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사(삼국시대, 조선시대, 근대 교육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교육사(삼국시대, 조선시대, 근대 교육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삼국시대의 교육사상 】
1. 서론 ‘한국적인 것’의 의미
2. 불교의 전래와 형식적 교육
(1) 불교전래의 교육적 뜻
(2) 불교가 준 비형식적 교육면
3. 유교의 전래와 형식적 교육의 시작
(1) 고구려의 학교 교육(태학, 경당) 2
(2) 백제의 교육 - 유교교육의 일본 전파
4. 신라의 화랑도와 국학
(1) 신라 화랑도의 교육
(2) 신라의 학교교육(국학)

【 조선시대의 교육사상 】
1. 조선시대의 교육철학
(1) 교육이념
(2) 교육목적
2. 조선시대의 교육제도와 교육과정
(1) 성균관
(2) 사학
(3) 향교
(4) 서원
(5) 서당
3. 근세 실학파의 학풍과 교육철학
(1) 실학파의 학풍
(2) 실학파의 교육학풍(유형원, 이익, 박제가, 박지원, 정약용 등)

【 19세기 근대교육사상 】
1. 근대교육의 발단
2. 근대교육의 성립과정
(1) 기독교계 학교의 성립(광혜원, 배재학당, 고아학교, 이화학당)
(2) 신학제의 제정과 관.공립학교의 성립
(3) 민간의 사학의 성립(흥화학교, 점진학교, 낙연의숙, 우산학교...
◈ 을사조약이후 1910년에 이르기까지 개인이 세운 사립학교
-휘문의숙, 대성학교, 강명의숙, 오산학교, 숙명 여학교..등
◈ 한국근대학교의 성격

본문내용

또 조선의 경제를 개조하려면 외국인의 실제생활을 보아 그 제도문물의 좋은 점을 배우고 산업 교통의 진보발달된 점을 본받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ⅱ) 선비도 한낱 주자학을 從能讀함에 그치지 말고, 실학을 위주로 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ⅲ) 문학에 있어서도 실리적인 문학을 주장하였다.
◈ 정약용
① 사상의 특징
ⅰ) ‘조선의 현실’을 개혁하는데 뜻을 두었다.
ⅱ) 그의 선배 실학자들의 진보적 사회, 경제사상을 가장 높은 단계로 발전시켰다.
ⅲ) 직업분화를 철저히 주장.
ⅳ) 세계의 중심이라는 종래의 세계관을 부정하고, 한국사를 학교의 교육과정속에 넣고 있다.
◈ 그 밖의 실학자들
실학파의 학자들은 모두가 우리의 역사, 우리의 지리, 우리의 말, 우리의 모든 실태로부터 알아야 되겠다고 생각했다. 이중환, 한치윤, 안정복, 정상기, 신경준, 김정호, 최한기등이 바로 그들이다.
☞ 이상과 같이 실학은 봉건제 말기의 위기적 상황속에서 그 동요와 붕괴의 역사행정에 동행하면서 새로운 국가, 사회를 전망하고 현실을 개혁해 나가려던 사상이었다.
『 19세기 근대교육사상 』
1. 근대교육의 발단
‘근대교육’이란 우리들이 흔히 쓰는 개화교육이라는 말. 즉 종래 한학교육에 대한학교중심의 교육에 대하여 이것을 불식하고 서구의 신문화를 섭취하려는 교육
1876년 불평등조약인 강화도조약 체결을 계기로 외국사정에 눈이 어두웠던 우리 정부도 당면한 형세에 대비하기 위하여 신문화에 대한 지식을 시급히 요청하게 됨
1881년에 신사유람단을 일본에, 같은 해에 영선사 김윤식이 인솔하는 69명의 청년학도들을 천진에 파견.
우리정부는 일본과의 문화개방을 계기로 1882년 미국을 비롯하여 독일, 이탈리아 등 구미 여러 나라와도 수호조약을 맺어 나갔다.
원산학교의 역사적 의의: 외국의 도전에 대응하기 위하여 한국인이 자발적으로 성금을 모아 이루어졌다는 점과 외국인의 주도에 앞서 민중의 광범한 근대화 의욕으로 설립되었다는 점.
본격적으로 일반교육을 목적으로 한 근대학교의 설립은 개신교 선교사들의 내주로부터 시작되었다.
2. 근대 교육의 성립과정
(1) 기독교계 학교의 성립
◈ 알렌
1885년 4월 10일에 광혜원이라는 이름으로 국립병원이 개시(한국 최초의 근대적인 병원의 시작. 의료뿐 아니라 일종의 의학실습교육으로 학생을 뽑아서 서양의학도 학습케 하였으니 이는 세브란스의학 전문학교의 모체이며 또한 이로부터 연세대학교의 역사 시작)
◈ 아펜젤러
배재학당(최초의 근대적 사학)설립
◈ 언더우드
1886년에 고아원과 고아학교 창설(한국의 처음 고아원, 학교로는 둘째. 이 고아학교가 오늘의 경신학교의 전신)
◈ 스크랜톤
이화학당(최초의 근대적 여성 교육기관)
(2) 신학제의 제정과 관공립학교의 성립
① 근대학교 설립을 위한 최초의 국가적 노력은 1886년의 육영공원의 설립으로 나타났다.
② 1894년 12월에는 고종황제가 한국최초의 헌법이라고 할 수 있는 홍범 14조를 선언한 가운데 근대교육을 받아들일 것을 공포하였다.
③ 이러한 교육입국의 정신에 따라 정부는 1895년 4월에 한서사범학교관제를 공포 함(우리나라 최초의 현대식 학교 법규)
④ 1899년 경성의학교, 1900년 한성고등학교, 1904년 농상공학교, 1908년 한성고등 여학교등 관립학교를 설치.
⑤ 통감부-일제시대 식민지 교육의 기본정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교육법령을 제정 공포.
-학제개정에서 종래의 소학교를 보통학교라 이름을 고치고 수업연한을 6 년에서 4년으로 단축하는 동시에 심상과, 고등과를 하나로 통일함.
-점진적인 동화정책의 방법으로 관, 공립보통학교를 다소 확장.
(3) 민간인 사학의 성립
① 흥화학교(1895)-최초의 민간인 사립학교
-영어와 일어 이외에 측량술을 가르침.
② 점진학교(1899)-안창호가 그의 고향 강서 지방으로 돌아가 세운 학교.
-西道에서 민간인이 세운 최초의 사립학교인 동시에 남녀공학을 실시한 최초의 소학교.
③ 낙연의숙(1901)-서광세 외 세명이 세움.
-일어를 가르치다가 잠시 사범과를 두어 교사양성에 힘씀.
-1916년에 폐교.
④ 우산학교(1902)
⑤ 청년학원(1904)-상동교회 목사 전덕기가 설치.
-안창호가 조직한 구국운동 비밀단체인 신민회의 기관학교로서 독립사상 고취에 공헌하다가 1914년에 폐교.
⑥ 양정의숙(1905.2.)-엄주익이 창설.
⑦ 보성학교(1905.5.)-오늘의 고려대학교의 전신.
⑧ 서북학회(1907.7)-강화석을 설립자로 하여 학부대신의 인가를 얻어 서북협성학교를 세움.
⑨ 오성강습회(1921.4.)-최시준이 설치.
⑩ 기호흥학회(1908.6.)-설립의 요지는 지방의 교육이 교사의 빈곤으로 인하여 발전 미약하였으므로 교사를 양성하기 위함.
-학과는 수신, 교육, 학교관리법, 물리, 화학등
-유길준이 설립한 융희학교와 합동하여 교명을 중앙학교라함.
⑪ 대동학회(1907.2)-김윤식,신기선,이용식등이 조직.
◈ 을사조약이후 1910년에 이르기까지 개인이 세운 사립학교
① 휘문의숙(1906.5.)-민영휘가 설립.
② 대성학교(1907)-안창호가 평양에 설립.
③ 강명의숙(1907.8.)-초등교육기관으로 정주군 향리에 이승훈이 설립.
④ 오산학교(1907.12.)-대성학교의 정신과 같이 민족운동의 인재, 국민교육의 사부를 양성할 목적으로 세워졌다.
⑤ 숙명여학교(1906)-구한말의 사립여학교
◈ 한국근대학교의 성격
① 한국근대학교의 성립과정을 보면 사학이 관학보다 먼저 세워짐.
② 민간인 사학은 처음에 신문화 또는 개화의 방법으로 설립된 것이었으나 1905년부터는 그 양상을 달리하여 교육구국의 이념 밑에 세워짐.
③ 우리나라 근대학교의 건학이념-민족적 자각에서부터 싹텄고 이를 실천하는데 둠 ⅰ)윤리면에서 신도덕관의 확립과 인습 및 미신의 타파, 그리고 고루한 계급주의와 봉건적인 구습을 혁신하는데 두었다.
ⅱ)사상면에서 신학문, 신교육, 신문화를 받아들이고 국가를 부강케하여, 우리나라 도 하루빨리 개화를 해야 한다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ⅲ)교육면에서 신교육사상과 제도 및 방법의 수용, 소개를 통하여 국가생존을 위한 민족보전과 애국사사의 고취에 그 목적을 두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12.21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39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