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의‘가족 위기’담론 비판 : 무엇이‘위기’인가?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사회의‘가족 위기’담론 비판 : 무엇이‘위기’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한국 사회 가족 위기 : 어떤‘가족’에게 무엇이‘위기’인가

Ⅱ. 가족 : 위기의‘정상가족’과 존재하는 법 밖의 가족
2-1. 법 안의 가족 :‘가족 위기 담론’에 의한‘가족 위기’
2-1-1. 별거 가족
2-1-2. 별거 가족2 : 이모양육가족
2-2. 법 밖의 가족 :‘위기 가족’담론 밖에 서 있는‘동성애 가족’
2-2-1. 동성애 가족

Ⅲ. 결론 : 다양한 가족들

본문내용

섹슈얼리티는 배제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지금의 가족 섹슈얼리티는 어떠한가? 이성애자만을‘인정’하고 그들의 존재만을 허용하는 현 가족 섹슈얼리티는 동성애자나 양성애자 등의 다양한 섹슈얼리티들의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해버린다. 오히려 비정상적인 것은 동성애가 아니라‘강박적인’이성애인 것이다. 이성애든 동성애든 자신과 타인에게 해악을 끼치지 않고 서로 동의하는 형태의 사랑이라면, 또한 그러한 사랑, 혹은 관계에 의해 구성되는 가족이라면,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가족이‘위기’가 될 아무런 이유는 없다.
Ⅲ. 결론 : 다양한 가족들
지금까지 한국 사회 별거가족, 이모양육가족과 같은 법 내부에 위치하는 가족들과 동성애가족과 같은 법 외부에 위치하는 가족들의 구성원들을 심층 면접하여 이들 가족들이 정상 가족 이데올로기와 이를 토대로 구성되는 가족 제도와 경합, 협상함으로써 수행하는 가족 정체성을 살펴보고, 한국 사회의‘가족 위기’담론과 관련하여 무엇이 어떻게‘가족 위기’상황으로 구성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에 따르면 이와 같은 법의 앞/뒤 혹은 외부에 존재하는 가족들은 그 가족 상황 자체가‘위기’가 아니라, 이들을‘위기 가족’으로 규정하여 이와 같은 가족 형태를 보호하거나 통제해야할 대상으로 여기고 있는‘위기 가족 담론’자체가 오히려 이들 가족을 위기적 상황 속으로 위치시켰다. 부부와 자녀로 이뤄진 가족만을 건강가족이라 설정하고 이외의 가족 형태를 보호 혹은 배제하는‘가족 위기’담론, 생물학적 어머니에게 신화적 모성을 강요하는 강박적 모성 이데올로기, 이성애 외의 모든 섹슈얼리티를 배제하는 제도적 이성애로 이뤄진 가족 섹슈얼리티는 이러한‘가족 위기 담론’을 유지, 재생산한다. 요약하면 이러한‘가족 위기’는 강박적 이성애와 비대칭적 젠더 역할에 근거한 이성애 부부와 그 자녀로 구성된 가부장제 가족의 위기, 혹은 이와 같은 가족의 이해에 대한 위기, 혹은 이와 같은 가족으로만 유지될 수 있는 사회의 위기가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가족 위기’는 가부장적 가족 상황에 대한 위기로써, 이러한‘위기’국면을 통해 오히려 탈가부장적 삶을 꿈꿀 수 있는 새로운 가족 패러다임을 상상할 수 있는 한국 사회의 가족에 대한 성찰의 기회가 될 수 있는 것이다.
근대 사회는 전근대적 시간 순환의 역사를 단번에 바꾸어버렸다. 모든 것이 급변하는 사회 상황 속에서‘가족’만을 변하지 않을‘자연’으로 설정하고, 이에서 안식을 구하고자 하는 가족에 대한‘사적’발상은 그‘사적’영역에 여성을 배치시킴으로써 여성 종속의 역사를 몰역사적이고 영원히 그 자리에 위치시키고자 하는 가부장적 욕망과도 맞닿아 있다. 규범적 가족에 대한 정의는 이렇듯 인간에 대한 비대칭적으로 이분화된 규범적 젠더의 할당과 같은 가부장제의 역사와 맥락을 같이 한다. 이러한 가부장제의 역사가 항상‘여성’이라 표상되는 한쪽 영역의 성에게‘위기’로 작용했다는 것을 인식한다면, 현 한국 사회의‘가족 위기’로써의 가족 상황 인식은 여성들의 역사적‘위기’에 대한 반론의 형성, 즉 가부장제에 대한 반론이 형성되는 과정에 대한‘위기’적 인식에 기인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전사회적으로 친밀성의 영역이 재규정되고 젠더 규범이 해체되며 가부장제가 해체되는 역사적 변동이 일어나고 있다고 볼 때 가족도 역사적으로 변화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위적인 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족 개념의 해체와 재구성은 필연적이 된다. 다양성을 포괄하는 가족 개념의 범주는 다양한 가족들을 명명하여 또다시 특정한 형태의 가족을 여럿이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가족’이라는 그릇이 어떤 형태로든 만들어질 수 있는 유연하고 열린 형태의 경계 없는 범주가 될 것이다. 이러한 가족 컨셉에 대한 패러다임적 전환이‘(폭력 가족이든 유아 방기 가족이든) 아무래도 좋다’와 같은 태도를 의미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폭력 가족 혹은 유아 방기 가족 처럼 명백히‘비정상’가족이라 보이는 가족 형태도 사실‘정상 가족’형태에서 출발했다고 할 때, 이러한‘비정상’가족의 출현 배후에는 항상 특정한 가족만을‘정상’이라 여기는 정상가족이데올로기가 존재해왔다. 그렇다면 가족 컨셉에 대한 패러다임적 전환은 이러한 정상가족이데올로기에 대한 폐기를 의미하는 것이다. 즉,‘비정상’,‘정상’혹은‘건강’등의‘가족’을 수식하고 이의 내용을 조직해내고자 하는 가족에 대한 특정한 발상과 이를 기본 구조로 하는 가족 기반적 사회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자는 것이다. 누가 공동체를 구성하는지, 공동체 구성원의 관계가 혈연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등이 크게 문제될 것이 없고, 이러한 선택적 삶이 가능할 수 있게끔 사회 제도적 기반과 이를 지지하는 담론이 형성될 때, 가족과 가족 구성원들이 진정한 행복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 참고 문헌
김혜경, 2005,「건강가정기본법의 제,개정을 둘러싼 담론에 대한 연구」,『여성과사회』16
변화순, 백경희, 김현주. 2001.『한국가족의 변화와 여성의 역할 및 지위에 관한 연구』. 한국 여성개발원
변화순, 조은희. 2003. 『다양한 가족 출현에 따른 쟁점과 가족관련법의 방향 정립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앤서니 기든스, 2001.『현대사회의 성, 사랑, 에로티시즘 : 친밀성의 구조변동』, 새물결
오카다 미쓰요. 2004.『새로운 가족-해체인가 변화인가』. 川花.
이동원 외. 2001.『변화하는 사회 다양한 가족』. 양서원.
이동원, 함인희, 1996,「한국 가족사회학 연구 50년의 성과와 반성」,『가족과문화』창간호
이재경. 2003. 『가족의 이름으로-한국근대가족과 페미니즘』. 또하나의문화
이재경, 2004,「한국 가족은 위기 인가? :건강가정담론에 대한 비판」,『한국여성학』20:1
이화여대레즈비언인권운동모임. 2004. ≪but. I’m lesbian≫. 두 번째 문화제 자료집
조은, 1986,「가족사회학의 새로운 연구동향과 이론적 쟁점」,『한국사회학』20:1
조은, 2003,『침묵으로 지은 집』, 문학동네
주디스 버틀러, 이기우 역. 1998.「섹스/젠더/욕망의 주체」,『문화연구』. 한국문화사.
함인희, 2002,「한국 가족의 위기 : 해체인가, 재구조화인가?」,『가족과문화』14:3

키워드

한국,   사회,   가족 위기,   가족,   사례,   연구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6.12.13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26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