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석기에서 청동기로의 과도기와 청동기 시대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석기에서 청동기로의 과도기와 청동기 시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청동기 시대 [靑銅器時代, Bronze Age]

Ⅱ. 청동기시대의 변화된 생활모습
⑴ 새로운 정치적 ․ 사회적 변화
① 청동기 시대의 사회와 문화
② 청동기 시대의 마을
③ 청동기 시대의 무덤
⑵ 새로운 경제적 변화
① 정착생활과 잉여의 발생
② 농경과 종교 : 농경도구의 발전과 벼농사

Ⅲ. 청동기시대의 유물과 유적
◎ 고덕동(高德洞)
◎ 문정동(文井洞)
◎ 암사동(岩寺洞)
◎ 풍납동(風納洞)
◎ 논현동(論峴洞)
◎ 강북지구(江北地區)
⑴ 비파형동검과 청동기문화의 발전
⑵ 세형동검과 청동기문화의 확산
⑶ 토기 문화의 전개
① 민무늬 토기의 형성
② 민무늬 토기의 지역적 발전
③ 민무늬 토기의 후기 형식과 새로운 토기의 등장
⑷ 무덤의 구조와 사회적 성격
① 고인돌
② 돌널무덤과 돌무지무덤
③ 돌곽 무덤과 토광 무덤
⑸ 잔무늬거울[細文鏡(세문경)]

Ⅳ. 초기 정치 공동체
⑴ 씨족 사회
⑵ 부족 사회(군장 사회)

본문내용

가장 섬세한 완성형이다. 특히 석제거푸집이 전남 영암에서 발견되어 한국에서 자체 제작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보다 정밀한 무늬는 석제거푸집이 아닌 밀랍으로 원형을 만들고 진흙으로 틀을 만든 이범(泥范)이었으리라고 추측하지만 유물로 발견된 것은 없다. 잔무늬거울의 일부는 연해주에까지 미쳤고, 일본의 규슈[九州] ·나라[奈良]지방에서도 야요이시대 유적에서 수입품이 5점 출토되었다.
잔무늬거울이 출토되는 유적은 대부분 확인되지 않았으나 돌널무덤 또는 움무덤계통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개 한국식 동검 후기 형식과 동과(銅戈) ·동모(銅) ·방울류 등과 반출되는 경우가 많아서 청동기시대 늦은 시기에 유행하여 서력기원에 이르기까지 사용된 듯하다.
Ⅳ. 초기 정치 공동체
⑴ 씨족 사회
씨족이라는 건, 혈족을 의미한다. 즉, 같은 피가 섞인 가족 단위의 생활 공동체를 의미한다. 처음에는 가족 단위의 무리를 이루어 생활을 하게 된다. 즉, 질서나 법 따위가 존재하지 않는 미개한 단계의 사회라 할 수 있다. 씨족사회에서는 자연을 개척하지 않고 나무의 열매 따위를 따먹는 정도로 식생활을 해결하게 되고 자연히 이것들이 바닥나면 다른 장소로 이동한다. 이런 생활에서는 대규모 인원보다는 가족단위의 작은 무리군집이 이동에 더 용이하다.
씨족제도가 전체사회의 지배적 구성원리로 되어 있는 사회를 씨족사회라 할 수 있다. 씨족사회에서는 그 사회의 성원은 모두 어느 씨족에 소속된다. 어느 씨족에 속하는가에 따라 각자의 상호적 태도나 행동이 달라진다. 이러한 사회에서 서로 모르는 사람이 만나게 되면 먼저 씨족의 소속을 묻는다. 그것이 분명하지 않으면 어떤 태도로 대해야 하는가를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씨족사회에는 반드시 복수의 씨족이 존재한다. 미개민족의 전체사회는 통상 부족으로 되는데, 부족에는 많은 씨족이 있으며 그 씨족은 각기 몇 개의 계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씨족이 클 때는 그것과 계족 사이에 아씨족(亞氏族)이 개재하는 일이 있으며, 또 씨족이 없고 복수의 계족으로만 구성되는 사회도 있다.
무리 사회는 구성원의 규모, 방랑 생활의 정도, 식료의 종류와 수급 상황에 따른 구성원의 계절적 변화 등에 있어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대체로 30명에서 100명 사이의 작은 지역적 집단으로서 사냥과 채집의 경제에 의존하여 생활하였다. 그리고 동일 지역 내에서의 족외혼과 동일한 지역에서의 거주를 특징으로 하였다. 따라서 생활환경이 허락한다면 주어진 영역 안에서 함께 거주할 것이 요구되는 상호 관련이 있는 핵가족의 연합체로 이루어진 혈연집단의 경향을 가지고 있었다. 약 1만 년 이전까지에 해당되는 구석기, 중석기 시대가 이에 해당된다.
⑵ 부족 사회(군장 사회)
씨족 사회의 이동 생활에 한계를 느끼고 지쳐가면서 점차 정착을 원하게 되고 이로써 정착지를 가꾸고 개척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그렇지만 밭을 일구고 집을 짓는 데는 작은 씨족 단위에서는 무리가 따른다. 점차 정착지에서 하나의 부족을 이루게 되고, 그러면서 족장의 의미도 생겨나게 된 것이다.
이후 각 부족마다 힘의 차이가 생겨나게 되고, 힘이 있는 부족은 따른 부족의 관할지역을 넘보게 되면서 정복 전쟁이 일어나고, 힘이 없는 부족은 자연히 힘을 가진 부족에 부속되거나 아니면 비슷한 힘을 지닌 부족 단위에서 서로 연맹을 이루게 되었다. 이들 연맹 중 가장 힘이 있는 부족의 우두머리를 맹주로 삼게 되는 것도 같은 원리이다. 부여나 초기의 고구려, 가야도 이 같은 부족 연맹의 단계에 있었다.
부족 사회는 무리 사회의 구조가 자연적으로 성장되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무리 사회에서와 같이 족외혼과 결혼에 의한 혈연 집단의 동거가 한층 확산되었다. 그리고 부족 사회는 무리 사회의 구조로부터 진화되었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평등을 바탕으로 하여 수평적으로 집합된 조직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부족 사회는 일반적으로 농업과 결합되어 있으나 시장, 조직적인 교역, 전문적인 기술 집단 등은 아직 출현하지 않았다. 따라서 부족 사회는 고고학적으로 신석기 시대의 개시와 더불어 확산되는데 각 부락이 정치적 경제적으로 기본 단위가 되므로 부락 사회 단계라 부를 수도 있다. <공동묘지, 계층의 분화나 경제적인 빈부 차이를 볼 수 없는 마을 유적, 정교한 기술을 요하는 장신구가 발견되지 않음> 군장 사회는 기본적으로 구성원 사이에 평등이 유지되었던 부족 사회와는 달리 사회 신분과 지위에 의한 계층을 형성하고 있었는데, 그 중심인물은 군장이었다. 군장을 중심으로 하여 원추형의 계층적 사회 구조를 형성한 모든 사회 구성원은 추장과의 관계에 따라 집단 안에서의 사회적 지위와 계층이 결정되었다. 종교적으로도 중심인물이나 중심 세력이 등장하였는데 그것은 권력과 결합되어 있었다. 그리고 사회적 지위에 따라 특권과 의무가 부여되었는데 이것이 사회 결합의 기본적 기술이었다. 경제적인 면에서는 생산에 있어서 분업이 일어나고 이에 따라 생산품을 사회 전체에 재분배, 공급하는 행위가 있게 되었다. 그리고 군장 사회는 부족 사회와는 달리 여러 집단의 큰 합병이 있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 단계는 고고학적으로 신석기 시대 후기에 나타나는데 부족 또는 부락이 합병 또는 연맹을 이루었으므로 부족 연맹 사회 또는 부락 연맹 사회 단계라고도 부를 수 있을 것이다.
군장국가는 청동기시대에 사회적 현상 중 하나이다. 정치권력이나 경제력에서 우세한 부족들은 스스로 하늘의 자손이라고 믿는 선민사상이 나타났고, 그래서 주변의 약한 부족을 통합하거나 정복하고 공납을 요구하였다. 청동이나 철로 된 금속제 무기의 사용으로 정복 활동이 활발해졌고, 이를 계기로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분화는 촉진되었다. 그리하여 평등 사회는 계급 사회로 바뀌어 갔고 권력과 경제력을 가진 지배자가 나타났는데, 이런 지배자를 족장, 즉 군장이라 일컬었다. 최초의 군장국가는 고조선으로, 고조선은 족장 사회에서 가장 먼저 국가로 발전했다. 고조선은 족장 사회들을 통합하면서 발전을 해나갔다.
* 출처
- '신석기엔 빗살무늬 청동기엔 민무늬' - 네이버 지식iN)
- 네이버 오픈사전, 백과사전
-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6.12.07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12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