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경제 개혁과 전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북한경제 연구의 시대적 특징

2. 경제개혁에 관한 이론적 논의
1) 경제개혁의 정의: 포괄적 접근의 필요
2) 경제개혁의 목표와 수단: 분석 틀의 제시

3. 최근 북한 경제개혁의 검증
1) 분조관리제의 강화
2) 제2경제의 확산

4. 경제개혁의 전망: 규범적 접근의 한계 국민총소득(GNI) 경제성장율 산업구조 참고문헌

본문내용

히 중화학공업의 비중이 높아 농업부분으로부터의 개혁이 전산업으로 확산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것은 이미 북한의 농업이 비교우위를 상실하였다는 이유뿐만 아니라 농업부문의 잉여노동력이 상대적으로 작아 개혁과정에서 비국영 경공업부문으로 흡수될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것에도 연유한다.
따라서 북한의 개혁방식을 기존의 유형화 모델로 전망하는데는 무리가 따른다. 북한이 아직도 주체이데올로기에 따른 자립을 강조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앞으로도 북한이 급진 또는 점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따를 것이라고 예측할 수 없다. 북한이 현재의 난국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련의 조화로운 경제정책과 개혁조치를 고안하고 시행하여야 하는데, 이것 중 일부가 최고의 이념인 주체와 갈등관계를 가진다는 것이 딜레마다.
북한경제의 미래 전망에 관해 전적으로 낙관적이거나 비관적이기에는 아직도 시기상조일 수 있다. 북한이 현재의 위기를 어떻게든 극복한다면 북한은 사회주의 방식으로 살아남은 유일한 사례가 될 것이다. 만일 북한이 이것에 실패한다면, 북한은 ‘주체’를 포기하든지 아니면 전면적인 붕괴에 직면하든지 둘 중의 하나일 것이다.
국민총소득(GNI) (단위: US억달러, US달러)
연도
북한
남한
명목GNI
1인당GNI
명목GNI
1인당GNI
1993
205
969
3,452
7,811
1994
212
992
4,017
8,998
1995
223
1,034
4,881
10,823
1996
214
989
5,183
11,380
1997
177
811
4,740
10,307
1998
126
573
3,130
6,742
1999
158
714
4,021
8,581
경제성장율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3.7
-3.5
-6.0
-4.2
-2.1
-4.1
-3.6
-6.3
-1.1
6.2
산업구조 단위 %
북한
한국
‘97
‘98
‘99
‘98
‘99
농림어업
28.9
29.6
31.4
4.9
5.0
광공업
25.5
25.6
25.6
31.2
32.2
- 광업
6.7
6.6
7.3
0.4
0.4
- 제조업
18.8
19.0
18.3
30.9
31.8
(경공업)
(6.5)
(6.4)
(6.1)
(7.1)
(6.9)
(중화학공업)
(12.3)
(12.6)
(12.2)
(23.9)
(24.9)
전기가스수도
4.3
4.2
4.5
2.4
2.6
건설
6.3
5.1
6.1
10.1
8.8
서비스
35.0
35.6
32.4
51.2
51.4
(정부)
(25.1)
(25.3)
(22.8)
(10.5)
(9.8)
(기타)
(9.9)
(10.3)
(9.6)
(40.7)
(41.6)
국내총생산
100.0
100.0
100.0
100.0
100.0
참고문헌
강정인, “북한연구 방법론: 재론”, 『현대북한연구』1998 창간호.
고현욱, “북한의 경제개혁: 재평가와 전망”, 『동북아연구』1997 특집호.
김영호, “북한경제의 개방과 개혁의 전망”, 『경제학연구』, 제43집 제1호(1995).
서동만, “북한연구에 대한 반성과 과제: 1990년대 연구성과와 문제점”, 『현대북한연구』1998 창간호.
오삼교, “북한의 개혁ㆍ개방: 전망과 유도방안”, 『통일경제』제32호 (1997.8).
오승렬, 『북한 경제개혁의 최적방안 연구』(서울: 민족통일연구원, 1996).
오일환ㆍ정순원, 『김정일시대의 북한 정치 경제』(서울: 을유문화사, 1999).
이상만, “북한경제 연구”, 북한연구학회 편『분단 반세기 북한 연구사』(서울: 한울, 1999).
이상만, 『통일경제론: 북한경제와 남북한경제통합』(서울: 형설출판사, 1994)
이영선, “북한 경제난의 구조적 분석과 개혁가능성”, 『사상』1997 가을호.
이종원 외, 『통일경제론』(서울: 해남, 1997).
전홍택, 『북한의 체제전환과 남북한 경제통합의 주요과제』정책연구시리즈 96-01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1996).
최수영, 『북한의 제2경제』(서울: 민족통일연구원, 1998).
황의각, 『북한경제론: 남북한 경제의 현황과 비교』 (서울: 나남, 1992).
Chavance, Bernard, The Transformation of Communist Systems: Economic Reform Since the 1950s (Boulder: Westview Press, 1994).
Chung, Joseph Sang-hoon, The North Korea Economy: Structure and Development (Stanford: Hoover Institution Press, 1974).
Gregory. Paul R. and Stuart, Robert C., Comparative Economic Systems, 4th ed. (Boston: Houghton Mifflin, 1992).
IM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Fact-Finding Report, 1997.
Kornai, Janos, The Socialist System: The Political Economy of Communism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2).
Noland, Marcus, Economic and Political Situation in North Korea and Security in Northeast Asia (Seoul: Institute for Global Economics, 1999).
Roemer, John E., A Future for Socialism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4) (고현욱ㆍ강문구 역, 『새로운 사회주의의 미래』(서울: 한울, 1996).
Stiglitz, Joseph E., Wither Socialism? (Cambridge: MIT Press, 1994).
Woo, Wing Thye, Stephen Parker and Jeffrey Sachs, eds., Economies in Transition: Comparing Asia and Europe (Cambridge: MIT Press, 1997).

키워드

북한,   경제,   개혁,   전망

추천자료

  • 가격1,2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6.11.16
  • 저작시기200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22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