충당한다)
② 복지제도
ː 결혼 이후 자녀 출산 휴가 1년(남녀 모두에게..!), 동거인이나 미혼모에게도 복지혜택을 준다. 외국인 노동자들에게 언어교육을 받게 해주고 이를 노동시간으로 인정 → 인간 본위의 정책 사용
③ 제 3 세계 관계
ː 제 3 세계의 상품에 무관계 or GND에서 제 3 세계에 지원금 지출을 함.
⇒ 국회 의원 중 여성이 40% / 남녀 임금격차 전체 97%(스웨덴) ← 한국 60%
but) 의문점 - 왜(why)? 스웨덴은 1960년 한국전쟁 당시 UN군의 참전을 반대하였나?
2. 단체협약의 중앙집중화(1937년)
ː 포드주의적 계급 타협(3단계)
① 상급단체 사이에(LO와 SAF)
② 산업수준에서 부분별로 타협
③ 기업수준에서 기업내 경영자와 협약
⇒ but) 1950년대부터 시작된 중앙교섭은 1990년대 LO와 SAF의 중앙교섭은 없어지고, 산별단위교섭만 가능(LO가 내용 조정), 하지만 그 동안 중앙교섭은 삶의 질에 대한 보장을 하였으며 노동조건의 차이 無
3. 연대임금제도(1950년대)
ː 동일노동, 동일임금
① LO수준에서 임금 수준 설정
② 노동자의 임금이 기업주의 지불능력이 아니라 노동에 따라 지급하게 하는 것(작업성격에 다른 임금 격차는 인정)
but) 산업구조조정으로 인한 영세기업의 도퇴(퇴출)와 고숙련 노동자들의 불만 발생..! → 생산성이 높은 기업의 확대재생산(투자)로 생산성이 낮은 부문으로 확대(해고 노동자들의 이동 가능)
4. 공동결정법(1976년)
① 노동자의 노동조건에 영향을 미치거나 노자간 영향을 미치는 사안은 노조와 공동결정..!
② 결정과정에서의 신속성이 떨어지지만 결정 이후 신속성 있게 추진 가능
③ 노사간의 상호 신뢰와 협조(자발성과 경쟁성↑)
5. 임노동자 기금(1983년)
① 노조가 회사의 자금 중 세금을 지불하고 남는 이윤(20%)의 일정한 수준을 초과하는 부분은 기금으로 납부(임노동 기금으로 관리)
② 노조가 이를 관리하여 회사의 주식을 구입하여 기업의 소유주가 가능(개별 기업에 한해서 취할 수 있는 지분 8%) → 기업의 집합적 소유가능(자본의 독점방지) → 의사결정에 있어서 사회의 공익 우선적인 결정
③ 산업민주주의의 기초 확립. but) 기업측의 반대로 91년 추가모금을 하지 못하게 됨..!
# 스웨덴의 계급 구성
1. 노동계급 - 사회민주당
2. 자본계급 - 중도당(M)
ː 자유시장주의자들..! 사민당에 투표하지 않지만 그렇다고 한국과 같이 적대적이지는 않다. 사민당의 정치 능력을 신뢰
3. 농민계급 - 중앙당(C)
ː 가족농업, 저소득자(안전, 평등을 선호 / 시장경제 ×), 국가 복지에 적극적지지, 50년대 이후 노동계급과 계급 연대 실패 → 이후 환경문제에 급진적으로 나타남..!(1973년 핵발전소 폐지제안, 사민당은 어정쩡한 자세..! 중앙당의지지↑ 이후 사민당이 환경문제에 관심을 갖게 됨)
4. 중간계급 - 사회민주당 지지와 비판 세력으로 양분
사민당 지지세력 ː 중간계급의 35%, 공공부문과 여성의 비율↑
(복지제도의 유지/지지, 공공부문의 이해관계 有)
사민당 비판세력 ː 사무직의 소득 수준이 타 국가보다 떨어짐
(노동자와 상대적 차이나 우위 無), 중도당이나 국민당(인민당)지지..!
cf) 사민당 정책
- 공동결정제도 사례 ː 칼마르 공장의 공장설계
- Joint Project(Win-Win Game) ː 노사공동위원회에서 93년에 작업장의 싸이클 타임을 노사가 합의한 사안을 적용(시간을 조절해서 사용 할 수 있도록 싸이클 타임을 늘림..!)
참고자료
[신경제], “제5장 기업역사학”
장세진, “경영자원론과 기업진화론을 중심으로 한 전략경영이론의 최근 동향”, 전략경영연구 제1권 1호, 1998.
박길성, “경제진화론과 기업진화론”, 『한국사회』제5집, 2004.
김균, “진화론적 제도론”, 『사회비평』 12호. 1994.
박길성.이택면, “효율성, 권력, 그리고 기업사회학”, 『한국사회학』 38집 6호, 2004.
[신경제], “제4장 거래비용 경제학과 사회학”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6.07.22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97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