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론장으로서 텔레비전 토론프로그램의 장르관습과 한계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텔레비전토론의 가능성과 한계

3. 우리나라 텔레비전 시사토론의 발자취

4. 연구대상 및 방법
1) 생방송, 찬반토론, 패널 중심의 포맷
2) 거시적, 추상적 주제
(1) 정책지향성 토론:하드/거시적 주제
(2) 가치지향성 토론:소프트/구체적 주제
3) 텔레비전토론에 참여하는 사람들
(1) 사회자
(2) 패널:전문가와 일반인
(3) 일반시청자
4) 토론의 지식:전문적 지식과 대중적 지식, 사적 경험

5. 맺는말:공론장으로서의 TV토론의 한계

본문내용

기능하고 시청자들에게 능동적인 역할을 부여한다고 주장하였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 방영되고 있는 시사토론 프로그램은 다양성과 자유로움이 억압된 모습으로 공론장의 진정한 모습과는 거리가 멀다. 다시 말하자면, 공론장의 다양한 가능성은 엄격하게 재생산되는 관습적 틀 속에 함몰되어 천편일률적인 형식과 내용만이 재생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소수 엘리트세력의 내부논의, 그들만의 폐쇄적인 공론장의 성격을 보여주는 기존의 시사정책토론의 완고한 전형성에 비해 새로 신설된 [시사난타]의 포맷과 주제, 패널구성 등은 상대적으로 새로운 미디어 토론의 형식적/내용적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평가된다. 고정된 틀에 박히지 않은 유동적인 형식과 다양한 개인적 경험과 의견이 개진되는 패널구성, 공중의 참여폭 강화, 그리고 차별화된 의제 선택 등은 보다 유연하고 민주적인 미디어 토론의 모델을 제시해준다. 이러한 보다 개방적인 토론문법의 시도는 기존의 경직된 관습적 틀에 얽매인 정책토론장르에서도 심각히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정책토론은 중심적인 현안과 구체적인 실천에 대해 논의하는 사회적 중요성을 담지한 만큼 더더욱 다양한 공중의 입장과 관점을 담아해야 한다는 점에서 일반공중의 접근권을 보다 확대할 것이 요청된다.
우리나라의 미디어 공공 토론은 토론이 가진 민주적 정신과 자유로운 비판정신을 살리기보다는 미디어토론의 관습적 틀만을 공통적으로 재생산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내부문법과 규칙들을 끊임없이 자기반영/자기복제하면서 발전해나가는 미디어 장르는 관습을 반복할 뿐 아니라 변형함으로써 시대적인 변화에 발맞추어 진화해나간다. 공중파 텔레비전의 시사토론 프로그램의 분석에서도 역시 기존의 시사토론의 상투적인 틀, 그리고 그에 대한 새로운 변화가 동시에 읽혀지고 있었다. 그러나 미디어 토론의 발전적 중요성은 하나의 장르적 관습의 고수에 있는 것이 아니라 공론장으로서의 그 가능성을 끊임없이 확장해나가는 유연성에 있다고 할 수 있다. Forester(1985)는 현대 자유 민주주의가 참여적 매스 미디어의 실천을 통해 사회를 구축하고 정치적 동의를 관리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미디어 공론장이 가진 민주적 가능성은 엘리트와 일반공중, 공적 세계와 사적세계가 유리되지 않고 쌍방적으로 활발하게 상호작용하는 균형잡힌 공간을 구축해나갈 때 가능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무곤(1997), "TV토론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방송문화』, 12월호.
김응숙(1999), "시청자 참여 토론 프로그램의 구조와 담론 전개방식에 대한 분석", 『한국언론학보』 제43-3호.
안광식(1987), "토론 프로그램의 기능과 역할", 『방송연구』, 가을호.
윤영철(1997), "쟁점 없는 토론주제는 무의미:시사토론 프로그램 실태와 과제", 『신문과 방송』 4월호.
윤호진(2000), "토론 프로그램의 현황과 개선점", 『방송문화』, 3월호.
이종수(1997), "한국 TV토론의 새로운 지평", 『방송비평』, 가을호 (10).
장원호,(1987), "텔레비전 시사토론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방송연구』 가을호.
정재철(1999), "텔레비전 토론 프로그램-주제는 '시사', 토론자는 남성·보수파, 채널별 주제차별화로 개성 살리길", 『신문과 방송』, 7월호.
최양호(1997), "TV토론의 활성화와 공정성 제고방안", 『방송문화』, 12월호.
최영묵(1997), "토크 프로그램의 종류와 사회적 기능", 『방송개발』 6월호 5(1).
허경호·강태완(1999), "TV토론 프로그램에 나타난 논증의 특성분석". 『프로그램/텍스트』 창간호.
Curan, J.(1991), "Rethinking the media as a public sphere", In P. Dahlgren and C. Sparks(eds.), Communication and citizenship:Journalism and the public sphere in the new media Age, London:Routledge.
Forester, J.(ed.)(1985), Critical theory and public life, Boston:MIT Press
Habermas, J.(1987b),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Vol 2. Lifeworld and system:A critique of functionalist reason. T. McCarthy(Trans.), Boston:Beacon Press.
Habermas, J.(1989),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An inquiry into a category of bourgeois society, T. Burger with F. Lawrence(Trans.) Cambridge, Mass.:The MIT Press.
Jensen, J. V.(1981), Argumentation:Reasoning in communication. Belmont, CA:Wadsworth Publishing Company.
Lang, K. and Lang, G. E.(1968), Politics and television, Chicago:Quadrangle Books
Livingstone, S. and Lunt, P.(2000), 김응숙 역, 『텔레비전과 공중』, 커뮤니케이션북스.
Newcomb, H. M. and Hirsch, P. M.(1984), "Television as a cultural forum:Implications for research", In W. D. Rowland and B. Watkins(eds.), Interpreting television:Current research perspectives, Beverly Hills, Cal.:Sage.
McChesney, R. W.(1998), Making media democratic, Boston Review, Summer issue
Scott, G.(1996), 김숙현 역, 『토크쇼, 그 힘과 영향』, 한국방송개발원.
  • 가격3,2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7.01.21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98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