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정기 좌우 합작운동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군정기 좌우 합작운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목적과 배경
(2) 연구의 방법

II. 건국준비위원회와 미군정의 등장
(1) 건국준비위원회의 설립배경과 활동내용
(2) 건국준비위원회의 성격과 의의
(3) 미군정의 등장과 정치세력의 재편

III. 정당 좌우 합작운동
(1) 민족지도자들의 환국과 삼상회의의 오보
(2) 정당 중심의 좌우 합작운동 전개과정
(3) 정당 좌우 합작운동의 의의와 한계

IV. 미군정 주도의 좌우합작운동
(1) 모스크바 삼상회의와 미소군정의 대한반도 정책
① 미소군정의 대한반도 정치세력 정책
② 모스크바 삼상회의
(2) 찬탁 반탁 운동의 전개와 의의
(3) 미군정 주도하의 제3차 좌우합작운동
(4) 제3차 좌우합작운동의 의의와 한계

V. 결론

본문내용

을 중심으로 새롭게 좌우합작을 통한 統一民族國家의 건설이 실패함으로써 제2차 좌우합작운동은 실패하게 된다.
모스크바 3상회의에서 한국을 5년간 신탁통치 한다는 사실은 좌익, 우익 세력을 첨예하게 대립상태로 몰고 갔으며 이러한 분열된 국내 정국을 수습하고 다시 협력의 방도를 모색하기 위하여 4개정당과 臨時政府 대표들은 서로 협력하기도 하였지만 政治勢力들간의 헤게모니 차이로 인해 결렬되고 만다. 좌우합작을 위한 시도가 불투명해짐에 따라 우익진영에서는 南朝鮮 大韓國民代議民主議院을 탄생시켰으며 좌익진영에서도 民主主義民族戰線을 결성함으로서 民主議院, 民戰이라는 좌우대립의 진원지가 되었다.
이와 같은 좌우의 첨예한 대립과 제1차 美蘇共同委員會의 무기휴회에 따라 모스크바 3상회의 결정에 의한 統一臨時政府수립에 대한 전망이 불투명해저, 내적으로는 南北分斷의 가능성이 심화되었고, 외적으로는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이 이승만과 김구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고 ‘中間的 指導者’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전환됨으로서 3차 좌우합작운동이 전개되었다고 할 수 있다.
모스크바 3상회의 결정에 따라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려했던 미국은 통일임시정부가 공산주의자의 주도에 의해 수립되는 것을 막고자하여 좌우합작을 통한 국가 건설을 희망하였다. 당시 민중적 지도자인 이승만, 김구가 아닌 중간적 성향을 지닌 여운형과 김규식이 미국의 선택에 의해 좌우합작운동의 주체가 된 것이다. 이를 통해 모스크바 3상회의의 원칙 안에서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려하였고, 좌익을 분열시키기 위한 방안의 일환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군정하에 주도된 제3차 좌우합작운동은 제1단계(1946.5~1946.10):좌우합작운동의 추진과 합작 7원칙 성립기, 제2단계(1946.10~1946.12):조미공동회담 개최와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설치기, 제3단계(1947.1~1947.12): 제2차 미소공위 재개 및 결렬과 합작위원회 해체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유광진 황의서,〈해방 후 좌우합작운동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동국논총》(제34집), 동국논총, 1995, 85p
김규식여운형을 중심으로 추진된 좌우합작운동은 좌우 양측이 합작조건을 제시하면서 전개되다가 좌익 측의 신전술에 의한 폭력노선 및 우익 측의 편협성 등으로 말미암아 일시 중단상태에 들어가게 된다. 그 후 좌우 양측대표의 계속된 노력으로 합작운동이 재개되어 合作 7原則에 합의발표하게 된다. 그러나 극좌극우세력이 각자의 노선 및 합작원칙만을 고집, 이 7원칙을 비판함에 따라 좌우합작운동은 암초에 부딪히게 된다. 하지만 좌우합작운동은 남북통일민주주의 임시정부 수립을 위한 미소공위 재개촉진 움직임으로 발전하였고, 이 과정에서 中間的 勢力이 광범위하게 결집되는 결과를 낳았으나, 한반도 점령 당사국인 미소 양국의 상충된 국가이익에 따른 냉전 논리와 미군정 정책의 미숙, 그리고 일제 식민통치 이후 계속된 국론의 분열과 派爭姓에 의해 좌우합작운동은 좌절되고, 한반도문제가 유엔으로 이관되어 결과적으로 南北 分斷國家 誕生이라는 최악의 결과를 낳은 것이다.
해방 후 미소의 남북분단지배시대에 민족주의적 과제는 주체적 민족통일과 민주주의의 성취를 통한 統一民族國家의 건설에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해방 후 각 정치세력들은 좌우합작이라는 논리를 내세워 정국을 주도하려 하였다. 여기에 미국과 소련이라는 외세 세력이 개입함으로써 국내 정치세력이 의도한 바와는 상이하게 진행되게 된 것이다. 특히, 미군정하에서 남한 정부는 미국의 정치 논리에 따라 움직일 수밖에 없었던 현실이 바로 南北分斷이라는 비극을 낳게 하였고, 현재까지 이어져 온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해방 후의 統一民族國家 수립을 목표로 한 좌우합작운동을 관심 있게 살펴보아야 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유광진 황의서.〈해방 후 좌우합작운동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동국논총》(제34집). 동국논총. 1995, 85~127p
이일수.〈미군정기 좌우합작운동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정기원.〈1945∼48년 남한정치세력들의 민족주의적 성향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대학 원.1987 <한국사52, 대한민국의 성립〉.국사편찬위원회. 2002
신복룡.〈한국분단사 연구〉.도서출판 한울. 2001
김남식. <박헌영, 남로당의 통일전선론>. <<연속간행물(논문)>> 역사와 비평 98 봄호 24p
강택구. <조선인민공화국에 대한 미군정의 인식과 대응 연구>. <<학위논문(석 사)>> 정치외교학 춘천: 한림대학원. 1998. 109p.
황의서, <해방 후 좌우합작운동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박사)>>. 동국대학교 대학원. 1995. 209p
이철순, <해방직후 좌익세력의 대미인식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석사)>>서울 대학교 대학원. 1988. 94p.
양성철, <조선공산당·남로당의 정치노선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1945년 9월 -1949년 6월을 중심으로>. <<학위논문(석사)>>. 연세대 대학원. 1993. 115p.
박성진. <미 군정의 전략적 선택과 배제 1945-1948>. <<연속간행물>>. 2001.
심지언. <신민당 백남운의 통일 전선론>. <<학술총서(논문)>>. 한림대학교 아시 아 문화연구소. 1999.
차민혁. <해방기 좌유합작운동에 대한 연구>. <<학위논문(석사)>>. 2001.
고도원. <여운형의 정치활동과 정치노선>. <<학위논문(석사)>>. 1998.
김영명. <미군정과 대한 민국의 수립>. <<학술총서(논문)>>. 한림대학교 아시아 문화연구소. 1999. 34p
李是珩 <‘保守·右翼’ 지도자들의 건국사상 : 이승만·김구·송진우를 중심으로>. <<학위논문(박사)>>. 정치학과 서울: 慶熙大大學院, 1995. 147p.
金眞亨 <美軍政期 右翼 靑年團體의 組織과 活動에 관한 硏究>.
<<학위논문(석사)>>.역사교육 서울: 漢陽大 敎育大學院 1996. 71p.
朴夏成 <해방정국하에서 한민당의 정치적 역할>. <<학위논문(석사)>>. 정치외교학 광주: 朝鮮大大學院, 1994. 49p.
김인식. <좌·우합작운동에 참여한 우익 주체의 합작이론>. <<역사관논집 제 96 집>>. 역사편찬위원회. 2001. 33p.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6.08.30
  • 저작시기200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25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