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단군릉][단군신화][역사인식]단군, 단군릉과 단군신화 및 남한과 북한의 역사인식 비교, 의의(단군 이해, 단군릉은 과연 단군의 무덤인가, 단군릉과 남북한 역사인식의 비교, 단군신화의 의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단군][단군릉][단군신화][역사인식]단군, 단군릉과 단군신화 및 남한과 북한의 역사인식 비교, 의의(단군 이해, 단군릉은 과연 단군의 무덤인가, 단군릉과 남북한 역사인식의 비교, 단군신화의 의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단군 이해
1. 종교적 신념체계화
2. 역사적 지식체계화

Ⅲ. 단군릉은 과연 단군의 무덤인가 -「단군릉」에 대한 의문점
1. 무덤양식
2. 출토된 인골
3. E.S.R.연대측정법과 그 연대를 신뢰할 수 있는가
4. 조선시대부터 '단군묘'로 불러 왔다는 사실
5. 단군과 고조선사의 문제

Ⅳ. 북한의 단군릉

Ⅴ. 단군릉과 남북한 역사인식의 비교
1. 단군의 민족사적 의미
2. 북한 역사인식 변화의 배경

Ⅵ. 단군신화의 의의
1. 현대적 의의
1) 역사적 의의
2) 민족학적 의의
3) 문학적 의의
2. 현대적 해석

본문내용

북한의 단군릉 복원과 주체적 민족주의운동이 남한 재야사학자들의 상고사 찾기 운동과 연결되는 점이 주목된다. 남한의 재야사학자들은 민족주의를 표방하며 단군신화로 표현된 시기를 사실로 인정하며 상고사의 복원을 시도한다. 그들의 주장은 단군릉 발견 이후 북한학계의 주장과 동일하다.
이러한 남한 재야그룹의 주장은 경제적 위기 속에서 세계 속의 한민족 공동체의 동질성을 찾고 제국주의 세력에 대항하는 민족주의 운동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이는 그동안 고조선 연구가 너무 문헌 자료가 없고 일제 식민지 시대의 연구 성과를 참조하는 가운데 한사군이 강조되거나 대동강유역 중심의 후기 고조선만이 부각된 데 대한 반성과 비판의 의미가 있었다.
그러나 재야사학자들의 주장과 운동이 이데올로기적 측면에서의 종교운동이나 사상운동 차원이 아닌 학문적 영역에까지 들어와 단군의 역사적 실재를 주장하고 역사서술의 개정을 주장하는 것 등은 역사 및 역사학의 발전에 역행하는 것이다.
근대역사학은 그 기본적인 학문적 토대를 객관적인 합리성의 추구에 두고 있으며, 엄정한 사료 비판과 실증은 그것을 구현하는 구체적인 방법이다. 이것이 바탕이 되지 않는 그 어떠한 주장도 공허한 메아리이며, 과거에 대한 환상만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이 점에서 보면 단군릉은 믿기 어려운 점이 많다.
Ⅵ. 단군신화의 의의
1. 현대적 의의
1) 역사적 의의
「단군 신화」는 신석기 문화 전통을 지닌 초기 청동기 사회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웅녀로 대표되는 신석기 시대의 즐문토기(빗살무늬토기) 문화와 환웅으로 대표되는 청동기 시대의 무문토기(무늬 없는 토기) 문화의 결합을 신화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것은 「주몽 신화」를 형성시킨 사회가 철기문화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것과 좋은 비교가 된다.
2) 민족학적 의의
단군 신화」에는 민속학적 해석을 요하는 요소들이 많다. 우선 천부인이라는 것을, 신권(神權)을 상징하는 칼 · 거울 ·방울의 세 가지로 볼 때, 이는 단군을 무당으로 볼 수 있게 해주는 근거가 된다. 왜 천부인이 세 개냐 하는 것은 환웅이 데리고 온 세 신과도 연결 지을 수 있다. 역사적 해석에서도 본 바와 같이, \'단군\'이란 무당(텡그리)과 유사한 존재로서 \'Shaman-King\'(Shaman은 무당이라는 의미)이라 할 수 있다
3) 문학적 의의
문학적으로 보면, 「단군 신화」는 하나의 정형적인 신화이다. 이 신화의 논리는 크게 보아 천상과 지상의 결합, 광명(태양신의 아들 환웅)과 암흑(웅녀의 不見日光)의 조화 속에서 인간(생명)이 탄생한다는 것이다. 여기에 신과 인간의 결합, 동물과 식물의 매개가 있다. 「단군신화」에 나타나는 태백산이나 신단수는 세계 알타이계 신화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세계산, 세계수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이 신화 속의 신화적 요소는 우리 민족의 생성과 국가 건립의 신성성을 보여 주는 것이다.
2. 현대적 해석
단군신화에 따르면 \'하느님(환인)의 아들 환웅이 내려와 인간들을 다스렸다.\'는 부분이 있습니다. 이 부분을 현대적으로 해석하자면...당시는 초기의 청동기시대입니다. 이때는 신석기 때까지의 부족형태가 깨지기 시작하는데 당시 강한 힘을 가지고 있던 부족이 선민사상(우리는 하늘이 점지한 특별한 부족이다.)을 가지고 다른 부족을 통합하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하느님의 아들이 내려왔다는 것은 선민사상을 나타내며, 이러한 사상을 가진 부족이 강한 힘을 바탕으로 다른 부족을 통합시키기 시작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풍백, 우사, 운사는 당시 사회가 농경사회였음을 알게 해주는 것이라는 사실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입니다.곰과 호랑이가 등장한 것은 이것들을 믿는 부족이 있었으면 한반도에 걸쳐서 강한 세력을 지니고 있었음을 짐작하게 합니다. 따라서 선민사상으로 주위를 통합하던 부족으로써도 이들을 함부로 하지 못했을 것이고 결국 타협안을 제시하였으며 이에 따라서 곰부족과는 결합하였을 것이라는 해석이 나옵니다. 문제는 호랑이부족인데 크게 두가지 중에 하나입니다. 곰부족과 힘을 합하여 호랑이부족을 물리쳤을 것이라는 해석과 호랑이 부족과 합하지는 않았지만 공존하는 형식이 되었을 것이라는 해석입니다. 어느 한쪽이 뚜렷이 정설은 없지만 저의 개인적인 견해는 전자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 이후에 단군왕검(제정일치)이 등장해서 이들을 다스렸으며 그것이 \'고조선\'입니다. \'고조선\'은 원래 \'조선\'이었으나 훗날 \'조선\'이라는 나라서 새로 열리면서 명칭을 \'고조선\'으로 바꾼 것입니다.
그리고 단군이 1500년간 나라를 다스렸다는 이야기가 나오는데 현대적 지식에서 보면 당시에는 나이를 세는 단위가 달랐다거나 1500년간 많은 \'단군\'이 있어서 이들의 제위기간을 합친 것이라는 등 많은 주장이 있습니다
*현대적 의의
*현대 한국 사회의 문제 원인
① 서구 문물을 받아들이면서 표피적인 요소들만 수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② 도덕적 삶에 대하여 관심이나 노력이 부족하였다.
③ 각계 각층의 지도자들이 솔선수범하는 자세가 너무 미약하였다.
④ 우리의 문화 유산과 전통 윤리를 너무 경시하고 이를 계승, 발전시키는데 소홀하였 다.
*우리가 계승해야 할 한국 전통 윤리 사상
① 인간 존중의 사상을 계승하여 인간의 존엄성을 회복해야 한다.
* 원시적인 경천(敬天)사상
* 단군신화의 홍익인간(弘益人間)의 정신
* 화랑도의 세속오계 중 살생유택(殺生有擇)
* 위정척사 사상의 정신적 기반
* 동학 사상의 인내천, 오심즉여심, 사인여천
② 조화 정신을 계승하여 이기주의를 치유(治癒)해야 한다.
* 단군신화의 천지인합일(天地人合一)사상
* 최치원의 「난랑비서」에 나타난 풍류도 사상
* 원효의 화쟁(和諍) 사상에 나타난 원융회통(圓融會通)사상
* 의천의 내외겸전(內外兼全),
* 지눌의 돈오점수(頓悟漸修)와 정혜쌍수(定慧雙修)
* 동학의 유·불·도(儒佛道) 수용
③ 인간 관계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바탕 위에서 형성된 윤리 규범을 계승, 발전시켜 야 한다.
④ 생명 존중과 더불어 자연의 모든 대상을 소중하게 인식해온 생명 외경 사상을 계승해야 한다.
⑤ 지나친 욕심이나 욕망을 스스로 절제하고 극기해 왔던 윤리를 계승해야 한다.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1.1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87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