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도성계획과 궁궐정원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조선시대 도성계획
(1) 한양으로의 천도
(2) 한양 도성계획의 특징
(3) 한양 도성의 풍수
2. 조선의 궁궐
(1) 궁(宮)과 궐(闕)의 의미
(2) 조선시대의 궁궐
(3) 전통 궁궐 담장의 비교(조경요소로서)
3. 도성계획이 궁궐정원에 미친 영향

본문내용

굴뚝을 겸하는 공담으로 평지인 후원의 단조로움을 부드러운 공간으로 이끌어줌
사괴석과 붉은전돌의 복합형, 기와지붕
장식적인 기능, 조경요소로의 기능, 공간한정의 기능
전체적으로 붉은 색조로 화려하고 아름다움
독특한 십장생 문양
자경전 일각문의 좌측담
일각문을 중심으로 담의 구성을 다르게 하여 공간분위기를 달리함
사괴석, 붉은 전돌의 복합형, 기와지붕
공간분할의 기능, 동선유도의 기능, 프라이버시 보호기능
자연스런 색채, 사괴석의 황토색, 회색과 전돌의 붉은색
규칙적인 직선
경복궁 외곽담
상당히 높아 위압감을 형성하며 대지 고저차를 따라 담높이에 변화를 주어 율동적임
사괴석 담, 기와지붕
대지경계의 기능, 중심적 핵으로서 기능, 건물보호의 기능
지붕의 암회색과 사괴석 회색, 규칙적으로 거친질감
▷ 창덕궁 현황 및 특성
창덕궁은 태종 5년에 이궁으로 창건되었고 경복궁의 동쪽에 자리잡고 있다 하여 동궐이라 불리웠다. 배치 형식을 보면 지형에 따라 적절히 대응하는 기법을 사용하여, 정문인 돈화문이 동남쪽 모서리에 남향으로 자리잡고 있어 내당이 직접적으로 보이지 않고, 인정전 동쪽에 뒤로 물러나 선정전이 배치되어 남향의 축은 인정전과 평행으로 되어 있고, 북쪽은 후원의 경관이 펼쳐진다.
후원을 제외한 창덕궁의 면적은 약 3만 7천여평으로 전체면적의 1/5 정도로서 조영되는 시설과 공간을 필요한 만큼 배치하고 그에 따라 출입동선을 꺾는 실용성이 중시된 배치이다.
구분
특징
종류
주기능
색채,질감
문양
선정전 우측 담
지형에 따라 층의 변화와 구조적 안정감을 줌
장대석, 사괴석위에 붉은 전, 기와지붕
공간분할의 기능, 프라이버시 보장 기능
전체적 붉은색채, 사괴석 황토색의 전돌의 붉은색
규칙적 직선
대조전 후원 뒷담
담 사이의 전축문과 전돌로 쌓은 굴뚝과 조화, 지형에 따른 높이 조절변화, 높은 화단과 조화 정원을 구성
장대석과 사괴석위에 검정전돌 배열, 기와 지붕
장식적인 기능, 공간한정의 기능, 조경요소로서의 기능
전돌의 검정색조와 삼화토의 흰색으로 장식
수복강녕의 문자와 만자문
영화당 뒷담
외부의 자연과 경계를 구획해주며 외부공간을 자연스럽게 끌어들임
장대석위에 검정전돌, 기와지붕
공간분할의 기능, 조경요소로의 기능
검정전돌의 색조, 안정감
전돌의 크기가 위로 갈수록 가늘게 배열
영화당 뒷담
외부의 자연과 경계를 구획해주며 외부공간을 자연스럽게 끌어들임
장대석위에 검정전돌, 기와지붕
공간분할의 기능, 조경요소로의 기능
회색의 사괴석, 기와지붕의 암회색
전돌의 크기가 위로 갈수록 가늘게 배열
창덕궁 외곽담
높이를 높게 주어 위압감을 형성, 대지 고저차로 담의 높이 변화
사괴석담, 기와지붕
대지경계의 기능, 중심핵으로의 기능, 건물보호의 기능
▷ 덕수궁의 현황 및 특성
덕수궁은 원래 월산대군의 저택이었던 것을 임진왜란 직후 선조가 행궁으로 사용하였으며 광해군때 경운궁이라 불렀으나 고종때 궁궐로 사용되고 고종 이후 덕수궁이라 칭하게 되었다. 정전인 중화전과 중화문이 있고 석어당, 즉조당 등이 안에 있다. 또 조선시대 말에 최초로 양식 건물을 영조하여 전통궁궐에 양식 건물을 가미시킨 특징이 있다.
구분
특징
종류
주기능
색채,질감
문양
덕홍전 뒤 일각문 좌우담
문을 중심으로 담의 폭이 달라져 담의 구성을 달리해 변화를 줌
사괴석, 장대석, 전돌의 복합형, 기와지붕
공간분할의 기능, 프라이버시보호기능, 장식적인 기능
암회색 색채와 검은색, 거친 규칙적 질감
붉은전돌로 외곽 테두리 직선문, 중심엔 만(卍)자 형을 빗살 구조로 연속시킴
덕홍전 뒤편 좌측 유현문담
바닥 계단의 고저차로 담높이 변화주어 리듬감이 있음, 내외귀빈 접대공간으로 장식을 부여했음.
장대석, 사괴석, 검정전돌의 복합형으로 화문담, 기와지붕
공간분할의 기능, 장식적인 기능, 조경요소로의 기능, 프라이버시 보호기능
규칙적인 질감을 가지며 부드러운 검은 색채
외곽은 무시무종문을 구성하고 그 안에 빗살구조의 태극문 연속시킴
석어당에서 바라본 유현문 옆담
편전의 공간으로 일열로 문양구성, 엄숙한 분위기 자아냄
장대석과 사괴석위에 검정전돌을 쌓은 복합형 담, 기와지붕
공간분할의 기능, 프라이버시 보호기능
회색의 사괴석과 검정전돌로 안정감 줌
석회줄과 검정전돌의 직선문, 외곽은 붉은전돌로 테두리 구성
석어당에서 바라본 창신문 왼쪽담
유현문의 장식적인 담과의 대조적으로 소박하게 꾸며져 있고 외곽담과 접해 있음
장대석, 사괴석, 붉은전돌의 복합형, 기와지붕
공간분할의 기능, 프라이버시 보호기능
검붉은 색채가 주류, 규칙적인 질감
질서 정연하게 줄을 맞춘 직선문
덕수궁의 외곽담
대지 고저차에 따라 층의 변화가 있고 상당히 높고 길다.
사괴석담, 기와지붕
대지경계기능, 중심적 핵으로의 기능, 건물보호의 기능
사괴석의 회색의 주류, 거친질감
3. 도성계획이 궁궐정원에 미친 영향
한양의 입지에 대한 논쟁은 조선초기에는 수도로서의 면모를 살피는 것이었고 세종 때에는 도성의 주산에 관한 것이었으며 마지막으로 선조와 광해군 때에는 한양의 재건설을 위한 입지 재평가와 더불어 도성의 중심축에 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입지에 대한 논의로 인해 주요 궁궐, 종묘, 사직의 배치와 도성의 주변 환경에 대한 관리, 그리고 가산축조, 연못조성, 개천의 준설 등 도성체제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임진왜란 후 선조와 광해군 시대에 나타났던 한양의 건설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상황들로 인해 조선의 정궁인 경복궁이 중건되지 못하고 인경궁과 경덕궁이 창건되었다.
한양 도성을 계획하는데 있어 주변의 아름다운 자연 환경을 배경으로 한 궁궐을 중심으로 계획하였다.
4. 참고 문헌
한국의 궁궐 - 1991 이강근 대원사
조선의 궁궐 - 1998 신영훈, 김대벽 조선일보사
서울의 궁궐건축 - 2002 김동현 시공사
궁궐, 유교건축 - 2004 이상해 솔
新궁궐기행 - 2004 이덕수 대원사
한국전통조경 - 2005 정재훈 도서출판조경
초기 한양도성계획의 도형적 해석에 관한연구 - 1995 정기호 한국조경학회지
전통 궁궐 담장의 현대적 적용에 관한 연구 - 1999 박혜정 한양대학교
‘조선왕조실록’에 의한 한양의 입지와 도성관리 - 2003 김현욱 성공회대학교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6.10.19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77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