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시기의 역사인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민지시기의 역사인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근대역사학의 성립

2. 식민지사학의 성립과 영향

3. 민족주의사학의 발달과 그 의미

4. 사회경제사학의 성장

5. 실증사학의 이해

본문내용

방법을 따랐을 뿐이다. 일본 학자들의 연구방법론을 그대로 수용하는 것 자체가 비판받을 수 있는 성질의 것은 아니다. 다만 실증사학자들이 일본 학자들의 연구방법론을 수용하는 것에 그쳤을 뿐, 그들이 밝혀낸 역사적 사실을 해석하여 의미를 부여하고, 더 나아가 나름대로의 기준을 가지고 한국사 전체의 체계화에 적극적이지 못하였던 것이 한계로 지적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들이 철저한 논증을 통해서 얻어낸 사료들을 동원하여 밝히고자 하였던 개별적이고도 구체적인 사실들은 정치 분야가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정치 이외의 분야라고 하더라도 대체로 정치와의 관련 속에서 연구가 진행되는 경우가 많았다. 거기에다가 대체로 지배층의 정치적 동향에 관심을 기울였다. 이상백의 『이조건국의 연구』(1949)에서 이러한 예들을 단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실증사학자들은 이처럼 지나치게 구체적이고도 개별적인 역사적 사실들, 특히 정치적 현상에 주의를 기울였던 나머지 한 시대나 사회의 전체적인 모습을 그려내는 데까지 이르지는 못하였다. 결국 그들은 자신들이 밝혀낸 사실들을 체계화시키려는 노력을 보이지 않은 채 실증이라는 역사 연구 방법에 충실하고자 하는데 그치고 말았던 것이다. 이러한 점은 그들의 사실 해명을 위한 실증적인 연구의 한 특징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한계이기도 하다. 이렇게 되면 한국사 전체는 말할 것도 없거니와 한국사에서의 특정한 시대나 사회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기도 어려울 것이다. 이러한 실증 방법보다는 한 사료가 담고 있는 다양한 사실들을 밝혀내서, 그것을 같은 시기와 사회의 다른 사료들과 연관시켜 검증함으로써 그 시대와 사회의 전체적인 모습을 조망할 수 있어야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나서 그 사료가 담고 있는 사실을 앞뒤 시기의 사실들과 연결시켜 역사의 흐름을 파악하여야 할 것이다. 말하자면 하나의 사료에 대한 분석 과정에서는 가능한 한 현상을 복잡하고도 다양하게 여러 측면과의 관계를 찾아내어 그것들 사시의 연관성을 파악한 다음, 되도록 단순하고 명료해 보이는 전체로서의 상(像)을 제시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1. 신형식 著, 『韓國史學史』 삼영사, 1999.
2. 한국사연구회, 『한국사학사의 연구』 을유문화사, 1985
3. 한국사 시민강좌 제20집 1997.
이장우, 「실증사학의 반성과 전망」
신기욱, 「식민지조선 연구의 동향」
4. 한국사 시민강좌 제25집 1999.
이만열, 「민족주의」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11.14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18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