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불교사상][불교문화][연기론][한국문화][불교 기원][불교 목적][불교 내용][불교 전개][선교합일]불교와 불교사상(불교의 기원, 불교의 목적과 내용, 초기 불교의 연기론, 불교의 전개, 한국문화와 불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불교][불교사상][불교문화][연기론][한국문화][불교 기원][불교 목적][불교 내용][불교 전개][선교합일]불교와 불교사상(불교의 기원, 불교의 목적과 내용, 초기 불교의 연기론, 불교의 전개, 한국문화와 불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불교의 기원

Ⅲ. 불교의 목적과 내용

Ⅳ. 초기 불교의 연기론

Ⅴ. 불교의 전개
1. 불교 전개의 세 양상
1) 고구려의 불교
2) 삼론학
3) 백제의 불교
4) 신라의 불교
2. 통불교적인 연구
3. 불교의 유행
1) 대승 불교 쇠퇴
2) 밀교
4. 선불교의 성행
5. 선교합일의 경향

Ⅵ. 한국문화와 불교
1. 문화와 문명
2. 한의 의미(韓)
3. 불교에서 빛나는 인물
4. 민속의 의의, 종류

Ⅶ. 결론

본문내용

개인적으로 알고 있는 것(정시적인 사고)
가정에서 가지는 문화의 형태는 가풍 → 속풍 → 국풍 → 족풍
자연 속에서 서로 함께 하여 가지고 왔던 것.
문화의 발달 → 인간의 편안 = 마음의 편안
문명 = 기술적으로 이루어진 것(물질적)
문명의 발달 → 인간 생활의 편리 = 생활 도구의 편리
2. 한의 의미(韓)
① 크다(大) 높다(高) 위(上)
② 환웅, 환인 (환≡한⇒환하다. 훤하다.)
③ 하나(單一 → 唯 → 同一)
④ 元(으뜸) 始(처음) 祖(시조) 한배 → 할배
⑤ 하늘 (天方山 : 한방산) (天聖山 : 천성산× → 한임산)
⑥ 君의 의미 : 다스리는 자
⑦ 바르다 (正) 正音-한글, 正道-한길, 正午-한낮, 子正-한밤 正路-한복판
⑧ 중(한가운데) 한때
⑨ 길다(長) 오래다(永)
⑩ 많다(多, 衆) 곳 됴코 여름 하나니
3. 불교에서 빛나는 인물
고구려
승랑 : 삼론학(중론, 백론, 십이문론)의 체계를 세움
공사상의 체계를 잡음, 중국에서 불교활동
담징 : 일본에서 활동. 법륜사 금당벽화, 종이, 붓, 채색법, 맷돌사용법을 전함
보덕 : 열반종 창설. 도교 노장사상을 근간 불로장생에 치중.
백제
겸익 : 인도에서 공부를 하고 와서 법흥왕에게 많은 영향을 줌
백제불교를 이론적으로 만듦
신라
아도 : 지하 불교활동. 신라불교의 터를 잡음
이차돈 : 신라에 왕외 친위를 상승시킴. 왕의 이름을 이두로 표시
자장 : 신라에 계율을 확정 시킴. 우리 나라에 사리탑을 세움. 금강계단, 황룡사 9층탑 설치
교단 정립
원광 : 세속오계를 만들어 화랑을 교육 (사군이충, 사친이효, 붕우유신, 임전무퇴, 살생유택)
서역에서 공부를 하고 돌아옴
원효 : 어린 시절 화랑. 당나라 유학
“모든 현상은 마음에서 일어나기도 하고 마음에서 사라지기도 한다.”
해골바가지의 일화로 ‘일심’을 깨달음. 하층민을 이해하게 되어 卜性도사가 됨.
의상 : 화엄경 읽은 후 5권의 논문 - 스승 지엄이 태움 - 210자 남음
4. 민속의 의의, 종류
1800년 이후 독일에서 많이 연구
외침이 있을 때 마다 민속이 발달
민속신앙 : 고사 : 주부가 조상신께 지냄
굿 : 무당이 행함.
고수레(건강기원, 들짐승에게 먹이를 줌)
국속(종묘 : 왕가만, 사직 : 국민 참여)
시제 (영고, 동맹, 무천등등)
세속놀이(민속놀이) : 기세배, 씨름, 자치기, 그네, 기마전, 윷, 널뛰기
통과의례
삼성산(국속을 하는 장소) : 上岳 : 묘향산
中岳 : 계룡산
下岳 : 지리산
Ⅶ. 결론
한국 불교는 21세기에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에 대해 거칠게 몇 가지 문제를 제기해 보았다. 이제까지의 논의를 요약하는 것으로 결론을 삼고자 한다. 한국 불교의 나아갈 바를 생각할 때에 전통에 대한 올바른 평가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텐데 이제까지는 전통에 대해 너무 긍정적으로만 생각해 오지 않았는가 하는 것을 우선 문제로 지적할 수 있을 것 같다. 대표적으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이 호국 불교이다. 불교의 보편적 이념으로 생각해 보아도 그것은 이해하기 어렵고 민중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면 더욱 그것은 바람직하지 못한 전통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역사상 어느 때에 긍정적 역할을 했을 때가 있었다 하더라도 이제는 거기에서 벗어나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통불교라는 것도 조화와 화해를 강조한다는 것은 좋은 측면이라 볼 수 있을 수도 있겠으나 절충주의 내지는 혼합주의 또는 기존 권위에의 맹목적인 순종으로 흘러간 것은 아니었나 하는 것은 반성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철저한 문제 의식이 없는 데에서 오는 치열함의 부족으로서 새로운 창조를 낳지 못하고 그저 현실에 안존하는 분위기를 만들어 온 것이 통불교가 아니었나 하는 점에 대해서도 반성하여야 할 것이다.
그런 반성의 바탕 위에서 21세기의 우리의 문제라 할 수 있는 민주와 민족 통일의 문제에 적극적인 관심을 갖고 그것을 준비하는 불교가 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독자적인 연구 자세를 갖고 기존의 연구를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는 비판적으로 보는 안목을 길러가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현대의 문제에 대해 바람직한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불교가 되어야 할 것이다. 문제가 많은 곳에서 새로운 이론, 새로운 비전의 창조도 가능할 것이다. 민주와 민족의 자주와 통일의 문제, 자본주의의 문제, 주체의 해체 시대의 인간의 여러 문제, 핵, 환경 등의 모든 문제들이 중첩되어 있는 현실에서 21세기의 한국 불교는 이 모든 도전에 대하여 고뇌하며 그 해결을 위해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1.1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89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