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개발][경력개발이론][경력개발프로그램][경력개발제도]경력개발이론과 경력개발프로그램 분석(경력개발이란, 경력개발 프로그램의 목적, 경력 개발 이론, 경력개발 프로그램의 설계, 경력개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력개발][경력개발이론][경력개발프로그램][경력개발제도]경력개발이론과 경력개발프로그램 분석(경력개발이란, 경력개발 프로그램의 목적, 경력 개발 이론, 경력개발 프로그램의 설계, 경력개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경력개발이란

Ⅲ. 경력개발 프로그램의 목적
1. 맞춤형 인재의 개발 및 확보
2. 개인의 성장 욕구 충족
3. 조직 일체감 향상
4. 경력 개발의 효과성 측정

Ⅳ. 경력 개발 이론
1. 특성-요인 이론
2. 직무적응 이론
3. 직업선택 조기결정이론
4. Holland의 직업선택 이론
5. Crites의 경력성숙성 모형
6. 경력닻 유형론
7. 정신역동적 모형
8. Erikson 이론
9. Super 이론
10. Levinson 이론
11. Schein의 조직 경력단계 모형
12. 전문가 경력단계 모형
13. Hall의 경력단계 모형
14. 경력열망 발달이론
15. 학습 관계이론 : 경험학습 이론
16. 경력선택 사회학습이론
17. 경력의사결정 단계이론
18. 3차원 모형
19. 경력유형론
20. 경력시스템 유형론
21. 경력정체 유형론
22. 토너먼트 모형
23. 경력지향적 인적자원관리 통합모형
24. 조직사회화 단계모형
25. 직무경험 학습이론
26. 개인-조직욕구 연계모형
27. 관계적 접근 모형
28. 정치적 관점
29. 결과 관련이론 : 경력성공 순환모형
30. 구조 관련이론 : 노동시장 이중구조론
31. 학습 관련이론 : 여성 경력개발 이론
32. 상호작용 관련이론 : 직무-퍼스낼리티 상호영향론
33. 결과 관련이론 : 사회적 지위 성취모형

Ⅴ. 경력개발 프로그램의 설계
1. 니즈와 현 시스템 평가
1) 니즈평가와 대상집단선정
2) 인적자원구조의 평가
3) 조직문화 파악
2. 비전과 목표설정
1) 경력개발 관련 이론
2) 경력개발에서 관리자의 역할
3) 경력개발시스템의 예
3. 행동계획실시
1) 최고경영진의 지원
2) 자문집단 활용
3) 파일롯프로그램실시
4) 경력개발담당자에게 요구되는 능력
4. 변화유지
1) 경력개발시스템으로의 정착
2) 홍보전략
3) 경력개발효율성 평가

Ⅵ. 결론

본문내용

의미한다. 많은 조절변수(moderator variables)와 매개변수를 포함하여 변수간의 상호작용과 변화과정을 구명해야 하는 다변량 인과모형(causal model)을 활용한 종단적 연구(longitudinal study)가 요구된다.
다섯째, 조직의 현실적 관심을 다룬 이론들이 상대적으로 적어 이에 대한 보다 높은 관심을 요한다. 조직의 기본적 관심은 경력개발을 어떻게 제도화하여 인적자원 개발을 극대화시키느냐에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Morrison과 Hock(1986)의 직무경험 학습이론은 현실적 유용성이 매우 큰 이론으로 향후 집중적 연구가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직무역량들이 어떻게 학습되고 개발될 수 있는지에 대한 현실적 단초를 제공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경력상담(career cousling)과 관계된 이론적 이해와 효과적 프로그램의 제시가 요구된다. 개인의 경력설계 과정에서 개인별 애로사항을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문제가 대단히 중요하나 한국기업의 현실에서 이 문제는 사각지대로 방치되어 있다. 아울러 최근의 세계화 추세와 더불어 다양한 국적과 인종으로 구성된 해외인력관리(예: 심원술, 1998; 장영철, 1998; Sanchez, Spector, & Cooper, 2000)를 위한 이론적 뒷받침이 요구된다.
여섯째, 개인의 경력변경(career change)이나 경력부적응(career maladjustment) 및 결과변수(outcome variables)를 다루는 이론의 개발이 필요하다. 물론 실직(Leana & Feldman, 1986)이나 경력정체(Feldman & Weitz, 1986)와 관계된 모형들이 이미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외에도 경력발달 미성숙의 결정요인이나, 경력변경(예: Grezda, 1999)을 다룬 이론들이 현실에서 요구된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또한 경력개발과 결과변수 내지 생산성의 관계를 연결짓는 개념적 및 실증적 연구(예: 배성현, 1997; 장은미, 1997)가 요구된다.
일곱째, 대상별 특수이론의 개발에 대한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이는 결국 특수한 집단 내에서 발생하는 변화(within group variance)를 포착하여 이론적으로 구명하는 일이 그 집단의 문제 해결에 보다 효과적 해결책을 제시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그 한 예로 여성의 경력개발(women\'s career development)은 기존의 남성중심의 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는 특수한 변수와 복잡한 과정들을 포함한다. 최근 여성의 경력개발과 관계된 연구들(예: 김성국. 1998; 김성국?이용주?박경희, 1998; 송계충?이형순?김성득, 1990; Bernas & Major, 2000; Powell & Mainero, 1992)은 이러한 시도의 출발로 보여진다. 또한 경력개발의 패턴이 직업별(by occupation)로 또는 조직내에서 직종별(by job family)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예: 차종석?김영배, 1997)가 이루어져야 한다. 현실적으로 경력개발의 일반이론을 기술직 엔지니어에게 적용하면 제대로 들어맞지 않는 부분이 많아 적용에 문제가 많은 점은 특수이론 개발의 당위성을 뒷받침한다. 이외에도 최근 구조조정의 대상으로 전락한 고령인력(older workers)에 대한 보다 진전된 개념화(예: Brewington & Nassar-McMillan, 2000) 및 실증연구가 요구된다. 사회 전체적 관점에서 이들의 효율적 활용은 사회행복 추구의 차원에서 접근해야 될 중대한 이슈이기 때문이다.
여덟째, 직장생활과 직장외 생활(nonwork life)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가 심화될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의 연구 추세는 직장외 생활경험이 직장의 직무행위와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는지에 대해 많은 연구(예: 강혜련?김태홍, 2000)가 진행되어 왔다. 예컨대 직장과 가정에서 오는 스트레스의 상호 전이효과의 연구가 이에 속한다. 앞으로는 여기서 더 나아가 직장생활과 가정생활 사이의 갈등을 어떻게 줄이며, 사람들이 직장외 생활을 보다 의미있게 보내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개인의 경력개발 과정에서 가족(family)이라는 환경이 미치는 역할이 시기별로 어떻게 작용하는 지에 관한 연구(예: Penick & Jepsen, 1992)의 보완이 요구된다.
아홉째, 21세기 환경변화에 걸맞는 이론 개발이 요구된다. 환경변화의 예를 들면, 최근의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의 변화는 직업구조 및 조직에서 수행하는 일의 내용에 일대 혁명을 가져오고 있다. 또한 조직의 핵심업무를 제외한 직무들을 비정규 인력(temporary workers)로 대체하는 방향으로 고용 패턴이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조직구조의 경우 기존의 관료제 조직으로부터 네트워크 조직(network organization) 내지 셀 조직(cellular organization)으로 변환되는 추세에 있다. 개인의 경력패턴 또한 직선형 내지 전문가형으로부터 나선형 또는 전이형으로, 기존의 단일경력으로부터 다중경력으로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이론화 작업과 함께 관계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최근에 발견되는 일부 연구들(예: 이진규?최종인, 1998; 장은미, 1995)은 이러한 맥락에서 바람직한 시도로 보여진다.
열째, 문화적 차이(cultural differences)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의 개발이 요구된다. 현재의 경력개발 이론은 주로 20세기 미국이라는 문화적 배경을 중심으로 개발된 것들이 대부분을 차지한다(Schein, 1986). 결국 이들 일반이론을 그대로 우리의 현실에 적용하는 데는 문제가 따른다. 그러므로 한국이라는 문화적 특수성을 고려한 이론화 작업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사회 전반의 가치의식, 행동양식, 그리고 라이프 스타일(예: 최만기?신수철, 1993) 등과 관계된 기초연구들이 폭넓게 시도되어야 한다. 이를 기반으로 우리 사회문화의 특성과 패턴을 반영하는 특수이론의 개발작업이 함께 병행되어야 한다.
  • 가격9,0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07.01.17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92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