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옥, 「서울, 1964년 겨울」작품분석과 학습지도안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김승옥, 「서울, 1964년 겨울」작품분석과 학습지도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작품론
󰊱 작가의 생애와 작품 경향
󰊲 작품 해설
1. 줄거리
2. 인물 분석
3. 공간의 의미 파악
4. 개인주의
5. 문체

Ⅱ. 지도론
󰊱 단원의 설정
󰊲 학습 대상의 선정
󰊳 교수 ․ 학습의 방향
󰊵 지도상의 유의점
󰊶 평가 계획

본문내용

. 그런 후 두 배경을 서로 비교해 보자.
서울, 1964년 겨울의 배경 :
서울, 2006년 겨울의 배경 :
학 습 지-6 (문체)
김승옥 - 서울, 1964년 겨울
일시:
2학년 반 이름:
1964년 겨울을 서울에서 지냈던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겠지만, 밤이 되면 거리에 나타나는 선술집 ―― 오뎅과 군 참새와 세 가지 종류의 술 등을 팔고 있고, 얼어붙은 거리를 휩쓸며 부는 차가운 바람이 펄럭거리게 하는 포장을 들치고 안으로 들어서게 되어 있고, 그 안에 들어서면 카바이드 불의 길쭉한 불꽃이 바람에 흔들리고 있고, 염색한 군용(軍用) 잠바를 입고 있는 중년 사내가 술을 따르고 안주를 구워 주고 있는 그러한 선술집에서, 그 날 밤, 우리 세 사람은 우연히 만났다. 우리 세 사람이란 나와, 도수 높은 안경을 쓴 안(安)이라는 대학원 학생과, 정체는 알 수 없지만 요컨대 가난뱅이라는 것만은 분명하여 그의 정체를 꼭 알고 싶다는 생각은 조금도 나지 않는 서른대여섯 살짜리 사내를 말한다. (후략)
1. 제시된 부분은 소설의 첫 문장이다. 이 문장은 여러 개의 구절이 겹쳐진 겹문장인데, 이렇게 긴 문장을 작품의 서두에 위치시킴으로써 어떤 효과를 거두게 되는지 발표해 보자.
이끌어 주기 : 문장이 지나치게 길어지는 것을 당시 시대상과 관련시켜 이해해 보도록 한다.
예시 답안 :
2. 이 작품에는 전시대 작가들의 문체와 구별되는 작가 특유의 문체가 사용되고 있다. 다음과 같은 특징을 드러내는 표현을 이 글에서 구체적으로 지적해 보자.
참신하고 인상적인 어휘의 사용
상징적 비유적 언어의 사용
호흡이 긴 문장과 짧고 경쾌한 문장의 교차
학 습 지-7 (내면화)
김승옥 - 서울, 1964년 겨울
일시:
2학년 반 이름:
“김 형, 우리는 분명히 스물다섯 살짜리죠?”
“난 분명히 그렇습니다.”
“나도 그건 분명합니다.”
그는 고개를 한 번 갸웃했다.
“두려워집니다.”
“뭐가요?”
내가 물었다.
“그 뭔가가, 그러니까…….”
그가 한숨 같은 음성으로 말했다.
“우리가 너무 늙어 버린 것 같지 않습니까?”
“우린 이제 겨우 스물다섯 살입니다.”
나는 말했다.
“하여튼.”
하고, 그가 내게 손을 내밀며 말했다.
“자, 여기서 헤어집시다. 재미 많이 보세요.”
하고 나도 그의 손을 잡으며 말했다.
우리는 헤어졌다. 나는 마침 버스가 막 도착한 길 건너편의 버스 정류장으로 달려갔다. 버스에 올라서 창으로 내어다보니 안은 앙상한 나뭇가지 사이로 내리는 눈을 맞으며 무언가 곰곰이 생각하고 서 있었다.
1. 마지막 장면에서 ‘안’은 앙상한 나뭇가지 사이로 내리는 눈을 맞으며 무언가 곰곰이 생각하고 서 있는데, 내가 작가라고 가정하고 전지적 작가 시점으로 이 때 ‘안’의 생각을 상상하여 서술해 보자.
예시 답안 :
학 습 지-8 (내면화)
김승옥 - 서울, 1964년 겨울
일시:
2학년 반 이름:
2. 다음 노래 가사를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세상은 어둠으로 가득찼는데 아무도 아이 찾지 않았네
해 저문 고요한 하늘로 아이는 풀피리를 불었네
필리리 피리소리 번져가거라 날 찾는 이에게로
어딘지 내가 모르는 넓은 곳까지 혼자서 날아가거라
날아가거라
아스라히 성벽이 너무 높아서 아이는 올라갈 수 없었지
아이는 턱괴고 앉아서 보고픈 얼굴을 그리네
이선희, ‘성 안의 아이’
-----------------------------------------------------
하지만 이곳은 너무나 어두워 길조차 보이질 않아
혼자가 아닌 한 사람 그렇게 나는 존재하며
그 냉정한 잔인한 내 모습에 나 조차도 지쳐 버린 거야
사람을 찾아, 사람을 만나, 사랑한 내가 미워
내가 원하던 너의 모습도 지나친 기대였을까
혼자를 바래, 혼자로 남아 홀로 된 내가 있어
이런 내 모습 보인다 해도 모른 척 날 스쳐가
우리가 아닌 너와 나 그렇게 나는 외면하며
잔인하게 냉정하게 살아가 나 조차도 날 버린 거야
M.C The Max, '사랑을 찾아서‘
(1) 두 노래에서 공통적으로 느껴지는 감정을 찾아 친구들과 이야기해 보자.
(2) 여러 사람들 속에서 혼자 고립된 느낌을 가져 본 적이 있는지 생각해보고, 친구들과 경험담을 이야기해 보자.
읽기 자료
김승옥 - 서울, 1964년 겨울
일시:
2학년 반 이름:
* 통과제의(Initiation)란?
출생, 성년, 결혼, 사망 따위와 같이 사람의 일생 동안 새로운 상태로 넘어갈 때 겪어야 할 의식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 통과의례라고도 한다.
* 통과제의의 전형적인 예
(1) 아프리카의 성년식
성년식을 행하는 데 있어 아프리카 문화권만큼 뚜렷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곳은 없을 것이다. 아프리카에서는 육체적 고통을 요구하거나 시험을 통해 성인이 되었는지를 결정한다.
하마르 족의 경우 성년식은 '소 등 뛰어넘기' 인데, 발가벗은 몸으로 소 등을 네 번 뛰어오르기의 과정을 무사히 통과해야 온전한 한 사람의 성인으로 인정을 받고 만일 소 등에서 떨어지면 평생 놀림감이 되거나 여자들로부터 채찍질을 받는다.
(2) 아마존강 유역 티구나 족의 성년식
티구나 족 소녀들은 초경이 시작되면 남자들의 출입이 금지된 별도의 헛간에서 1년간 생활해야 하며 1년이 지나면 머리카락이 모두 뜯기는 고통을 감내해야 성인으로 인정받는다.
* 작품의 등장인물에게서 나타나는 반응
‘안’ - 유복하게 자랐고 실패라는 것을 경험해 본 적이 없어 세상을 관념적으로만 바라보던 그는 ‘사내’의 죽음으로 큰 충격을 받게 되고, 이것이 ‘안’에게는 어떤 통과제의로서 기능하는지는 알 수 없으나 ‘안’이 무엇인가 생각하게 하는 계기가 된다.
‘나’ - ‘사내’의 죽음을 큰 충격으로 받아들이는 ‘안’에 비해 ‘나’는 개미가 달라붙는 것이 귀찮아 피하는 것처럼 대수롭지 않게 받아들인다. 그는 ‘안’과 달리 인생의 실패를 경험하고 현실의 풍파를 겪었다는 점에서 통과제의를 거친 인간상으로 볼 수 있지만 그만큼 성숙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사내’ - 아내의 죽음이라는 거대한 시련 혹은 통과제의적 상황 앞에 결국 자살함으로써 ‘통과제의’를 거치며 더욱 성숙한, 세계와의 화해를 이뤄낼 수 있는 인간으로 거듭나기를 포기한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6.11.13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15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