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문화유산 - 장자못 전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전설의 개념

2. 장자못 전설의 내용분석

3. 인물간의 갈등양상

4. 우리 문화와 기독교 문화의 유사성

5. 소돔과 고모라와 장자못 전설의 비교

6. 성서의 소돔과 고모라(이하 성서)와 장자못 전설의 비교

7. 벌핀치신화 와 장자못 전설

8. 공통적 문화로서의 신화와 장자못 전설의 의미

9. 전승 집단의 의식

10. 장자못 전설에서 전승집단의 의식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 전북 임실군 오수면 오수리 원동산에는 의견 전설의 주인공인 개를 기리는 의견비가 서 있다. 이 의견비는 전라북도 민속자료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곳은 원래 임실군 둔남면 오수리였는데, 1992년 8월 10일자로 면 이름을 오수면으로 바꾸었다. 임실군 오수면 오암리 전주 남원 간 국도 변에는 남자가 개를 데리고 서있는 의견상이 서 있다. 1994년 4월 30일에 오수 청년회의소에서 세운 의견상 아랫부분에는 “오수 의견의 이야기는 의리와 보은의 본보기로 옛적에는 견분곡으로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렸고, 오늘날에는 초등학교 교과서에소 실려 있다. 오수 청년회의소가 의견제 10주년 기념 사업의 하나로 김개인과 의견의 동상을 제작하고, 이를 새삼 전주 남원 간 국도변 오수의 초입 지점에 건립하는 것은 의견의 고장을 보다 널리 알리는 동시에 의견의 교훈을 길이길이 되새기고자 함이다.”라는 오수 의견상 건립 취지가 적혀 있다. 이 지역에서는 오래 전부터 의견제를 지내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이 지역 주민들이 고려 시대 최자(催滋)가 쓴 『보한집(補閑集)』에 실린 의로운 개 이야기를 근간으로 하고 쓴 의견 전설이 이 지역을 배경으로 하여 전해 오고 있음을 매우 자랑스럽게 여기고, 널리 알리고자 하였음을 말해 준다. 경북 구미에도 이와 비슷한 이야기와 함께 의구총(義狗)이 있다. 그러나 이곳 주민들만큼 이 전설을 자랑스럽게 여기는 것 같지는 않다.
10. 장자못 전설에서 전승집단의 의식
1) 금기를 통한 신성성의 획득
<장자못>전설에서의 금기는 인간의 입장에서 시련의 과정이자 단련의 방법 일뿐 아니라 신성성을 획득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한편 신의 입장에선 금기 제시를 통해 인간에게 기회를 주어 구원하려는 의지의 표현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러한 금기는 인간적 한계로 인해 깨져버리고 인간에겐 갈등과 좌절이 주어진다. 이때의 인간적 한계는 엄밀히 말하자면 인정, 의지의 나약함, 집과 식구들에 대한 걱정, 미련, 호기심, 부주의 등 지극히 인간적인 속성들이다.
이와 같이 전승집단은 금기 제시를 통해 인간의 신성성에 대한 구원에의 열망과 인간으로 하여금 갈등하게 하고 좌절하도록 하는 요인인 인간적 속성에 대한 품어안는 마음을 이야기하고자 하였다.
또한 금기제시와 금기파기의 과정에서 악인을 미워하고 선인을 좋아하는 인간과는 다른 신의 냉정하고 객관적인 태도를 짐작해 볼 수도 있다.
2) 장자못 형성과 영혼의 정화
물 즉 못은 장자의 악행에 대한 징벌로서의 의미일 뿐 아니라 생명의 근원으로서의 물이라는데 더 깊은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물은 만물의 원천이며 기원으로 생명이 존재하는데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적 존재로 민간 의식 속에서 아주 오래 전부터 풍요와 재생을 기원하는 상징이 되어왔다.
장자의 악행에 대한 징벌의 결과로 생겨난 못이 하나의 생명의 근원을 상징하는 물줄기가 되어 그 지역 사람들에게 용이하게 쓰일 수 가 있는 것일 뿐 아니라 장자의 입장에선 죽어서나마 선행을 베풀 수 있는 새로운 기회가 주어지는 것 이기도하다.
다시 말해 장자네 집터가 못이 되었다는 것은 이전의 상태로 되돌아감을 통해 완전한 재생, 새로운 탄생으로 역행하였다는 것을 상징한다.
3) 바위 숭배 의식
며느리에 대한 징벌이 민간에서 어떻게 인식되어 왔는가를 반영하는 것으로서 며느리의 희생을 애도하기도 하고 득천 하지 못한 며느리의 넋을 위로하기도 하는 마음들이 자연스런 암석 신앙과 결부된 것으로 보여진다.
더불어 이는 흔히 볼 수 있는 바위나 돌이라 하더라도 그것을 경외롭게 바라보던 우리의 민간신앙이 자연스럽게 묻어난 흔적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강등학 외, 개정판 한국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002
최운식, 전설의 현장을 찾아서, 민속원, 1997
송미영, 논문 장자못 전설 연구
최래옥, 한국 구비 전설의 연구
민속학회, 한국민속학의 이해
천혜숙 <홍수설화의 신화학적 조명><<민속문화 연구>>
손진태 <<한국 민족 설화의 연구>> 을유문화사 1981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 교육학 사전')
*목 차
1. 전설의 개념
2. 장자못 전설의 내용분석
3. 인물간의 갈등양상
4. 우리 문화와 기독교 문화의 유사성
5. 소돔과 고모라와 장자못 전설의 비교
6. 성서의 소돔과 고모라(이하 성서)와 장자못 전설의 비교
7. 벌핀치신화 와 장자못 전설
8. 공통적 문화로서의 신화와 장자못 전설의 의미
9. 전승 집단의 의식
10. 장자못 전설에서 전승집단의 의식
<참고문헌>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9.13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38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