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개론] 도가 묵가 유가 법가 불교의 사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양철학개론] 도가 묵가 유가 법가 불교의 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도가의 爲我주의

2. 묵가의 겸애주의

3. 유가의 중용론

4. 법가의 예

5. 불교의 자비

6. 동양철학에서 나타나는 세계관

본문내용

목숨과 같이 소중히 하듯 살아있는 모든 것을 무한히 사랑하는 마음가짐이다. 자비는 무한히 사랑하는 마음으로 사랑의 실천을 모든 존재에게 두루 펴 나가기 위한 노력이다. 모든 존재에게 사랑의 관심을 진지하게 갖는다는 것은 바로 좁은 자기에게서 해방되어 자기 자신을 바르게 인식하는 과정이며 최고의 깨달음에 도달하기 위한 지름길이다. 자비는 자신과 남을 구별하지 않는다. 자아를 무한히 확장하여 지신을 점점 더 많은 살아 있는 존재와 동일시해 나간다. 사랑의 실천인 자비와 깨달음의 지혜는 동등한 것이다.
6. 동양철학에서 나타나는 세계관
동양철학에서 나타나는 세계관은 서양의 그것 못지 않게 다양하다. 그 속에 흐르는 일관성은 천인합일로 표현되는, 인간과 자연을 동일시하는 사유 형태의 전개이다. 멀리는 신화적 세계관에서 시작하여 고대의 제자백가사상, 중세적 질서의 정당성을 대변했던 주자학은 물론이고, 가까이로는 근세의 양명학에 이르기까지 동양사상의 기저에는 자연과 인간은 본직적으로 동일하다는 의식이 면면히 흐르고 있다. 이른 바 동양의 사상가라면 거의 모든 철학자들이 공통적으로 이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자연과 인간을 아우를 수 있는 통일적인 체계를 수립하기 위해 노력했다는 점에서 인간과 자연을 동일시하는 태도야말로 동양적 세계관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서양과는 달리 동양에서 이와 같은 사유가 일반화될 수 있었던 원인은 동양인들이 마주했던 자연과 서양인들의 그것이 구체적으로 뚜렷한 차이점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라는 입장을 무시할 수 없다. 서양인들이 마주한 자연은 인간이 쉽게 대처하고 이용할 수 있을 만큼 온순했던 반면, 동양의 자연은 인간의 저항을 허용하지 않을 정도로 변화가 심했기 때문에 자연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저항하거나 자연을 이용하려는 의지 보다는 오히려 거부할 수 없는 섭리로 인식하고 자연의 법칙에 순응하는 것이 지혜로운 태도로 받아들여졌다. 따라서 인간 중심적 사고보다 자연 중심적 사고가 일반화된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
유가의 경전인 맹자나 중용에서는 성실한 것은 자연의 본질이고 인간은 성실하기 위해 노력하는 존재라고 규정했다. 또 주역에서도 자연의 운행은 건실하다. 군자는 이것을 보고 자신의 도덕성을 끊임없이 연마한다고 했다. 자연의 운행은 어김이 없다는 점에서 성실하며 인간은 그런 자연의 성실성을 본받아 자신의 도덕성을 밝혀 내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맹자에서는 인간의 내면 속에는 완전 무결한 본성이 있고 그 본성은 자연이 부여한 것이라는 논의 펼치고 있다. 자연의 본질이 인간에게도 갖추어져 있다고 본 것이다. 따라서 유가의 철학자들은 자연을 인간 도덕의 근거로 보며 인간은 자연과 대등한 존재가 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물론 그 근거는 인간과 자연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동일성을 선험적으로 규정한 명제에서 비롯된다.
도가의 경우는 모든 인간적 가치를 배제하기 때문에 인간적인 것을 기중으로 자연의 비인격성을 재단하지 않는다. 자연의 비인격성을 그 자체로서 완전한 것으로 간주하는 입장인 셈이다.

키워드

동양,   철학,   도가,   묵가,   유교,   유가,   법가,   불교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11.20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31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