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놀이]탈의 연극적 상징성과 미학성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1. 들어가는 말
1) 탈의 정의
2) 탈의 역사와 유래

2. 하회탈의 종류와 떡달이탈의 행방

3. 탈놀이, 이미지 변환의 끝없는 아리아

4. 탈, 내면심리 변화에 대한 상징

5. 탈, 주검과 익명성의 상징

6. 맺는말

참고 문헌

본문내용

년 6월, 국립극장 제작)에서도 주인공 신채호를 제외한 나머지 배우들 모두 탈을 쓰고 나타난다. 하나같이 동일한 형태의 탈, 이 동일규격의 탈을 쓴 배우들 모두 시대의 관찰자, 구경꾼로서 익명의 이미지를 드러내고 있다.
연극 <봄날>(이강백 작, 김철리 연출, 동숭아트센터, 97 세계연극제출품작)에서도 탈의 활용은 객관적 관찰자 내지 성찰자의 유형을 강조하는데에 기여한다.
동녀 설화를 토대로 만들어진 봄날, 늙은 아버지가 젊어지기 위해 막내가 좋아하는 동녀를 품고 잔다. 막내 아들은 좋아하는 동녀를 빼앗긴 나머지 피를 토하며 서글피 운다. 이 때 차남부터 육남까지 역의 배우들이 탈을 쓰고서 무대 우측 나무 아래에 모인다. 그들은 마치 인생의 관조자인양 그리고 막내의 내면을 완전 꿰뚫고 있는 것인양 행세를 한다. 배우들이 무주지방의 이 속요를 번갈아가며 읊어댄다. 탈쓴 자들의 언어는 단순히 낯설게하기 효과 차원에 머무르지 않고 극중 인물의 내면심리를 암시하고 상징하는 역할 까지 한다.
관객은 설화 속의 내용 즉 봄날의 이미지를 체험하는데에 그치지 않고 부성과 모성, 아비와 자식, 노년과 젊음, 소유와 박탈 사이의 갈등을 상징적으로 조망하게 된다. 설화에 현실이 접목되도록 유도하는 서사극적 처방, 이를 위해 탈쓴 배우들, 객관적 해설자의 이미지를 만들어간다.
이 처럼 탈가면의 기능은 참가자로서 뿐만 아니라 -연기중에- 합창단으로써 관찰, 또는 비평하게끔 하는 역할도 부여한다. 여기서 자식들 역의 배우들은 탈가면으로 자신의 얼굴을 가리므로써 신분을 감춘 채 객관적 관조자의 역할을 매끄럽게 행할 수 있게된다. 표리부동의 해설자 역할을 다하며 스스로의 역 마저 소외시키기 위하여 이 공연에서도 탈가면의 형태는 추상화 혹은 비인간화되어있다.
<왼길, 오른길, 하늘길>(꼭두극단 낭랑 공동구성, 박은희 연출) 공연은 탈과 꼭두의 활용을 통해 무대 이미지의 무한한 변신 가능성, 가장 실험적이면서 기상천외한 성찰극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준 바 있다.
치어걸, 호돌이, 입과 눈의 꼭두인형, 기상천외한 왕방울 눈과 입술의 움직임은 배경음악과 더불어 탈극과 꼭두극의 아기자기한 재미를 불러 일으킨다. 조명이 바뀌자 치어걸 탈마스크를 쓴 배우는 뼈만 앙상한 해골 형태로 춤을 춘다. 대형꼭두와 탈마스크의 관능적 이미지가 소름끼치게 할 정도의 으시시한 모습으로 둔갑한다. 값싼 관능미에 현혹된 동시대인들의 소외상, 특히 스포츠붐, 육체 놀이만이 주요 이슈로 등장하는 한심한 사회에 대한 예리한 반격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발한 착상은 탈놀이와 꼭두극 만이 갖는 무한한 상상의 영역이자 창조를 향한 연희영역이다.
잊혀져 간 전승연희와 놀이형식, 특히 탈과 꼭두, 탈놀이와 꼭두놀이, 그 연극적 변주작업은 미학의 반향이 무궁무진하다는 점에서 끝없이 파고 들어오는 아리아의 선율을 방불케한다. 우리만의 연극문법과 기호를 개발하여 연극아우라의 영역을 무한히 확대시켜나가는 작업, 이는 불확실, 불투명으로 점철된 오늘의 삶을 풀어나가는 또 하나의 해법은 아닐까 ...
참고 문헌
고금석, 연극 <제3의 신>(이청준 원작, 고금석 각색, 연출, 전북예술회관, 제 5회 전국연극제 출품작) 1987년 5월.
광주시립극단(제작), 연극 <다시라기>(최인석 구성, 김태욱 연출, 남도예술회관, 1987년 6월) 공연.
교육방송 제작, 연극 <바보각시>(이윤택 작, 연출) 공연 비디오, 1993년 11월 산울림소극장 개관기념공연, EBS '예술의 광장' 프로그램, 1993년 12월 5일.
국립극장(제작), <꿈하늘>(차범석 작, 김석만 연출, 광주시민회관) 1987년 6월.
김옥랑(제작), <왼길, 오른길, 하늘길>(꼭두극단 낭랑 공동구성, 박은희 연출, 세종문화회관 소극장)공연, 1986년 12월.
김철리, 연극 <봄날>(이강백 작, 김철리 연출, 동숭아트센터 동숭아트홀, 97년 세계연극제 출품작), 1997년 10월.
렌네 샤방스, 가스똥바띠 (Ren Chqvqnce et Ctaston Baty), 인형극의 역사(Historie des marionnettes), 심우성 옮김, 꼭두극 88년 봄호, 105-107쪽.
민족극운동협의회, <칼노래 칼춤>(민족극운동협의회 제작, 채희완연출, 광주YMCA 무진관) 공연 및 비디오, 1994년 11월
박병도, 연극 <사로잡힌 영혼>(이상현 작 박병도 연출) 공연 및 공연 비디오, 전북문예회관, 1992년 3월.
손진책, 연극 <지킴이>(정복근 작, 손진책 연출, 문예회관대극장, 87년 서울연극제 연출상 수상작), 1987년 9월.
수잔 해리스 스미스(S.H.Smith), 현대극의 가면(Masks in Modern Drama), 캘리포니아대출판부, 1984년, 꼭두극 87년 겨울호, 95-97쪽.
오태석, 연극 <부자유친>(오태석 작, 연출, 문예회관 소극장, 87년서울연극제 대상 수상작) 공연, 1987년,10월.
유민영, 한국가면의 아름다움, 꼭두극 86년 가을호, 19-27쪽.
이강백, 이강백희곡전집 3, 평민사, 1987.
이두현, 한국의 가면극, 한국가면극연구회, 1969.
이상현, <사로잡힌 영혼>, 한국연극 181호(1991년 6월호), 한국연극협회, 1991, 92-104쪽.
이윤택, <바보각시>. 이윤택 희곡 연출노트, <웃다, 북치다, 죽다>. 서울 평민사 1993년, 273-307쪽.
존 토우슨 (John Towsen), '빵과 인형극단의 십자가 순례', 꼭두극 1986년 겨울호, 34-43쪽.
자카브리안 (Jarka Burian), '오토마 크레지챠의 가면 활용', 꼭두극 1986년 겨울호, 27-33쪽.
장한기, 한국가면의 역사의식, 꼭두극 86년 가을호, 28-35.쪽.
채희완, 탈춤의 사상, 현암사, 1984.
프랑세스 그룬드(Francoise Grund), '가면극과 순수극', 꼭두극 1986년 겨울호, 12-14쪽.
Smith, Winifred, The Commedia dell'Arte: A Study in Italian Popular Comedy. New York: Th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12.
  • 가격2,8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7.01.22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01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