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화홍련전」에 대한 남북한 문학사에서의 가치평가에 대해서 비교해 보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화홍련전」에 대한 남북한 문학사에서의 가치평가에 대해서 비교해 보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북한문학사의 현황
가. 북한문학사의 특질
나. 남한 문학사와의 상이점

3. 「장화홍련전」의 내용
가. 줄거리
나. 이본(異本)과 구조
다. 작품의 주제
라. 문학사적 위상

4. 「장화홍련전」에 대한 가치평가
가. 남한 문학사에서 「장화홍련전」에 대한 가치평가
나. 북한 문학사에서 「장화홍련전」에 대한 가치평가

5.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양반 가정 안에서 벌어지는 모순을 사회경제적 관계와 연결시키면서 생동한 예술적 형상을 창조하고 이야기를 처음부터 첨예한 갈등 속에서 흥미 있게 전개해 나감으로서 당시 민중들의 공감을 자아냈으며 중세소설 가운데서 가정 윤리적 주제의 대표적 작품의 하나가 되었다고 그 소설사적 위상을 평가한다. 또한 봉건사회에서는 이러한 비극을 자아내는 다른 요인의 하나는 사물현상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게 하며 인간생활을 불구화하는 봉건적 윤리라는 것이다. 봉건 사회에서는 인간적 관계가 참다운 사랑이나 동지 우애심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재물, 명예, 권세 등에 의하여 좌우 된다는 것이다. 작품은 그 예술적 형상화의 면에서 볼 때 현실 생활의 재료에 기초한 사실주의적 요소가 강화되어 있기는 하나 아직 전세기 소설들의 제한성을 많이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사건체계는 평면적이고 단순하며 작가의 서술이 지배적이다. 동시에 작품은 인물들의 성격 창조에 응당한 관심을 돌려져 있지 않다는 것이다. 장화, 홍련이 다시 배좌수의 쌍둥이 딸로 태어나 평양 이씨의 쌍둥이 아들과 결혼하여 부귀영화를 누리다가 ”장화형제는 칠십 오살에 죽으며 그 자손이 유자생녀하야 복록을 누리며 자손이 창성 하더라“고 한 긴 후일담은 작품의 주제 사상적 과업에 비추어 볼 때 불필요한 부분이라고 비판한다. 북한문학사에서「장화홍련전」에 대한 평가는 최근으로 올수록 더욱 높아지는 양상을 보인다. 그것은 아무래도 구전설화에 바탕한 작품이라는 점에서 북한의 문예이론의 바탕중 하나인 소위‘인민성’을 구현하고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리고 창작 년대에 있어서도 『문학사(2)』에서는 국문본의 경우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에 형성되었다고 다소 간행 년대를 늦춰 잡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박태상, 「북한문학의 사적탐구」, 깊은샘, 2006, p.23-24
한편 북한 김일성대학 교수인 김춘택이 펴낸『조선고전소설사 연구』는 18-19세기 중엽의 국문소설들에 가정 윤리적 주제의 작품들이 적지 않은 중요한 원인의 하나는 봉건적 가족제도가 빚어내는 각종 불합리에 대한 당대 민중의 비판정신에 있었다고 전제한다. 또 이시기의 국문소설 작가들은 이러한 현실에 눈을 돌리면서 봉건적 가족제도가 빚어낸 불합리성을 폭로 비판하는데 바쳐진 가정 윤리적 주제의 소설 창작에 관심을 가졌다고 서술하면서 그 대표작품으로 콩쥐팥쥐전, 장화홍련전 을 들고 있다. 장화홍련전에 대해 김춘택은 봉건적 가족제도의 불합리성을 폭로하고 착한 것은 승리하고 악한 것은 망한다는 도덕관념을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김춘택, 「우리나라 고전소설」, 한길사, 1993, p.334-335
5.결론
『장화홍련전』에 대한 작품 내용과 북한 문학사의 특질에 대해서 알아보고 또 남한 문학사와 북한 문학사의 상이점을 찾고, 작품에 대한 북한 학계의 연구 성과와 경향을 알아보고, 『장화홍련전』에 대한 남북한 문학사에서의 가치 평가를 비교해 보았다. 남한의 현대문학사는 민족 문학적인 순수함을 지니고 있는데, 북한문학사는 집필 체계부터 철저하게 당의 노선과 수령의 교시에 의해 기록되었음을 알 수 있다. 남한의 문학사는 다양한 이념을 가지고 문학 중심적 경향을 보이는데 반하여 북한문학사는 김일성 유일사상 체계에 따른 ‘주체문예론’의 산물로 계급문학론과 이념 중심적 성향을 띠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문학사 기술의 기초가 되는 문학관과 문예이론에 차이가 많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문학사를 비교하고 통합하는 작업도 쉽지 않고 또 남북한 통일 운동의 문화적 목표와 맞물려 있으며 그 자체가 통일을 위한 기반 조성에 기여할 것이라 본다. 남북한 문학사 통합의 방향을 찾기 위해 먼저 이론적 비교와 공통분모를 찾는 것부터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왜, 동일한 우리의 고전문학을 놓고 남북한이 어떤 동질성과 이질성을 나타내고 있는가? 인간의 정신적 소산인 문학이 시대와 사회적 조건하에 다른 판단에 의하여 변질되기도 하고 또 생성되고 발전될 수 있음을 우리는 알 수 있다. 인간은 남녀의 결합이기 때문에 애정문제와 가정문제는 기본을 이루게 된다. 그러므로 후사문제를 비롯한 애정적 갈등이 가정문제로 대두되기 시작하여 쟁총형 가정소설과 계모형 가정소설이 주류를 이루게 되는데『장화홍련전』은 가정소설의 대표적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부모와 자식 간의 갈등이 중심이 되어 부모가 자식을 살해하는 가정비극이 중심이 된 작품이란 점에서 부자간의 윤리를 강조한 작품 이라할 수 있다. 가정소설은 주로 태평성대에 효행을 강조한 것이 가정소설로 나타나고 있으며 가정소설은 시대에 따라 변모과정을 겪으면서 발전한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와 북한은 양쪽의 문단과 문학이 단절된 채 각기 다른 길을 달려 왔고, 서로 한쪽을 배제한 채, 상대방을 매도하면서 반쪽 문학으로서 자기주장에 앞장섰음을 스스로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남북문학사의 이질감을 해소하고 통일된 민족문학사를 합일화해서 새로 기록하고 남북을 하나로 어우르는 조화된 민족문학을 정립해야 한다. 진정한 우리의 통일은 문학사의 동질성 회복과 남북한의 뿌리 깊은 분단 모순 극복으로부터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박태상, 「국문학 연습」,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2006
박태상, 「북한문학의 현상」, 깊은샘, 2006
이명재, 「북한문학의 이념과 실체」, 국학자료원, 1998
토지문화재단, 「한국문학사 어떻게 쓸 것인가」, 2003
설성경ㆍ유영대, 「북한의 고전문학」, 고려원, 1990
사화과학원문학연구소, 「조선문학통사」, 이회문화사, 1996
사화과학원문학연구소, 「조선문학사」(고대중세편),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1977
김춘택, 「우리나라 고전소설」, 한길사, 1993
蘇在英敎授 還曆紀念論叢刊行委員會, 「고소설사의 제문제」, 집문당, 1993
설성경ㆍ박태상, 「고소설의 구조와 의미」, 새문사, 1996
박태상, 「북한문학의 사적탐구」, 깊은샘, 2006
박태상, 방송통신대학교 국문학과 지상강좌, 2000
박태상, 방송통신대학교 국문학과 지상강좌, 2002
박태상, 방송통신대학교 국문학과 비출석 온라인강좌, 2005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12.18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35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