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 이이][율곡 이이 사상][성리학][율곡][이이][심][성][사단칠정][교육사상]율곡 이이 분석 고찰(성리학과 율곡, 심과 성, 율곡 이이의 교육사상과 그 현대적 이해, 율곡 이이 사상의 개방성, 율곡 이이)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율곡 이이][율곡 이이 사상][성리학][율곡][이이][심][성][사단칠정][교육사상]율곡 이이 분석 고찰(성리학과 율곡, 심과 성, 율곡 이이의 교육사상과 그 현대적 이해, 율곡 이이 사상의 개방성, 율곡 이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성리학과 율곡
1. 한국 성리학의 기본 성격
2. 한국 성리학의 두 흐름

Ⅲ. 심과 성
1. 심의 자리
1) 사단칠정
2) 인심도심
2. 성(性)의 자리
1) 본연지성
2) 기질지성
3. 심의 구성
1) 성(性)
2) 정(情)
3) 의(意)

Ⅳ. 율곡 이이의 교육사상과 그 현대적 이해

Ⅴ. 율곡 이이 사상의 개방성
1. 구성원으로서의 참여의 자유
2. 개인주의: 개인의 자유와 권리․책임의 존중
3. 실적주의
4. 법률과 제도의 유연성
5. 원활한 의사소통
6. 원활한 사회적 유동성
7. 점진주의(끊임없는 유지․보수)
8. 인류애(인간에 대한 사랑․신뢰)

Ⅵ. 결론

본문내용

理故無不善 七情之發兼氣故有善惡)’라고 제시하면서 高峯에게 의견을 묻는 편지를 보냈던 것이 8년에 걸친 退溪와 高峯 사이에 벌어진 四七論爭의 발단이 되었던 것입니다. 退溪는『朱子諺解』에 자신의 처음 이론인 ‘四端은 理의 發이요, 七情은 氣의 發이다.’라는 말이 있음을 발견하고 자신의 주장이 틀림없다는 자신을 얻게 됩니다.
退溪는 四端과 七情이 다 情이지만 그 의미가 다르다고 주장합니다. 그럼 어떤 점이 다를까요? 退溪는 四端은 ‘純善’이지만 七情은 ‘善惡未定’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이를 쉽게 설명하면 四端은 그 결과가 언제나 善하고 좋은 것이지만, 七情은 결과가 善할 수도 있고 惡할 수도 있는 양쪽의 면(兼善惡)을 다 가지고 있기 때문에 善과 惡이 아직 정해져 있지 않다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서로 분별되지 않을 수 없습니다. 理와 氣 역시 의미가 다르므로 결국 四端과 七情을 각각 理와 氣의 發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四端과 七情은 원래 그 發하여 나오는 ‘由來(所從來)’가 다릅니다. 四端은 四德 곧 仁?義?禮?智의 性으로 發한 것이고, 七情은 다가와 감촉하여 마음속에서 움직이게 되는 것으로 말미암아 發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四端과 七情의 분별은 性에 本然之性과 氣質之性의 구별이 있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高峯은 다음과 같은 입장에서 반대 의견을 펼칩니다. 첫째는 세상 모든 것들 속에는 언제나 理와 氣가 함께 들어 있기 때문에 마음의 움직임인 四端과 七情도 退溪의 주장처럼 하나는 理에서 나오고 하나는 氣에서 나온다는 식으로 나눌 수 없다는 것이며, 둘째는 인간의 情은 하나이기 때문에 그 하나의 情은 물론 七情이라는 것을 전제로 七情 가운데 선한 부분만을 뽑아내면 그것이 四端이 된다는 것입니다. 즉 四端을 七情 속에 한 부분으로 보는 것입니다. 따라서 四端七情의 發出의 由來도 다르지 않다고 주장하였습니다.
그러나 退溪에 의하면, 四端이 물론 理와 氣로 된 것임에 틀림없지만 孟子가 처음에 四端을 말한 본지는 어디까지나 四端에 의하여 인간에게 善한 仁?義?禮?智(四德)의 性이 있음을 말하려는 데 있습니다. 그러므로 四端은 理의 發이라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한편 七情은 일반 사람들의 情의 현상에서 보듯이, 그 發의 적중 여하가 일정치 않습니다. 그것은 마치 氣의 특성만이 인정되는 경우와 같습니다. 그러므로 七情은 氣의 發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退溪는 所從來의 다름에 대한 高峯의 반론을 참작하여 또 다시 수정론을 내 놓습니다. ‘四端은 理가 발함에 氣가 따르는 것이고 七情은 氣가 발함에 理가 타는 것(四端理發而氣隨之 七情氣發而理乘之)’이라고 최종적으로 수정하였습니다. 이것이 退溪의 ‘理氣互發設’입니다. 退溪의 이와 같은 결론은 본래의 二元論的 혐의를 완화시키고자 고심하던 가운데 구한 최선의 명제이었던 것입니다. 그는 高峯과의 편지 중에서 理發과 氣發이 서로 떨어지지 않는(不相離)관계에서나마 ‘互發’하는 것이라 강조함으로서 退溪의 理氣四七論을 ‘理氣互發論’으로 특징짓게 되는 것입니다. 그는 四端과 七情의 출발의 所從來가 이렇게 다르다고 하면서, 이 수정설은 바로 理와 氣 중의 어느 하나를 위주로 말하는 것일 뿐, 서로 떨어져 있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고 덧붙였습니다.
지금까지 退溪와 高峯의 四七論爭에서 대해 공부하였는데 退溪의 四端七情論에 대해 어느 정도는 이해가 되었나요? 혹시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있더라도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지금부터 退溪의 철학사상에 대해 다시 정리해 보도록 하겠어요. 아주 중요한 내용이니까 집중해서 잘 들으세요.
退溪는 心의 지각 판단인 人心과 道心을 어떤 기준을 가지느냐에 따른 작용 자체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즉 ‘판단의 기준’에 따라 人心과 道心으로 나눈 것입니다. 그럼 人心과 道心이란 무엇일까요? 人心은 주관적인 판단으로 신체의 기운과 욕구의 생기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영철이는 사과를 좋아하지만, 철수는 사과를 싫어하는 것은 주관적인 판단이므로 人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道心은 육체와 상관없이 道理가 發하는 것으로 객관적인 판단이며 性命, 道理에 따라 행동하고자 하는 생각으로서 우리의 마음에서 순수하게 도덕적인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性理學에서는 누구에게나 선천적으로 仁이 心이라는 그릇 속에 있어서 우물 속에 빠지는 아이를 보면 惻隱해 하는 마음이 발동하여 어린아이를 나도 모르게 구해주는 것입니다. 이런 예는 우리가 신문이나 뉴스에서 접할 수 있는 예입니다. 여름철에 바닷가에서 물에 빠진 친구를 구하려다 목숨을 잃은 이야기라든가, 소방서 아저씨들이 자신의 몸을 아끼지 않고 사람들을 모두 구해주고 자신은 미쳐 불 속에서 빠져 나오지 못해 목숨을 잃은 이야기들이 여기에 속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退溪는 道心일 때에는 곧 행동하지만 人心일 때에는 그것이 道理에 맞는지 즉 善한 행동인지 惡한 행동인지를 먼저 판단한 후에 행동하라고 했습니다.
退溪는 人心과 道心을 四端과 七情에 연결시켜 道心은 四端이 되고 人心은 七情이 된다고 하였습니다. 따라서 四端은 항상 善이지만 七情은 善할 수도 있고 惡할 수도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그 두 가지가 어디에서 시작된 것인지를 본다면 서로 가리키는 바가 다르다고 하였던 것입니다.
退溪는 앞에서 언급했다시피 ‘道心일 때에는 곧 행동하지만 人心일 때에는 그것이 道理에 맞는지 즉 善한 행동인지 惡한 행동인지를 판단한 후에 행동하라’고 했습니다. 그럼 善한 행동인지 惡한 행동인지를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까요? 그 판단은 바로 ‘敬’에 달려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善한 本性을 실현시키는 조건이 곧 ‘敬’이 되는 것입니다. 退溪는 자기 마음이 깨어 있으면서 몰두해 있는 상태를 ‘敬’이라고 정의하면서, 敬이 없고서는 올바른 행위뿐만 아니라 학문도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단언했습니다. 知와 行의 일관되는 조건이 곧 ‘敬’임을 강조한 것입니다. 그의 敬 중시는 심지어 그의 哲學을 ‘敬哲學’이라고 일컬어도 무방할 정도입니다. 아무튼 그에게 있어서 敬은 인간의 본성을 드러내주는 조건이므로, 그의 敬 중시는 곧 인간 본연의 회복에 대한 그의 의지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키워드

율곡,   이이,   성리학,   사단칠정,  
  • 가격7,5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7.01.30
  • 저작시기2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13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