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한민족][이민사][미국이민][일본이민]이민의 현황과 적응 및 문제점(이민의 종류와 동기, 이민사, 미국의 한인 이민사, 미국으로의 한인 이민과 사회경제적 적응, 한인 이민자들의 사회경제적 적응과 문제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민][한민족][이민사][미국이민][일본이민]이민의 현황과 적응 및 문제점(이민의 종류와 동기, 이민사, 미국의 한인 이민사, 미국으로의 한인 이민과 사회경제적 적응, 한인 이민자들의 사회경제적 적응과 문제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관

Ⅱ. 이민의 종류와 동기
1. 이민의 종류
2. 이민의 동기

Ⅲ. 이민사

Ⅳ. 미국의 한인 이민사

Ⅴ. 미국으로의 한인 이민과 사회경제적 적응
1. 초기 한인 이민, 1903-1944
2. 전후 한인 이민, 1945-1964
3. 최근 한인 이민, 1965-현재

Ⅵ. 한인 이민자들의 사회경제적 적응과 문제점

본문내용

미국사회에서 한인들이 안정된 경제적 기반을 세우기 위한 가장 현실적인 수단이다.
한인들이 운영하는 자영업들의 대부분은 사업자본과 경험의 부족으로 인해서 영세하고 업종별로도 야채, 과일, 식품, 주류, 의류, 악세사리, 잡화, 세탁, 식당 등의 소매업이나 개인 서비스업에 집중되어 있다. 종업원을 두지 않고 영업을 하는 사업체도 상당수 있으며 종업원을 둔다고 하더라도 세 명이나 다섯 명 가량을 두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많은 한인 상인들이 제한된 동일 업종에 집중하게 되니 제살 깍아먹기식의 출혈경쟁이 심해지고 따라서 이윤 마진도 떨어지고 사업에서 실패하는 비율도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한인 상인들은 토요일이건 일요일이건 일주일에 60시간 이상을 노동하게 되고 가족 식구들의 노동에도 의존하지 않을 수 없다. 최근에 로스앤젤레스에서 실시된 연구에 따르면 한인 상인들 가운데 40% 가량은 연 순수 입이 40,000달러에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Yoon, 1995: 150). 미국 중류층의 연 수입은 대략 40,000달러에서 100,000달러 사이이기 때문에 적지 않은 한인 상인들이 중류층에 못 미치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한인 이민자들은 신분상승에 대한 강한 욕구를 가지고 미국으로 이민을 왔고 정착 초기 미국 노동시장에서의 불리함을 자영업과 근면으로 극복하여서 빠른 시일에 경제적 안정을 이룩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빠른 경제적 신분상승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흑인과 멕시칸과 같은 소수민족들과 마찰과 갈등을 겪었으며 1992년의 로스앤젤레스 폭동 중에는 2,300개의 한인 업소가 전소되었거나 약탈당하고 재산 피해액이 4억 달러에 달하는 등 폭동의 가장 큰 희생자가 되었다. 억울하게 큰 피해를 당하고도 대부분의 한인들이 지방정부나 연방정부로부터 보상을 받지 못하였으며 폭동 이후 로스앤젤레스 한인 경제는 침체하기 시작하여 아직도 그 후유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도되고 있다. 로스앤젤레스 폭동은 한인들에게 미국사회의 흑인들과 같이 가난하고 억눌리고 그로 인해 반항적인 소수인종들에게 의존하는 자신들의 경제적 기반이 얼마나 연약한 가를 일깨워 주었다. 이 아픈 경험을 계기로 한인들은 더 이상의 사회, 경제적 고립으로부터 벗어나 주인의식을 가지고 미국과 같은 다인종사회에서 타인종, 타민족집단들과 보다 긴밀하고 상호협조적인 관계를 맺어야 할 것이다.
미국으로의 한인 이민이 본격화된 지가 30년이 되면서 재미 한인사회는 이제 이민 1세 중심에서 1.5세, 2세, 3세로 점차 주도권이 넘어가는 시점에 놓여 있다. 이들 젊은 세대들은 현재 대학에 다니거나 졸업 후 미국 주류사회로 진출할 나이가 되어서 앞으로 이들이 한인사회에서 차지할 비중과 역할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여러 가지 면에서 젊은 세대들이 할 수 있는 역할은 1세들에 비해서 크고 다양하다고 볼 수 있다. 첫째, 미국에서 나고 교육을 받은 이유로 해서 이들은 영어와 미국문화에 익숙한 동시에 1세 부모 하에서의 가정교육으로 인해서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고 한국문화에도 친숙한 이중언어(bilingualism)와 이중문화(biculturalism)의 장점을 갖고 있다. 둘째, 젊은 세대들은 직업 선택에 있어서도 1세들이 자영업에 집중하는 것에 비해서 다양하고 전문성을 띄고 있어서 이들이 한국과 미국과의 관계에 기여할 수 역할의 폭은 넓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젊은 세대들은 나름대로의 문제점들을 갖고 있다. 부모 세대가 현지 사회에서 적응하느라 분투하는 동안에 2세?3세 자녀들은 정체성의 위기와 문화적 자아 혼란이라는 문제를 가지고 방황하고 있다. 이들 중 많은 수는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하고 부진한 성적, 부모와의 갈등, 이성문제, 그리고 인종차별과 정체성의 위기를 경험하고 있다. 부모세대가 언어장애와 이민자로서의 어려움을 안고 있다면 자녀세대는 소수민족으로서의 인종차별과 민족정체성의 혼란이라는 어려움을 안고 있다. 만약에 자녀세대가 한국인으로서의 민족적 정체성을 갖지 못한다면 한인 사회의 지속적 발전은 기대할 수 없고, 이들은 모국과 정신적으로 단절되어서 이들이 갖고 있는 인적자원을 우리가 사용할 수 없는 사태가 벌어질 것이다. 따라서 이들이 어떻게 하면 자신들의 역사적 근원과 문화적 정체성에 대해 충분한 이해와 긍지를 가지고 미국인으로서 동시에 한국인으로서 성장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우리의 당면 과제라고 할 수 있다.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1.1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88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