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상 한시의 특질과 문학사상적 의의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지상 한시의 특질과 문학사상적 의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Ⅱ. 본론 ‥‥‥‥‥‥‥‥‥‥‥‥‥‥‥‥‥‥‥‥‥‥ 3
1. 생애‥‥‥‥‥‥‥‥‥‥‥‥‥‥‥‥‥‥‥‥‥‥ 3
(1) 출생과 성장
(2) 정치적 활동
2. 작품분석 ‥‥‥‥‥‥‥‥‥‥‥‥‥‥‥‥‥‥‥‥ 4
(1) 애이불상의 정서
(2) 쟁신으로서의 면모
(3) 도선가적 경향
3. 漢詩史 에서의 의의 ‥‥‥‥‥‥‥‥‥‥‥‥‥‥‥‥ 13
(1) 후인의 평가
(2) 정지상과 김부식
1) 차운의 예
2) 이수복의 ‘봄비’와 ‘송인’


Ⅲ. 결론 ‥‥‥‥‥‥‥‥‥‥‥‥‥‥‥‥‥‥‥‥‥‥ 20


*참고문헌‥‥‥‥‥‥‥‥‥‥‥‥‥‥‥‥‥‥‥‥‥‥ 22

본문내용

짝하여 새로이 서고
임앞에 타오르는
향연과 같이
땅에선 또 아지랑이 타오르것다. 위의 책 같은 면.
이에 대해 李圭虎는 “제 1연은 송인의 1연을 그대로 풀어쓴 듯 하며, 특히 ‘서러운 풀빛’이란 구절로 지상의 시가 갖는 정조를 드러냈다고 평하였다. 이어서 2연의 종달새와 動悲歌가 대비되고 3연의 ‘꽃과 처녀애들’과 大同江水何時盡의 의미, 즉 이별이라는 人事의 덧없음과 大同江水라는자연물의 영구성에 대비시키고 있다고 서술하고 제 4연에서는 땅에서 피어나는 아지랑이를 매년 봄 죽은 님 생각 어김없이 도래함을 別淚年年添綠波 곧 매년 계속되는, 남포에서 흘리는 이별의 눈물에 결부되어 있음을 보게된다” 李圭虎(1985), 「次韻法과 鄭知常의 送人」, 『韓國古典詩學論』, 서울:새문사. p. 40
라고 평하였다.
그러나 이수복의 「봄비」와 정지상의「송인」의 정서는 이 두시가 관련성이 있다고 생각하고 보지 않는 한 매우 달라서 공통점을 찾기가 힘들다. 이수복은 정지상의 「송인」이 어두운 면을 밝은 분위기로 바꾸려고 했다고 하지만 「송인」의 애닯은 정서는 그대로가 ‘슬프기에 더욱 아름다운’ 시인것이다. 그 것은 구태여 바꿀 필요도, 바꾸어서도 안 된다고 생각한다.
한 가지, 그의 시도는 정지상의 시를 계승하고자 했던 새로운 노력이었다는 것과, 맑은시어를 가진 또 하나의 서정시를 창조해 냈다는 것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Ⅲ. 결론
이상으로 정지상의 생애와, 그의 내면에 흐르는 사상 그리고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젊은 시절 일찍이 부친을 여의고 편모 슬하에서 공부하여 출세하기까지의 과정은, 고려라는 특성으로 볼 때 결코 쉬운 일은 아니었을 것이다. 아마도 정지상은 이 시기에 현실을 보는 관점이 다른 문벌 귀족들의 자제나, 또는 그런 신분의 계층들과는 달리 형성되었을 것이며, 이러한 젊은 시절의 고뇌스러운 생활이 정지상으로 하여금 저항적이고 자주적이고 전통적인 가치관을 자연스럽게 가지도록 하였을 것이다. 이러한 가치관은 정지상으로 하여금 말이 곧은 쟁신의 풍모를 지니게 하였고, 척준경의 탄핵운동, 서경천도운동, 칭제건원운동 등을 가능케 하였을 것이다. 문학적 활동은 그가 김부식 일파에 의해 일찍 죽음을 당하는 것으로 말미암아 많은 수의 작품이 현재 남아 있지 않은 점에도 불구하고 짧은 생애였지만 활발한 활동을 한 것으로 짐작된다.
그의 작품들을 살펴보면,
① 이별시에서는 그의 젊은 날의 좌절과 절망과 외로움 그리고 이별의 아픔을 그리고 있다. 정지상의 이별시는 님을 잊지 못하여 깊은 체념과 좌절은 있으나 재회의 간절한 소망을 버리지 않는 애이불상(哀而不傷)의 깊은 정서를 깔끔하고도 애잔하게 노래하고 있다.
② 관직에 있을 때 지었던 정지상의 시에서도 넘치는 시적 재능과 참신한 표현은 두드러진다. 사실적인 묘사보다는 감각적인 표현으로 맑고 깨끗한 느낌을 주는 시가 여전히 많지만 雪과 竹을 소재로 삼은 시와 다른 몇몇 시를 통해 관직 생활에 있어서의 청렴함을 향한 의지와 곧은 기상을 엿볼 수 있었다.
③ 儒 佛 仙 모두 능통하였던 그의 시에서는 노장사상의 색채가 주조를 이루고 있다. 현실세계보다는 자연과의 교감을 통하여 자연과의 합일의 경지에 이르는 시는 신적 세계로의 지향성과 은둔적 정태적 세계로의 지향성이 있다.
④ 그는 시적 재능이 넘치며 참신한 표현으로 사실적인 묘사보다는 감각적인 표현으로 맑고 깨끗한 느낌을 주는 시를 썼다.
따라서 내용적으로는 풍류와 개인적 서정을, 시의 율격에서는 유려한 음조를 극도로 살려주는 운치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고려 시대 시의 특징을 전형적으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 유려함 때문에 시상의 깊이가 얕은 점이 단점이라면 단점이겠지만 아름다운 시편으로 고려 시대 많은 시인들의 칭송을 받고 후대에 작가들이 다투어 그의 시를 차운(次韻)하는 등, 후세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친 정지상의 재능은 실로 뛰어났다고 하지 않을 수 없겠다.
덫붙이자면, 정지상의 시가 당대에 작품의 완성도만큼의 평가를 제대로 받지 못한 이유는신선사상이 주를 이루었던까닭이다. 역사적으로 도가, 신선, 도교등은 국책적인 비호를 받지 못하였으며 아직까지도 그에대한 인식은 부족하다고 보여진다. 또한 신선사상은 아직 불교나 유학사상처럼 일관된 체계를 갖추고 있지 못하기도 하다. 만약 정지상이 현대에 태어났더라면 이 시대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받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보며 여기서 본 연구를 마치고자 한다.
***참 고 문 헌***
김여정(1977),「현대시의 이해와 감상」, 선담도서출판사
金承璨(1983), 「鄭知常論」, 『國語國文學』20집, 부산대 국어국문학회
杜球(1987), 「鄭知常의 生涯」, 『어문연구』제15권제2호, 서울:일조각
朴守川(1994), 「鄭知常 漢詩의 文學性에 관한 硏究」, 『한국한시연구』2, 한국한시학회
朴守川(1995), 「鄭知常論」, 『한국한시작가연구』1, 서울:太學社
안병길(1984), 「고려의 서정시인」, 『한국 고전문학 작가론』, 소명 출판사
梁柱東(1965), 「非命에 간 抒情詩人」, 『한국의 인간상』제5권, 서울:신구문화사
李鍾文(1990), 「鄭知常의 詩世界」, 『漢文學硏究』6, 啓明漢文學硏究會
李圭虎(1985), 「次韻法과 鄭知常의 送人」, 『韓國古典詩學論』, 서울:새문사
李演載(1987), 「高麗漢詩의 神仙思想 硏究」,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일재(1992),『정지상과 그의 한시의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중휘(1999),『鄭之常 文學 硏究』,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종욱 엮음(2001),『산사에 가면 시가 보이네』, 이회
손정인(1998), 「鄭知常의 違和된 삶과 그 詩的 形象化」, 『고려중기 한시형성』, 문창사
申紫霞(1980),「申紫霞詩集」, 경문사.
신채호(1978),『한국사연구초.』, 을유문고
田英鎭(1995), 『동문선』, 홍신문화사
정병욱 편저(1966), 「시조문학사전」,신구문화사
정병욱(1977), 「한국고전시가론」,신구문화사
한국한시선집(1980), 아세아문화사
한국문헌연구소편(1990),「대동시선」上
『고려사』
『동문선』
『파한집』
『보한집』
『동국여지승람』
『신동국여지승람』
『석북문집』
  • 가격3,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6.10.16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03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