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동기시대의 문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동기시대의 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청동기 문화의 기원

2.청동기 시대문화의 특징

3.석기

4.청동기

본문내용

차 이점은 칼몸이 직선화되고 예리해진 점이다. 결입부가 형성되고 요령식동검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는 마디가 뚜렷해지는 것도 특징이다.
손잡이는 나무로 만든 것이 많은 탓인지 거의 발견되지 않았지 만 칼자루끝장식은 배부분 석제이며 특히 철광석제가 많다. 칼 자루끝장식의 형태는 누에고치형 십자형 돌기가 달린 십자 형 등이 있으나, 이 가운데 돌기가 달린 십자형은 요령식동검 문화에서는 보이지 않는 우리나라 특유의 형식이다. 이것은 요령식동검문화의 누에고치형 칼자루끝장식을 조형으로 해서 나타난 것으로 여겨진다.
②거친무늬거울
한국식동검문화 성립기에 제작된 거친무늬거울은 뒷면에 새겨 진 무늬가 굵고 거칠다. 번개무늬와 별 모양의 무늬가 많다.
③나팔형동기
충남 예산 동서리 돌널무덤 유적에서 출토된 것이 유일하다. 요령 지 방에서는 마구이거나 손칼 등을 넣는 주머니의 장식으로 사용되었다 고 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의기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발전기
: 요령식동검문화의 영행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북방 문화 요소가 유입 되는 시기.
방울류 세트로 된 새로운 청동 의기가 등장하고 거친무늬거울 대신 선이 곱고 가는 고 운무늬거울이 나타났다.
①원형유문동기
전북 익산 지역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하는 청동 의기의 하나이다. 바깥쪽은 방사상, 안쪽은 십자형으로 구성하여 태양을 상징한 것 으로 생각된다. 이런 청동 의기류는 사슴 손 매 십자일광문 수렵문 등의 문양 내용으로 보아 농경 수렵 및 샤모니즘과 관련 된 제의에 사용된 무구였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를 소유하 고 사용한 자는 종교 주재자인 동시에 지배 계급의 권력자로 제정 을 함께 관장하는 신분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②동검
요령식동검의 요소를 탈피해 칼몸의 폭이 보다 좁고 가늘어지게 된다. 등대에 세운 날 은 칼몸의 맨 아래쪽까지 나 있다.
③투겁창
찌르는 무기로 이 시기에 새로 나타난 것으로 대부분이 길이 20 센티미터 전후로 짧다. 투겁의 한쪽 옆면에 창자루와 단단히 결합 하기 위해 못구멍을 뚫은 것이 일반적이며, 맨 아래쪽 옆면에 돌 대를 돌린 것도 있다. 중국 투겁창을 조형으로 하여 만들어졌다고 여겨지나 세부에서는 차이를 보인다. 또한 이번 시기에는 요령식 투겁창이 사용된바 있어 조형문제는 더 검토해야 할 여지가 있다.
④꺽창
이 시기에 출현한 대표적인 유물이다. 긴 자루를 창몸과 거의 직 각으로 묶어 찍거나 베는 데 사용하는 무기이다. 중국의 진 나라 꺽창 등을 조형으로 만들어졌다고 볼 수 있으나, 투겁창과 마찬 가지로 세부 형태에 있어서는 많은 차이를 보인다. 한국식꺽창으 로 부를 만큼 형태가 독특해 한국식동검문화 발전의 한 모습을 보여준다.
⑤고운무늬거울
거울 뒷면의 무늬가 아주 세밀하고 고우며, 기하학적 구성이 뛰 어나다. 무늬는 보통 동심원에 의해 세 부분으로 구분되어 있는 것이 많다. 거친무늬거울에 비해 거울의 크기가 크며 꼭지가 정 형화되었다. 햇빛을 반사하는 기능을 가진 것이라 대부분 뒷면의 무늬가 태양무늬이다.
⑥방울류 세트
청동 의기 가운데 방울류는 우리나라에서만 보이는 특유의 것 으로 간두령 쌍두령 조합식깡두령 팔주령의 4종이 세트로 되어 있다.
⑦조각칼
끝의 뾰족한 날 끝을 이용해 세밀한 것을 다듬거나 무늬를 새기는 데 사용하는 공구이다.
이 시기의 조각칼은 횡단면이 삼각형을 이루거나 볼록렌즈형을 이룬 것 이 많다.
발전기 말경부터는 중국의 전국시대, 특히 연나라 철기 문화의 영행을 받아 쇠도끼 쇠 끌이 주조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철기시대로 들어서게 된다.
한국식동검문화 유적에서도 전국시대 주조 도끼와 동일한 형식의 쇠도끼가 출토되었는 데, 이 유적들이 이 시기의 철기 문화를 엿보게 한다.
쇠퇴기
실제적으로 청동기시대에 속하지 않고 철기시대 초기에 속한다. 철기문화의 유입으로 철기시대에 들어섰으나 앞 시대의 한국식동검문화의 요소는 그대로 지속된다.
실용적인 철기의 유입이 기존 청동기에 대한 인식을 바꾸면서 청동기는 보다 형식적이고 퇴화된 형태로 이행되었으며, 이후 고운무늬 거울 같은 중요 의기도 중국 거울로 대체되 는 등 변화가 가속된다. 철기가 본격적으로 제작되면서부터 청동기는 명맥만 유지하게 되 어 기원전후한 시기에 이르러서는 한국식동검문화가 막을 내리게 된다.
한국식동검문화가 일본으로 건너간 것은 일본 야요이시대 유적에서 발견되는 한국식동검 투겁창 꺽창 거울 종방울 무문토기 흑색토기목긴항아리 등의 유물로 보아 잘 알 수 있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고대 일본에 있어서 왕권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세 가지 의 신기’가 있는데 이것이 바로 칼 거울 곱은옥이다.
한국식동검문화에서 보이는 중요 일괄 유물이 일본 건국 신화에 그대로 나타난다는 것은 단순히 청동기 문화의 전파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지배 계급의 일본열도 진출을 의 미하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중국에서 철기 문화가 유입되면서 쇠퇴하기 시작한 기존의 한국식동검문화는 일본으로 건너가 새로운 청동기 문화의 꽃을 피웠다.
※참고문헌
<청동기 문화> 대원사.2000
-<조선의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시대> 사회과학출판사. 1995
-농업 박물관, 이주영의 고고학 개관, 네이버 등
▶보고서를 마치면서◀
중 고등학교 때부터 역사라면 아주 질색을 했던 나였다. 그래서 더더욱 이 과목을 수강하면서도 많은 망설임이 있었다.
그래도 청동기 시대는 국사책 앞부분에 나와서 몇 번씩이나 보았던 부분이지만 막상 과제를 하려고 하니 기억나는 것은 비파형동검과 세형동검 뿐 이었다.
청동기 시대에 석기가 쓰였던 것도 모르고 있던 나에게 과제를 시작하려는 처음에는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했었는데 도서관에서 책도 보고, 인터넷 검색과 역사교육을 전공하는 친구에게 이런 저런 이야기를 들으면서 그래도 어느 정도는 청동기시대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는 되었다.
과제를 하면서 지금 일본 교과서의 역사 외곡문제가 심각한데 청동기 문화 뿐 아니라 우리나라 역사에 대해서 보다 체계적인 이론과 문제의식을 가지고 우리 역사를 파헤치고 또 그 안에 담겨져 있는 의미를 추론해 나가는 작업이 앞으로의 과제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11.26
  • 저작시기200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70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