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수정 이론][행동수정 사례][행동수정][행동][문제행동][표적행동]행동수정 이론과 행동수정의 다양한 사례(행동수정의 이론적 가정, 문제행동의 진단과 치료전략, 행동수정의 절차, 행동수정 사례)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행동수정 이론][행동수정 사례][행동수정][행동][문제행동][표적행동]행동수정 이론과 행동수정의 다양한 사례(행동수정의 이론적 가정, 문제행동의 진단과 치료전략, 행동수정의 절차, 행동수정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행동수정의 이론적 가정
1. 행동이 핵심적 관심사다.
2. 대부분의 행동은 학습된 것이다.
3. 행동은 환경자극에 의해 결정된다.
4. 행동의 현재적 결정요인을 중시한다.
5. 행동은 맥락 속에서만 의미를 갖는다.

Ⅲ. 문제행동의 진단과 치료전략
1. 문제의 행동적 진단
2. A-B-C 분석
(1) 행동의 유형과 강도의 관찰
(2)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자극의 관찰
3. 행동수정의 전략

Ⅳ. 행동수정의 절차
1. 행동의 구체화와 세분화
2. 기초선 수준의 결정
3. 동기 유발
4. 행동의 형성

Ⅴ. 행동수정 사례
1. 수업중 산만하고 과다행동을 보이는 아이
1) 목표행동
2) 적용기법 및 측정방법
3) 구체적인 방법
2. 컴퓨터 게임과 인터넷에 중독현상을 보이는 아이
1) 표적 행동
2) 표적 행동의 조작적 정의
3) 인터뷰와 질문지를 통한 자료수집
4) 잘못된 유관을 고치는 방법
5) 강화제 목록 작성과 선택
3. 식사시 이탈행동을 하는 아이
4. 평소 명랑하고 문자 언어 표현이 우수하지만 여러 사람이 모인 가운데 거의 발표하지 못하는 아이
1) 표적 행동
2) ABC 유관 분석
3) 기능 분석(functional analysis)
4) 행동수정의 목표
5) 행동수정 프로그램의 설계
6) 행동수정 프로그램 적용
7) 행동수정 적용 결과
5. 능력은 있으나 학습부진을 보이는 아이
6. 산만하고 잡담이 많아 분위기를 흐트러뜨리는 아이
7. 공격적이거나 비사교적인 아이
8. 수줍음이 많고 위축된 아이
9. 섭식에 문제를 가진 아이
1) 목표
2) 표적 행동
3) 표적 행동의 조작적 정의
4) 행동 수정 프로그램의 설계
5) 행동 훈련 전략
6) 훈련절차
7) 치료 결과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한이 되어 있어 음식물이 강화물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가 없다고 하면서 중증의 섭식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체적 촉구를 부적 강화물로 사용하였고, Ives등(1978)은 음식거부가 심한 6세 자폐증 남자 아동에게 새로운 음식을 먹일 때에는 행동형성과 정적강화만으로는 불가능하므로 강제 식이 방법을 사용하여 섭식을 향상시켰다고 하였다.
② 본 치료에서 실시한 뱉아낸 음식을 다시 먹이는 방법은 윤리적인 측면과 위생적인 측면을 고려해야 할 문제점이 있지만 뱉아낸 음식을 다시 먹일 때에는 처음 먹을 때보다 뱉아내는 정도가 덜 하였다. 이것은 처음 그 음식을 입에 넣었을 때의 낯선 맛보다는 그 맛에 더 익숙해졌고 구토가 음식 섭취를 회피하기 위한 부적 강화로 작용되었을 경우, 뱉아내어도 먹지 않는 것이 아니라 다시 먹어야 한다는 것을 아동이 이해하였기 때문이리라 여겨진다. 하지만 뱉아낸 음식을 다시 먹이는 방법에서 유의해야 할 점은 뱉아내는 행동 그 자체를 아동이 즐기지 않도록 해야한다. 즉, 뱉아내기가 정적 강화물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가능한 한 아동이 처음부터 뱉아내지 않게 하는 방법이 강구되어져야 한다.
③ 본 치료대상 아동 OO이의 먹지 않으려 하는 반찬 먹기 훈련에서 특정 반찬에 대한 거부의 강도가 매우 심하여 토하기를 자주 하였다. 아동이 토하기를 할 기미가 보일 때 상담자가 그것에 관심을 보일 때보다는 무시를 하고 다른 행동으로 OO이의 관심을 유도시킬 때 토하기의 회수가 많이 줄어들었다.
예를 들어 아동이 토하려고 할 때,
“토하지 마!”,
“먹어!”라는 말을 하면서 가정에서 하는 것처럼 토해낼 음식을 받기 위해 아동의 입 앞에 그릇이나 손을 갖다 대면 아동은 매번 토해내었지만 그것을 무시하고 상담자가 아동의 손을 아프게 쥐고서 큰소리를 노래를 불러 주면서 손 유희를 할 때에는 토해내는 회수가 매우 줄어들었다. 이것은 아동의 혐오적인 맛감각을 촉각, 청각 쪽으로 감각을 유도하는 방법이 효과적임을 입증한다.
④ Luiselli(1994)와 Luiselli 등(1987)이 중증의 장애와 만성적인 음식 거부를 가진 아동들에게 비혐오적인 방법으로서 어깨와 목을 쓰다듬어 주는 것과 같은 유쾌한 감각 자극을 강화물로 제공하여 섭식을 증가시킨 방법과 유사하게 본 치료 대상 아동 OO이에게는 아동의 손을 잡고 치료자가 아동이 평소 좋아하던 유희를 하여 거부감을 줄여 주도록 하였다.
그래서 본 치료의 대상 아동 OO이처럼 음식거부가 심하여 먹지 않으려 하는 음식을 먹게 하기 위한 과정에서 음식을 토하거나 내뱉거나 씹지 않고 있을 때는 아동이 느끼는 혐오적인 맛감각을 다른 감각으로 관심을 유도시켜 주는 감각 유도 방법이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아동이 거부를 하였던 음식이라도 일단 그 맛에 익숙해지면 섭취에 대한 거부의 정도가 약해지고 스스로 먹기도 가능해졌다.
⑤ 음식거부가 강한 아동의 경우 입안에 음식을 넣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 그래서 강제 식이 방법이 비록 윤리적인 면에서 일부에서 비판을 가하고 있지만 섭식장애가 심한 아동에게는 섭식훈련의 초기단계에서는 불가피하므로 강제 식이 방법이 수반되어도 좋을 것이다. 병원에서 아동이 주사 맞기를 강하게 거부한다고 해도 주사를 안 맞힐 수 없지 않은가!
⑥ 강박증적 편식은 주변 변화에 대한 거부의 한 형태로서 볼 수 있다는 학자들(Wing 1972; Ives et al, 1978)의 의견을 근거로 하면, 이들의 편식은 동일성의 고집(sameness)과 관련이 있음을 볼 수 있다. 동일성에 대한 고집이 강한 아동들은 자기 세계에 빠져있는 백일몽 현상이 잦고, 어느 한가지 사물이나 행동에 집착을 강하게 하므로 주변의 여러 가지 사물이나 다른 사람에 대해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주변에 대한 무관심은 아동이 수업 시간에도 교사의 지시에 주의집중을 하지 않게 되어 지식 습득을 더욱 저해시키는 요인이 되게 한다. 영양이 결핍된 아동이 주의집중력이 낮고 또한 편식이 변화에 대한 거부의 한 형태로서 동일성의 고집과 관련이 있다고 하는 주장에 따라 음식을 거부하는 행동을 개선시켜 여러 가지 음식을 섭취할 수 있게 함은 아동의 강한 고집성을 약화시켜 학습 장면에서도 교사의 지시에 대한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리라 추정된다.
⑦ 섭식문제가 아동의 신체적, 지적, 심리적 발달에 비치는 영향을 고려해 볼 때 아동의 교육에 주력하고 있는 교육 전문가들도 섭식문제 해결에 관심을 가져야 될 것이다. 그래서 섭식장애를 지닌 아동들에 게 치료 전문가들이 가장 우선하여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은 다른 분야의 교육과 치료 이전에 섭식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므로 섭식문제 해결을 위한 전략들이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위영 외 7인(1997). 아동의 이해와 심리행동 치료교육. 대구대학교: 출판부.
김남성(1988). 행동요법, 서울 : 배영사
김미영(1993). 행동적 진단-처방 모형에 입각한 발달지체의 조기 치료교육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홍준표(1993). 행동적 접근 지도방법, 특수교육학회지 제14집 제1호 121-131.
이성진(2001). 행동수정. 서울: 교육과학사.
최영하(1988). 행동수정의 이론과 적용. 서울: 형성출판사.
윤치연(1999). 문제행동의 기능분석과 의사소통 훈련 모델. 대구대학교.
이성진(2001).행동수정. 서울 : 교육과학사
이은희(1983). 아동의 부적은 행동수정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정보인(1992). 행동수정을 통한 어린이 문제행동지도, 서울 : 중앙적성출판사
최성규(2000). 행동주의의 철학과 원리-일반학급에서의 학습 및 행동문제 아동지도방법 연재 내용
이천세(1987). 조작적 행동분석기법에 의한 자폐증아의 언어훈련. 대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조광순(1999). 문제행동의 진단:기능분석. 제2회 이화특수교육연수회. pp. 43~54.
한국교육개발원(1993). 행동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연구(Ⅱ), 서울: 아진인쇄.
박성수 외(1984). 행동 수정의 사례집. 서울 : 교육과학사
  • 가격7,5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6.12.23
  • 저작시기2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44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