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생명의 존엄성 문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인공 수정

Ⅱ. 본론
1. 시험관 아기
2. 시험관 수태의 윤리적 문제점
3. 태아 진단
4. 인공 유산
5. 장기 이식

Ⅲ. 결론

본문내용

월, 성모병원에서 첫 신장 이식을 시행한 이래 전국에서 수백 예에 이르는 신장 이식 수술이 시행된 바 있다. 국내에서는 신장 이식과 골수 이식이 있었을 뿐, 다른 장기에 대한 이식 수술은 서울대학병원에서 한 번의 간이식이 있었다.
신장 이식
신장의 동종 이식은 동인자형 이식의 성공이 있은 지 5년 후인 1959년에 성공적으로 시행되었으며 이때부터 신장 이식술이 시작되었다.
처음에 이식이 시작될 때는 거의가 생체 공급자였으나 현재 구미 각국에서는 대부분이 사체에서 장기를 제공받는다. 특히 오스트레일리아는 신장 이식의 97%, 유럽은 88%, 그리고 미국에서는 72%가 신장을 사체로부터 제공받고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는 이와는 정반대로 거의 모든 이식의 예가 생체 공급자이며 사체로부터는 현재까지 4번 제공 받아 일곱 환자에게 시행하였을 뿐이다.
간장 이식
사람에게 첫 간 이식은 1963년 여름에 시행되었는데 이식후 13일 밖에 생존치 못하였다.
1967년에는 18세의 간암 환자에게 간을 절제하고 그 자리에 동소성간 이식을 시행하여 13개월 간 생존시킨 예가 있다. 현재는 미국의 피츠버그와 영국의 케임브리지 의대에서 주로 간 이식을 시행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약350예에서 시행된 바 있다. 이식 후 1년 생존율은 많이 개선되어 50%에 달하며 소아의 경우는 이것보다 양호하고 간이식후 10년 이상 생존한 예도 있다.
간은 신장과 같이 쌍으로 되어 있지 않고 단일 장기 이식 때문에 생체 공급자에서 장기를 얻을 수 없으며 모든 공급자가 반드시 사체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어려움이 따른다. 즉 사체로부터 절제된 간은 적어도 3시간 내지 6시간 이내에 이식하여야만 하는데 그 이유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장기 관류법으로는 8시간 이상 보존하였던 간을 이식하면 결과가 나쁘기 때문이다. 이식 수술전 간 기능의 개선을 위하여 교환 수혈 또는 원숭이 간을 이용한 혈액 관류 등 몇 가지 방법이 있으나 아직 실험 단계에 있다.
심장 이식
심장 이식은 1950년에 심폐기가 개발되면서 우선 동물에서 시작되어 1959년 스텐포드 대학의 섬웨이에 의하여 이식 수술 방법이 정립되었고 1967년 12월에는 거의 같은 수술 방법으로 남아프리카의 버나드 박사에 의하여 사람에서 첫 심장 이식이 시행되었다. 버나드의 첫 예는 18일 밖에 생존하지 못하였지만, 현재 1년 생존율은 65%, 5년 생존율은 45%를 기대하고 있다. 1년 이상 생존한 예의 80%는 다시 수술전 직장으로 복귀할 수 있다고 한다. 심장 이식도 간 이식과 같이 단일 장기이기 때문에 이식할 심장을 얻기가 어려운데 미국의 경우 엄격한 이식 가능성의 기준에 따라 이식을 기다리는 환자의 20-25%가 이식받을 심장을 기다리다가 사망한다고 한다. 그러므로 이식 심장을 얻었을 때 어느 환자를 수령자로 선택하는가에 대해서는 의학적인 문제 이외에 사회적 및 윤리적인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장기 이식의 윤리 문제
오늘날 장기 이식이 활발하게 시행됨에 따라 의학 분야에서 장기 이식은 과거에 없었던 새로운 윤리적 문제로서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먼저 윤리적으로 장기 이식 수술은 꼭 필요하며 이것이 의학적으로 환자에게 최선의 의료 방법인가를 결정하여야 한다. 단순히 의학적인 지식이나 경험을 얻기 위한 시도가 내포되어서 장기 이식을 결정하거나 시행해서는 안된다.
일단 장기 이식이 결정되면 장기 공급자 문제가 뒤따르게 되는데 이때는 부모나 형제 등 가족에게는 물론이려니와 인척 관계에 있지 않은 경우에도 꼭 만족스러운 공급자가 없다고 하여 교차 시험이 잘 맞지 않는 공급자를 장기 제공자로서 선택하여서는 안된다. 또 공급자로서는 형제에게 자기 장기 일부를 제공함으로써 거절로 인한 죄의식에서부터 해방되는 마음이나 단지 수령자에게 수명을 연장하여 주었다는 자선에서 이루어진 제공이 아니고 형제애 또는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확실한 가치관을 바탕으로 하여 희생적인 사랑의 마음에서 장기 제공이 이루어질 때에 윤리적이라고 생각된다. 또 장기 제공이 어떤 형태의 매매에 의하여도 이루어져서는 안된다. 즉 장기 공급자가 생체이거나 사체이건 간에 장기 제공으로 어떤 보수나 대가를 받아서 이식이 이루어져서는 안된다. 사체에서 장기를 제공받을 때에 우선 문제가 되는 것은 장기 제공자에 대한 죽음의 판정 문제이다. 이식 수술팀으로서는 장기 제공자의 최후 순간에 제공될 장기의 기능을 위하여 충분한 수액 요법 또는 체온 감소 등의 처치에 따른 문제가 크게 중요시 될 수 있으나, 제공자의 생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어떤 처치도 사전에 가하여서는 안된다. 장기 이식에 따른 여러 가지 의학적, 사회적 또는 윤리적 문제들을 의학적 지식이나 기술만으로는 해결하기가 어렵다. 장기 이식은 수령자에게 충분한 희망과 성공의 기회가 확실할 때 행하여져야 옳다고 믿는다.
Ⅲ. 결론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첨단 기술을 의학 분야에 응용함은 이제는 불가분의 밀접한 관계로 되었으며 미래에는 생명 공학의 원리를 응용하며 인간의 유전자를 변화시킬 수 있는 시기가 곧 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게 되면 그 동안 해결 못했던 유전적 질병의 일부는 치료될 수 있는 결과를 가져올지 모르나, 여기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예기치 않았던 많은 부정적인 문제들로 인하여 인간의 생명은 더 큰 위험과 고통에 직면하게 될 것이며, 인간의 생명이 자연의 섭리에 의하여 삶을 영위하기보다는 인간의 필요에 따라 세상에 인간의 생명을 존재케 할 수도 있고 소멸케 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의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보호받아야 할 인간 생명이 현대 의학의 고도로 전문화된 기술화에 의하여 시작부터 조작당하고, 그 존엄성이 짓밟히고 유린당하고 있는 현실은 인간의 이기심과 무분별한 판단의 결과라고 볼 수 있겠다.
참고 문헌
1. James D. Watson 외(2002). 인간복제 무엇이 문제인가. 울력
2. Lee M. Silver(1998). 리메이킹 에덴. 한승
3. David M. Rorvik(1997). 복제인간 허구인가 사실인가. 사이언스북스
4. 장은성(2000). 인간게놈계획. 책과공간
5. www. unesco.or.kr

키워드

의학,   인간,   생명,   존엄성,   문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10.15
  • 저작시기200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73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