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가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가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속요(俗謠)
1. 속요의 장르명칭
2. 작가와 향유층
3. 속요의 작품 주제
(1) 사랑의 맹세
(2) 이별의 슬픔
(3) 삶의 외로움(님의 부재: 부정적 인식)
(4) 님 그리움(님의 不在: 긍정적 인식)
(5) 시대의 곤궁함
(6) 무가적 노래
(7) 민요적 노래
(8) 이 외의 노래

4. 속요의 형식
①논리정연한 단행가
②수연중첩의 장형가
③10구체 향가형
④광의의 시조형
⑤희곡의 형식
5. 속요의 특성과 정서
(1) 특성
(2)속요의 정서

Ⅱ. 경기체가(景幾體歌)
1. 경기체가의 명칭
2. 경기체가의 형식
3.경기체가의 내용
(1) 사대부 세계의 긍정
(2) 자연친화
(3) 체제에 대한 찬양
(4) 불교의 진리
4. 경기체가의 성격
5. 경기체가의 향유
(1) 궁중 악장으로서의 향유
(2)사대부 시가로서의 향유<宴享(연향)에서의 즐김>
(3)불교계의 향유
< 형태상 공통 특질 >

본문내용

사는 이러하다. …… 임금이 악부에 명하니 연향 에 쓰게 했다. ”<세종실록 中>
이처럼 <화산별곡>이 궁중의 연향에 쓰였다. 전체 8장으로 구성된 <화산별곡>은 먼저 도읍에 관한 찬양을 서두에 내세우고, 차례로 왕의 성명과 문물제도의위대함을 찬양하고 있다.
“예조에서 계를 올려 새로 지은 <가성덕>과 <축성수> 악장 두 편을 연향에 쓸 것을 청하였다. 그대로 따랐다.”<세종실록 中>
<가성덕>과 <축성수>의 내용은 중국에 대한 찬양으로 일관되어있음으로 보아 중국에서 온 사신을 접대하는 연향에서 불리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2)사대부 시가로서의 향유<宴享(연향)에서의 즐김>
<한림별곡>이 고려 시대 사람들의 잔치에서 주로 불렀던 맥을 이어 조선시대에도 한림원의 후속 격인 승정원, 홍문관, 예문관 등 내관(內館)의 잔치에서 주로 불렸음을 보여주고 있다. 실제로 <한림별곡>의 제 4장과 제 6장은 술, 음악과 춤, 노래가 어우러진 거나한 술자리의 흥취를 보여주고 있다.
(3)불교계의 향유
경기체가를 지은 승려들은 유학에 조예가 깊거나 유학자들과의 교유가 있었다. 효령대군은 왕실의 불교사업의 중심에 있었고, 김수온은 불경의 언해에 참여했던 유학자였다. 사대부들이 주로 악장으로서 향유하던 경기체가를 불교계에서 수용한 것은 유불교류의 분위기를 진작시키려는 노력의 한 가지로 이해된다.
불교계의 경기체가는 엄숙한 불교적 내용을 담고 있으므로 불교의식에서 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유흥적인 분위기가 반영된 사대부 연향의 경우와는 다른 형식적 변모가 눈에 띈다.
★ 형태상 공통 특질
경기체가와 속요가 그 형태상 특질이 일치한다 하여 이를 통틀어 ‘고려별곡(高麗別曲)’이라는 명칭으로 부르기를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형태상으로 본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수율(音數律)은 주로 3음절이 우세하다. 둘째, 음보율(音步律)은 일반적으로 3음보이다. 셋째, 구수율(句數律)은 6구를 기준으로 하여 다소의 가감을 보인다. 넷째, 대체로 전후 양절(兩節)로 구분된다. 다섯째, 일률적으로 수련(數聯)이 중첩되어 하나의 가요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별곡은 신라의 향가가 발원적(發願的)인 기능을 잃고, 나례(儺禮) ·잡희(雜戱) ·백희(百戱) 등 무대 위에서 불리는 무악곡(舞樂曲)이 요청됨에 따라서 생겨난 형식으로 추정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문학의 이해 - 황형식 외
국문학개론- 김광순 외
한국문학통사- 조동일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10.30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93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