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최치원전 - 작품분석 및 문학사적 의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문학]최치원전 - 작품분석 및 문학사적 의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최치원의 수록 문헌
2.2 최치원의 작가 문제
2.3. 작품의 줄거리
2.4 . 소설로서의 <최치원전>
2.5. 애정소설로서의 <최치원전>
2.6.<최치원>이 등장할 수 있었던 사회적 배경

3. 결론

본문내용

문학연구회, 1981.
당시의 사회 모순에 대해 누구보다도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었던 것은 바로 최치원과 같은 육두품 지식인들이었다. 그들은 높은 한문학 수준을 바탕으로 사회의 모순을, 또한 자신들의 고민을 형상화해 낼 수 있는 문학적 자질을 충분히 갖추고 있었으며 또한 새로운 사상, 문화를 선도해 나갈 수 있는 자질도 갖추고 있었다. 이런 육두품 지식인들이 지녔던 사회적 모순과의 갈등 국면은 흔히, 소설출현의 기본전제로 인식되는 ‘자아와 세계의 갈등’ 구도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또한 어느 때보다도 활발했던 중국과의 문화교류 과정에서 유입된 전기문학은 국내의 서사문학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사회적 모순의 인식, 육두품 지식인의 한문학적 교양과 창작능력의 보유, 그리고 중국의 전기문학 유입이라는 사회, 문화적 배경이 이 시기 어느 정도 마련되어 있었기 때문이 <최치원>과 같은 전기 소설적 면모를 지닌 작품이 탄생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3. 결론
이상은 <최치원>과 관련된 그간의 논의를 사안별로 정리해 본 것이다. 살펴본 바에 의하면 <최치원>에 관한 논의는 주로, 이 작품의 작가와 창작 시기를 밝히고, 작품이 가지고 있는 전기 소설적 면모를 밝혀, 이를 우리 고소설사의 시작을 신라말 고려초로까지 끌어 올리는 데에 대한 근거로 삼고자 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최치원전>의 소설적 특징, 애정소설로서의 <최치원전>의 근거와, 신라말 고려초 <최치원>과 같은 작품이 탄생할 수 있었던 사회 · 문화적 배경도 함께 고찰하고 있었다.
이러한 모든 논의는 무엇보다도 <최치원>이라는 작품 자체가 갖는 높은 소설적 성격에서 기인한 것이다. 우리 고소설의 시작을 나말여초로 보는 데에는 짧게는 『금오신화』가 창작된 15세기까지의, 길게는 본격적인 소설 창작이 이루어지는 17세기까지의 공백기를 설명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지 않았다는 등 장효현, 「전기소설의 장르 개념과 장르사의 문제」, 『한국고전소설사연구』, 고려대출판부, 2002.
여러 가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지만, 작품 자체가 갖는 소설로서의 성격, 혹은 그 가능성만은 부정할 수가 없는 것이다. <최치원>에 대한 논의는 앞으로도 이러한 방향에서 소설적 성격을 밝히는 시도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4. 참고문헌
박태상, 「『태평통제』소재 <최치원전> 연구」, 한국고소설학회, 고소설연구, 1995
지준모, 「최치원전 평석」, 동방한문학회, 1999
최기숙, 「권력담론으로 본 최치원전」,연민학회, 연민학지, 1997
유정일, 「『수이전』일문 <최치원>의 장르적 성격과 소설사적 의미」『어문학』, 87, 한국어문협회2005
박희병, 『한국전기소설의 미학』, 돌베개, 1997,
장효현, 「전기소설의 장르 개념과 장르사의 문제」『한국고전소설사연구』, 고려대출판부, 2002.
임형택, 「나말여초의 전기문학」, 『한국한문학연구』, 5, 한국한문학연구회, 1981.
김건곤, 「『신라수이전』의 작자와 저작배경」, 『정신문화연구』, 3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8.29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25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